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키친토크

즐겁고 맛있는 우리집 밥상이야기

매실에 설탕을 적게해서 담궈봤어요.

| 조회수 : 13,909 | 추천수 : 1
작성일 : 2012-09-16 00:13:14

6월말쯤에 황매로 매실액을  담궜는데 매실과 설탕의 비율을 10:4로 해서 담궜어요.

매실 10키로에 설탕 4키로 좀 안되게 넣었어요.

매실과 설탕의 비율을 1:1로 했더니만 너무 달아서 그게 싫어서 고민하고 있었더니

아는분께서 자기는 10:2로 담그신다는거에요.

작년에 담근거 맛 보여주시는데 약간 새콤한 식초맛이 나더라구요.

그래도 약간은 걱정이 되어 아주 소심하게...ㅋㅋ 설탕을 쬐끔 더 넣었지요.

항아리를 비닐로 봉해서 밖에다 한달쯤 두었구요.


한달쯤 후에 한번 저어주려고 열었더니만 설탕이 거의 다 녹아서 저어주고 말고 할 것이 없어서

그냥 다시 덮어서 두었지요.




그리고 며칠전 두번의 태풍을 견딘 항아리를 열어 보았더니만 이렇게 아주 아주 잘 되어 있네요.

손가락으로 찍어 맛을 보았더니만 그냥 좀 새콤한 정도로 아주 만족스러운 정도입니다.

이제 걸러서 매실 좋아하는 아들놈 한테 한병 보내주고, 냉장고에 넣어두고 음료로 먹어야겠어요.


설탕 적게 넣으면 썩는다고 하는말 있어서 걱정이었는데 이젠 이렇게 매년 담글겁니다.

혹시 저같은 분 있으실까봐 증거샷으로 올려봅니다.^^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바이올렛
    '12.9.16 12:39 AM

    그럼 식초랑은 다른맛인거죠?
    남편이 홍초를 너무 좋아하는데.. 혹시 매실이나 오미자 석류같은걸로 식초를 만들수 있나 해서요

  • 2. 궁디
    '12.9.16 1:22 AM

    사진만으로도 시큼하니 맛나보여요~
    입에 침이도네요~

  • 3. 달걀지단
    '12.9.16 2:42 AM

    올해는 설탕을 적게 해서 담궛는데 잘 발효되었어요.10:7정도로 했거든요
    보관을 일반 유리병보다 항아리에 하는게 실패없이 잘되게 하는 방법인거 같더라구요.
    10키로 담궜는데 더 담을걸 후회하는중.
    내년에는 설탕을 더 줄여서 해봐야겠네요.

  • 4. 콩새사랑
    '12.9.16 8:35 AM - 삭제된댓글

    효소는뭐니뭐니해도 적은설탕 비율로담궈서 성공하는것이 관건인데요 초보자들은 그게쉅지가않은데 성공하신것같아서 참보기좋네요

  • 5. 들소부인
    '12.9.16 9:15 AM

    올해는 흑설탕과 황설탕 반반 비율로 했는데 별로 안달고 좋더라구요

  • 6. 쏠라파워
    '12.9.16 9:20 AM

    저도 2년째 10 :7~8 정도로 담어요
    좀 덜 달고 매실향이 진하고 새콤해요
    일반 김냉용기에 담는데 유념할점은
    거품이 올라오기 시작하면 하루에 두번씩 저어줘야해요

  • 7. i.s.
    '12.9.16 10:08 AM

    저는 일대일로 넣는데 매실이 쪼글쪼글 수분이 다 빠져 껍질벗기기도 힘든데 사진속 매실은 설탕이적어서 그게 덜된게 아닐까하는 생각이 드는데요

  • 8. 가을하늘
    '12.9.16 12:39 PM

    천일염을 약간 첨가하면 더 좋은데,,이건 효소죠,,,매실액이 아니라

  • 9. carry1981
    '12.9.16 2:17 PM

    제생각에도 항아리가 중요한 포인트같아요..
    저도 6:4로 설탕섞고 파워블로그들이 시키는대로 매실꼭지도 이쑤시게로 다 파고~
    유리병도 끓는 물에 뒤집어서 소독하고..
    하라는대로 다~했는데!!!
    위에 하얗게 뭐가 막 생겼어요..ㅠ___________ㅠ
    살림은 잘하고 싶어서 열심히 하는데..실력은 제자리걸음이네요..

