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키친토크

즐겁고 맛있는 우리집 밥상이야기

올 초 4~5일만에 완성한 메주로 담근 장 가른 후기~

| 조회수 : 8,562 | 추천수 : 1
작성일 : 2013-09-08 11:18:08
보통은 장 담근지 50~60여일만에 가르기를 하는데
쥐눈이콩 메주로 담근 것은 6개월 후에 해야한대서
모르니깐 경험자들 의견에 따라 이번에는 그렇게 해봤어요.



기억나시나요?
각각의 콩으로 메주를 만들어 3번 장 담갔었지요.



메주콩 된장



쥐눈이콩 된장



진공항아리 속 간장
하얗게 가운데 위로 모여든 내용물,
옹기항아리라면 장꽃이 되는데 누름판이 눌러주니 얌전한 상태네요.



옹기항아리 속 간장



장 가르고 한 달 지난 요즘 맛있는 냄새가 나서 열어보니
요렇게 하얗길래 장꽃인 줄 알았는데
된장박사 remy님 말씀이 효모막이라고 하네요.



고운 체로 걷어내고 속은 맑으니 항아리 밑 수도꼭지로 그냥 따라 먹으렵니다.



같은 간장이지만 진공항아리에 보관하는 장은 깨끗해요.




텃밭 정리하면서 발견된 노각들



천일염으로 살짝 간했다가



두 번 정도 짜주면 식감이 아삭아삭해서 맛있어요.
음식짤순이 덕을 올 여름에 많이 봤네요.



간장 항아리에서 집간장 따라내어 무치면 감칠맛이 돌아 정말 맛나요. 
고추가루, 냉동야채들, 설탕, 마늘, 매실효소, 식초 조금.



타파웨어 통인데 저 상태로 냉장보관하면 신선하게 잘 있어요~

*장류 전공하고 업계에서 근무한 경험 있는 *은*님이  쪽지를 보내주셔서 
두 항아리 간장을 다시 큰 진공항아리에 옮겨 담았어요.
옹기항아리 속 간장의 효모막을 최대한 고운 체로 제거하고
염도를 19보메로 맞추어 서늘한 곳에서 후 발효시키면 
장맛이 나아질 거라는 조언에 따라했는데  정말 고맙습니다.^^

옮기고 정리하고 염도계 꽂아보니 18보메던데 
진공항아리 누름판이 잘  눌러주니 괜찮을 거라 생각되서 소금 더 넣지는 않았어요~



                     .  



프리스카 (kumran60)

http://musoe.shop반려견들 키우며 시골살이하며단순무쇠 주방용품 쇼핑몰브랜드 순쇠 무쇠샵을 운영합니다.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이아가다
    '13.9.8 12:48 PM

    반갑습니다
    후기 기다렸어요 언제쯤 올려 주시나하고
    4~5일만에 메주를 만들어 된장을 만든다고하니..
    된장 맛도 궁금하고요

  • 프리스카
    '13.9.8 12:52 PM

    아 그러셨어요. 빨리 올릴걸 그랬습니다.
    그때 만든 건조 메주 한덩이 나눠서 진공항아리 밑에다 깔고
    장 가르면서 메주 으깨지 않고 간장 촉촉한 상태로 누름판으로 눌러
    지금 보관 중에 있는데 100일쯤 지나 골고루 으깨어 버무려주려고 해요.
    맛은 간장맛이 좋으니 따라서 좋을 것 같아요.^^

  • 프리스카
    '13.9.8 12:57 PM

    방금 된장항아리 열어보니 그새 더 부드러워졌는데 조금 먹어보니 맛있어요~

  • 2. remy
    '13.9.8 2:49 PM

    저 흰것.. 장꽃 아니예요..
    산막효모가 만든 막이죠..
    마치 오이지 담을때 위에 뜨는 골마지 같은 애들이예요..

  • 프리스카
    '13.9.8 4:10 PM

    remy님 말씀이 맞을테죠~
    글 수정했어요.^^

  • 3. 농부가된맘
    '13.9.8 3:06 PM

    장이 조금 싱거웠던게 아닌가 해요..

