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키친토크

즐겁고 맛있는 우리집 밥상이야기

달콤하고 부드러운 단호박죽

| 조회수 : 8,267 | 추천수 : 1
작성일 : 2011-10-26 21:02:33

저는 죽 종류 중에서 호박죽, 아니 더 정확하게 단호박죽이 제일 좋아요.

뷔페에 가면 깨죽, 전복죽..등등 많지만 죽은 호박죽만 먹게 되요.

식당에 가도 요즘은 애피타이저로 호박죽을 많이들 주는데 제대로 잘 끓여

내는 곳은 많지 않더라구요.

찹쌀가루, 또는 옹심이 만들어 넣고 콩이나 팥도 보통 넣는데 제가 끓이는

방식은 일단 콩, 팥은 안넣고 가루는 찹쌀가루 있으면 사용하고 없으면 밀가루

사용합니다. 밀가루 넣는 것도 부드럽고 좋아요.

호박죽 끓이려는데 찹쌀가루 없다고 포기하지 말고 집에 있는 밀가루로

끓여 보세요.

 

 아시는 분이 키운 호박을 하나 주셨는데 단호박치고는 속이 많이 노랗지 않네요.

감자 깎는 필러로 껍질을 깍아 가스불에 올려 삶아요.

보통 정도 크기의 단호박에 물 1리터 넣으니 적당하네요.

 

 

  잘 삶아졌으면 도깨비 방망이를 냄비에 넣어 드르륵 갈아줍니다.

순식간에 갈려요.

 

 

찹쌀가루가 없으므로 밀가루를 한컵 조금 못되게 넣었어요

(저 정도 양이라고 보여드릴려고 찍었어요)

 

 

  

사실 이과정이 중요해요.

살림에 관록이 높으신 분들은 아무것도 아니지민

젊은 분들은 단순하지만 쉽지않을거에요.

저 정도 밀가루양에 물은 굳이 재보자면 20cc라고 할수 있는데

밀가루에 물 2수저 정도 넣고 손으로 휘휘 둘러보고,

가루가 대강 안뭉쳐지면 다시 한저,한수저 물 넣으면서

손으로 휘휘 둘러봐서 약간 뭉쳐지는듯 하면 되는데요.

(완전히 반죽 하는게 아니고 ...설명하기가 어렵네요)

 

 

밀가루를 끓고 있는 호박에 조금씩 넣으면서 한손으로는 수저를 들고 풀어줍니다.

옹심이 대신 이렇게 넣으면 하얀 덩어리 씹히는 맛이 괜찮아요.

 

 

  

소금은 커피스푼으로 저 정도 넣으니 간이 맞네요.

설탕도 두 수저 넣었어요.

호박 당도에 따라 다르니 소금, 설탕양은 조절하세요.

 

 

달콤하고 부드러운 호박죽,

입맛 없을 때나, 환자가 있을 때, 아이들 간식으로 끓여 드세요.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보라돌이맘
    '11.10.26 9:26 PM

    맛이 그려지니...참...
    달달한 호박죽 한 그릇이 그리워지는 밤이네요.

    입천장 안 데이도록 방금 만든 것을 한 그릇 떠서는
    뜨겁게 후후 불어가며 한 숟가락씩 먹어도 맛있고.
    차갑게 식은 것을 먹어도 일품이지요.

    조금만 있으면 또 새 하루가 시작되니...
    내일 시장가면 단호박 몇 덩어리 사 와야지 하면서
    마음으로 달래 봅니다..^^

  • 2. minimi
    '11.10.26 11:01 PM

    달달한 호박죽 한 그릇이 그리워지는 밤이네요.222222

    저도 낼 단호박 한덩어리 사와야겠쪄요.^^

  • 3. jasmine
    '11.10.27 8:47 AM

    저도 어제 단호박죽 끓였어요....찌찌뽕~~
    날이 추워지니...아침에 아이 먹이기 좋더라구요. 밤에 야식으로도 부담없고...

  • 4. gift
    '11.10.27 10:02 AM

    정말 이런 섬세하고 소중한 레시피 너무 감사합니다.
    초짜는 증말 이렇게 알려 주셔야 말귀를 알아듣는다능...
    주말에 해먹겠슴다~

  • 5. 쎄뇨라팍
    '11.10.27 11:59 AM

    ^^
    아흥!~ 한 그릇 먹고프네요 ㅎ

  • 6. 납작만두
    '11.10.27 12:21 PM

    저두
    어젯밤 달달한 호박죽 먹었는데....^^
    시골서 가져온 늙은 호박이 많아서요.
    저는 하나씩 씹히는 팥의 맛을 좋아해서 팥을 넣어서 먹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40883 처음 구운 빵 2 푸루샤 2023.09.23 476 0
40882 지난 여름 도시락 12 서윤 2023.09.23 1,981 2
40881 맥주 좋아하세요? 34 메이그린 2023.09.20 5,719 5
40880 혼자먹는 밥 20 메이그린 2023.09.19 6,357 4
40879 집밥 6 경민맘 2023.09.19 6,346 5
40878 1분기 도시락 18 해리 2023.09.18 7,248 2
40877 출근하는 아이를 위한아침밥상 14 박다윤 2023.09.17 7,047 2
40876 소문듣고 왔습니다 11 초보파이 2023.09.16 5,790 6
40875 야매 가정식 백반 10 Alison 2023.09.16 7,388 2
40874 먹고 살기 6 경민맘 2023.09.15 5,767 3
40873 감자전, 오므라이스,그리고 아기고양이 입양 보냈어요 9 챌시 2023.09.15 4,652 3
40872 친정엄마생신&9월모의고사&음식나누기 54 솔이엄마 2023.09.11 9,824 7
40871 163차 봉사후기) 2023년 8월 닭볶음탕 2가지와 김치전 5 행복나눔미소 2023.09.10 4,307 3
40870 배달음식비 아껴봐요 ; 닭봉. 날개 간장조림 5 늦바람 2023.09.09 6,734 5
40869 친구 생일 선물 꽃물김치~월남쌈 9 해피바이러스 2023.09.09 4,639 4
40868 쉽게 만드는 감자스프 한그릇 (날아간 레시피 추가했어요) 23 챌시 2023.09.02 10,227 4
40867 캐나다 최동단 뉴펀들랜드주 캠핑카 여행기 1 24 Alison 2023.08.31 8,122 5
40866 밥 좀 볶을 줄 아는 아저씨입니다. 19 Mattari 2023.08.30 11,027 5
40865 시드니 스타일_월남쌈 14 솔바람 2023.08.25 10,376 3
40864 크랩애플(crab apple) 프로젝트 1 16 디카페 2023.08.25 6,239 3
40863 고독한 빵 만들기-내용추가 28 고독은 나의 힘 2023.08.25 8,667 4
40862 병원식 30 아큐 2023.08.24 7,258 6
40861 삼세번 12 juju 2023.08.22 6,755 2
40860 처음 만든 분짜 6 하늘호수 2023.08.20 7,860 2
40859 영원한 기본반찬들 22 냉이꽃 2023.08.17 13,755 3
40858 로컬장보고 빵도 굽고 그러는 밥상 19 조아요 2023.08.16 10,093 4
40857 청각요리 4 코스모스 2023.08.16 4,929 4
40856 대학생이 먹고 사는 이야기 5 - 1학년의 마무리 16 정진서랑 2023.08.15 8,121 5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