  • 10. 오디헵뽕
    '12.9.16 2:37 PM

    저는 항상 10:7이나 10:8 정도로 설탕을 넣어요.
    그래도 항상 골마지 끼지 않고 잘 되었어요.
    청매는 안해봤고 황매를 항상 해요.
    전 항아리 아닌 일반 유리병에 했는데요, 제 생각에는 설탕이 두껍게 쌓이도록 해서
    다 녹을때까지 공기층과의 접촉을 피하게 하는게 중요한것 같아요.
    밑이나 중간에는 어차피 위에서 막아주니까 굳이 설탕을 많이 안넣어도 되죠.
    그렇게 해서 현관문 앞 공기잘통하는데 두면 아주~~ 잘 숙성됩니다.

    근데 10:4는 정말 놀라운 비율이군요!!

  • 11. 엄마의텃밭
    '12.9.16 3:25 PM

    매실은 담은 환경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이렇게 해서 성공하시는 분들이 있고 이렇게 했다가 실패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십여년전 매실을 첫수확해서 항아리에 정성껏 담았는데 곰팡이가 피고 난리도 아니였어요

    갓지은 창고에다가 뒀기때문이였습니다

    매실이 있던곳에 환경이 여러모로 잘 맞으신거 같아요

  • 12. 강물처럼
    '12.9.16 6:11 PM

    댓글들을 보니 제가 운이 좋게 잘 된거 같네요..ㅎㅎ
    항아리에 담아서 공기 잘 통하는 옥상에 두었지요.
    햇빛도 그대로 받는 곳이라 좀 걱정이 되었는데 그게 오히려 좋은것이었는지.

    항아리 하나 비어 있는데 다른 효소도 한번 도전해 봐야겠네요.

  • 13. 곱게자랐어요
    '12.9.17 4:58 PM

    효소는 설탕을 먹이로 해서 좋은 성분이 밖으로 빠져나오는거 아닌가요? 달다고 하지만 그건 설탕과는 다른 당성분이라서 저도 일부러 모든 설탕재료에 효소액기스를 넣는데요.. 1:1비율로 안하면 과육이 남아서 아까울꺼같은데... 절임정도만 해도 썩지않기때문에 환경만 좋으면 썩지 않죠 그런데 저 과육 따로 장아찌 드시는거 아니라면 솔직히 아깝네요^^ 설탕 더 넣었으면 좋은 효소들이 빠져나오지 않을까 하는 짧은 소견입니다..^^

  • remy
    '12.9.18 10:25 AM

    좋은 성분은 삼투압으로 빠져나오는 것이구요,
    효소는 효모가 설탕을 먹이로 증식활동을 해서 만들어지는 성분입니다.
    제대로 발효가 되면 과육은 남지 않습니다. 분해되거든요.
    과육이 다 남아있다면 그건 그냥 설탕절임상태.
    그건 발효된 것이 아니고 그냥 절임.

  • 14. 솜이맘
    '12.9.17 10:08 PM

    효소강의를 들은 적이 있는데 효소가 잘된건 신맛이 나야 한다는군요 1:1로 담그면 신맛 절대안나죠 설탕을 조금 덜넣으면 20일 안으로 걸러 줘야한다고 했어요

  • remy
    '12.9.18 10:26 AM

    신맛은 발효되면서 생성되는 알콜을 제대로 빼주지 않아
    그 알콜을 먹고 초산균이 증식해 생기는 거죠.
    그게 아니라면 젖산균이 증식해서 시어지는 거구요.
    신맛이 있는 효소는 결국 제대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는..
    효재 자체에 신맛을 제외한 신맛은 초산균이나 젖산균으로 인해 만들어진 거예요.