  • 프리스카
    '13.9.8 4:12 PM

    전통방식으로 치면 싱거울려나 모르지만 짠 편에 속해요.
    진공항아리 속 간장은 잘 있거든요.~

  • 꽃게
    '13.9.9 9:53 AM

    진공항아리 저도 써봤는데
    장이 익으면서 자꾸 속뚜겅이 밀고 올라와서
    수시로 공기 빼줘야 하고~~~구찮더라구요.
    요즘 것들은 안그런가요??

  • 프리스카
    '13.9.9 10:27 AM

    꽃게님,^^
    진공항아리는 발효가 얼추 끝나면 얌전히 잘 있어요~

  • 4. 짱가
    '13.9.8 4:55 PM

    작년 장항아리는 하얗게 막이 생겨서 몇 번을 걷어냈거든요. 그래서 올해는 장 가르기 한 다음
    소금 한바가지 더넣고 염도를 21도로 해두었더니 장꽃 몇개만 피고 멀쩡하게 여름 보냈습니다.
    짜면 음식할 때 조금만 넣으면 되지 뭐~ 했더니 괜찮았습니다.

    옆집 아주머니는 올 장 담글 때 옻나무 몇토막 같이 넣고 담으셨거든요.
    장이나 된장 먹고 옻 타면 어쩌나 걱정을 했는데 아주머니는 알려주신 분이 그렇게
    장담으면 맛있다고, 옻 심하게 타는 사람도 괜찮다고 했다고 옻 장을 담으셨거든요.

    얼마전에 궁금해서 된장을 찍어먹어봤는데 옻 심하게 타는 체질인데도 별반응은 없었습니다.
    간장은 무서워서 못먹어봤는데 옆집 아주머니는 그 간장으로 반찬 해드시는데 가족들
    다 반응없다고 하십니다.

  • 프리스카
    '13.9.8 5:04 PM

    검색을 하다보니 짱가님의 이와 비슷한 간장후기도 나오네요.^^
    대부분 싱거워서, 햇볕을 쬐이지 않아서 라는 내용이고
    어느 분은 EM미생물을 넣고 1년 지나서 항아리 열어보니 흰 막은 사라지고
    맑은 간장만 남았더라는 이야기도 써놓으셨어요.
    집에 미생물 있는데 넣어보려구요.^^

  • 프리스카
    '13.9.8 5:06 PM

    염도계 있으니 간장에 구운 소금 있는데 넣어보면 되려나요? ^^

  • 5. 콩새사랑
    '13.9.8 8:13 PM - 삭제된댓글

    아뭏든 프리스카님 대단하셔요
    기어이 완성하셨네요

    위에사용하신 진공항아리에서 효모막이보이지않는것은
    용기의 맨위까지 간장액이 충분히닿아있기때문입니다
    예를들면~
    외국의 와인제조시에도
    원래는 오크통에 내용물을 가득체워서 와인을만들지만
    혹자는
    효모막을이용해서 제조하는사람의경우
    오크통에 일부를남겨놓고
    산소와접촉하게만들어 그에서생긴 효모막을이용해
    색다르게제조하는원리와 같다고보심맞지요

    장꽃이든 효모막이든 시간이 모두 해결해주는겁니다
    바람과햇볕을쬐여주며 세월이지나면
    효모막과 장꽃이 숙성의과정을통해서 거의대부분 사라지게되지요
    간혹
    염도가낮아 시간이지나도 장꽃이남아있는 경우가있는데요~
    요런건 드신다고해도 아무런 우리건강상문제가없어요
    프리스카님~
    좋은 장 많이드시고 늘~~건강하셔요^^

  • 프리스카
    '13.9.8 9:59 PM

    장 전문가신 콩새사랑님이 이리 말씀해주시니 안심되고 좋습니다.^^
    효모막 검색해보니 와인이야기 나오던데 간장도 무관하지 않나봐요.
    아무튼 발효음식이 좋다니깐 조금씩이라도 장 담가 먹으려구요.

  • 6. 꽃게
    '13.9.9 9:51 AM

    아 저도 프리스카님 알려주신 방법으로 쥐눈이콩 1킬로 메주 만들어서
    미니 항아리에 장 담궜답니다.ㅎㅎㅎㅎㅎㅎ

    더 찬바람이 돌면 그 때 장가르려고 해요.