  • 15. 러브미
    '12.9.17 11:37 PM

    와우~ 신기해요.
    정말 제것보다 (저는 매실:설탕:올리고당 비율을 10:10:1로) 좋아보여요^^
    저것은 식초대용으로 좋겠어요.
    전 단맛이 좋아서 요리에 설탕대신 넣거든요.
    올해 매실이 제가 주문한게 아주 좋아서 저는 40킬로나 담았답니다.
    아주 실하네요. 와 감탄하고 갑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36781 태풍이야 오거나 말거나...... 의연한 자세로 한잔~ 22 게으른농부 2012.09.17 9,239 5
36780 이벤트선정기념 간장게장및 베이킹 퍼레이드? 22 필로소피아 2012.09.17 9,243 3
36779 오랫만에 손님 초대와 오이소박이 33 도시락지원맘78 2012.09.17 19,592 1
36778 벌써 오미자가 나왔네요~ 9 백만순이 2012.09.17 6,399 1
36777 요즘 먹은 음식들 몇장 24 연인seo&rin 2012.09.16 12,804 2
36776 딸내미 다이어트 저녁밥상 49 연인seo&rin 2012.09.16 16,005 1
36775 당쇠팔자에 난생처음...... 장뇌삼 안심구이 17 게으른농부 2012.09.16 8,995 4
36774 매실에 설탕을 적게해서 담궈봤어요. 16 강물처럼 2012.09.16 13,909 1
36773 음주기록 그리고 주방 공개 49 최살쾡 2012.09.14 25,356 8
36772 9월 생일 밥상에 어울리는 소박한 반찬 3가지 19 경빈마마 2012.09.14 32,064 7
36771 간단한 점심식사 초대 24 에스더 2012.09.14 21,144 5
36770 늦여름 밥상과 고딩 아침 48 jasmine 2012.09.13 32,070 15
36769 일본 된장국 넣은 간단 저녁밥상! 9 조온 2012.09.13 11,994 1
36768 이제 두발 쭈~~욱 뻗고... 49 셀라 2012.09.12 17,180 2
36767 그간 먹고산 음식들 9 foodie 2012.09.11 12,488 1
36766 요즘 해먹은 음식(아구찜.탕수육 등) 42 냉이꽃 2012.09.11 14,267 5
36765 손님 초대음식 (남편 생일날 차려준 음식 : 연어구이 등) 49 janoks 2012.09.10 27,643 4
36764 좌충우돌맘 닉네임대로 정말 좌충우돌 생존기입니다...ㅠㅠ 60 좌충우돌 맘 2012.09.10 27,211 10
36763 감자 콩나물밥~ 17 은재네된장 2012.09.09 11,574 2
36762 당쇠의 처절한 밥상 48 게으른농부 2012.09.09 13,268 4
36761 우리딸 스무번째 생일파티 47 ilovemath 2012.09.09 20,594 2
36760 집사람 생일날... ^^;; - >')))><.. 24 부관훼리 2012.09.09 24,561 6
36759 엄마와딸이차린 남편생일상 13 blue violet 2012.09.09 13,516 2
36758 드디어 홍차 쿠키 레시피 올려요~ 19 조온 2012.09.09 7,160 0
36757 지난 여름 싱글밥상~~ 14 콤돌~ 2012.09.08 10,597 4
36756 스테이크로 차린 손님상이에요^^ 62 livingscent 2012.09.08 23,641 3
36755 비 내리는 주말에 어울리는 별미음식-우거지 된장수제비 14 경빈마마 2012.09.08 13,053 3
36754 닭볶음탕이 아니고 닭도리탕 11 열혈님 2012.09.08 12,263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