    저는 항아리에서 간장 충분히 익인후
    몸체는 뚱뚱하고 입구는 좁은 유리병(원래 와인병이어요. 코스트코에 팔던 달달한 와인)에 부어두면
    아주 간장이 안녕히 잘 있답니다.
    그대로 묵혀가면서 먹구요.
    항아리에 계속 두니까 장이 너무 쫄아들어요...ㅎㅎㅎㅎㅎ

  • 프리스카
    '13.9.9 10:30 AM

    저는 와인 만드는 유리병 있는데 간장이 충분히 익은 다음에 넣어야 되는군요.
    훼르망떼에 효소 보관하면 좋길래 장 가르자마자 넣었더니 효모막이 뜨길래
    진공항아리에 다시 넣어 지금 숙성 중이거든요. 하나 배웠어요.^^

  • 7. 프리스카
    '13.9.9 3:39 PM

    장류 전공하고 업계에서 근무한 경험 있는 *은*님이 쪽지를 보내주셔서
    두 항아리 간장을 다시 큰 진공항아리에 옮겨 담았어요.
    옹기항아리 속 간장의 효모막을 최대한 고운 체로 제거하고
    염도를 19보메로 맞추어 서늘한 곳에서 후 발효시키면
    장맛이 나아질 거라는 조언에 따라했는데 정말 고맙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41146 아이들 다 크고나니 이제서야 요리가 재밌네요 2 늦바람 2025.05.24 498 0
41145 밥도둑 돼지갈비 김치찜 5 캘리 2025.05.21 5,126 2
41144 잡채를 해다주신 이웃 할머니 15 인생 그 잡채 2025.05.20 5,653 2
41143 더워지기전에 8 둘리 2025.05.19 6,040 2
41142 절친이 주문한 떡 넣은 오징어 볶음 12 진현 2025.05.19 6,013 2
41141 자스민 향기에 취해... 8 그린 2025.05.18 3,335 2
41140 만두 이야기 19 진현 2025.05.15 6,926 2
41139 일년만에 6 미주 2025.05.13 7,733 2
41138 탄수화물 중독자의 메뉴들 ㅎㅎㅎ 19 벚꽃소리 2025.05.11 11,232 2
41137 2015-2025 레미엄마님을 추모합니다 54 행복나눔미소 2025.05.10 9,370 5
41136 분주한 부엌 일기 5 방구석요정 2025.05.10 5,666 3
41135 보고 싶은 은사님을 찾아서_스승의 날 특집(!) 18 발상의 전환 2025.05.08 6,450 1
41134 183차 봉사후기 ) 2025년 4월 향긋한 쑥전과 간단버전 깐.. 1 행복나눔미소 2025.05.07 5,220 5
41133 빵, 찬, 그리고 민! 16 고독은 나의 힘 2025.05.04 11,185 5
41132 연휴 일기 9 방구석요정 2025.05.04 7,366 3
41131 먹고사는 이야기 13 andyqueen 2025.04.27 12,075 2
41130 회복의 일기 6 방구석요정 2025.04.27 7,542 3
41129 10시에 시부모님댁으로 갈 반찬들. 10 진현 2025.04.27 10,613 4
41128 꽃순이의 먹고사는 이야기. 8 스테파네트 2025.04.26 6,800 5
41127 25년에도 족적을 남겨 봅니다. 10 김명진 2025.04.21 9,059 4
41126 혈당 다이어트 일기 4 방구석요정 2025.04.20 9,474 2
41125 봄~봄~봄이네요 4 남쪽나라 2025.04.16 8,575 3
41124 진짜 봄!!!!!(레시피 추가) 17 주니엄마 2025.04.13 12,155 4
41123 건강검진 일기 10 방구석요정 2025.04.11 8,818 4
41122 아직 아닌가 봄. 6 진현 2025.04.08 9,553 4
41121 봄이라서 10 둘리 2025.04.07 7,453 4
41120 이제야 봄 12 진현 2025.04.06 6,771 4
41119 부산 방문과 복국 13 방구석요정 2025.04.06 7,995 2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