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마련한 그릇장, 두께가 불과 5cm 깊어졌는데 얼마나 수납력이 놀라운지... 싱크대 수납장에 들어있던 그릇들까지 모두 새집으로 이사 가서 자리를 잡고 앉았어요. 그리고도 남은 자리가 있어 뭘로 채우나 하고 있는데...
오늘 친정에 갔다가 낯익은 접시들을 발견했죠.
"엄마 이거 이담에 저한테 물려줘요."
"뭘?"
"이 접시들..."
"그거 사연있는 접시들인거 알지?"
"그럼, 아니까 갖고싶다고 하지"
"그걸 뭘 이담에 물려주니, 당장 가지고 가라, 그런데 집에 좋은 그릇많으면서 그건 왜..."
"엄마의 사연이 담겨있으니까..."

친정어머니 마음이라도 변할세라 당장 싸갖고 와서 우리 그릇장의 새식구가 된 애들이 바로 위의 접시 4장이에요.
이 접시들 나이가 저랑 비슷하다고 하면 믿으실래요? 60년생인 제 남동생의 누나들이에요, 이 접시들이.
저희 친정아버지 군인 출신이라고 말씀드린 적 있죠?
엄마와 아버지는 저 낳기 전과 제가 코흘리개 시절 진해에 사신 적 있어요.
진해에는 육군대학이 있었는데(지금도 그런지는 모르겠네요) 먼저는 육군대학의 학생으로, 나중에는 육군대학의 교관으로 아버지가 전근가셨기 때문이죠.
저희 친정어머니와 아버지는 나이차이가 10살이나 나요. 아버지는 중령때, 엄마는 정말 꽃처럼 예쁠 때 결혼하셨어요. 이 나이어린 신부는 남편이 영관급 장교이다보니 손님 치를 일이 잦았던 모양이에요.
그런데 40,50년 전이야 혼수로 그릇 잘 꾸며서 보내주던 때가 아니니까, 그저 밥이나 끓여먹을 정도의 양은그릇이나 있을 때죠.
누구하나 도와줄 사람없는 객지 진해에서 20대 중반의 어린 나이에 연년생 남매를 키우며 살던 저희 친정어머니는 박봉을 쪼개고 또 쪼개서 그릇을 하나씩 둘씩 장만하셨대요. 손님 초대할일은 자꾸 생기고 음식담을 그릇은 없고.
당시 정식 수입품이라도 있나요? 그렇다고 50년대 후반 국산품 질은 형편없고...
밀수품이 흘러나오는 곳을 기웃거리며 접시며 볼이며 찜기며 하나둘 모은 거죠.
제가 아주 어릴 때부터 아주 특별한 날 꺼내쓰시던 이 접시들, 같은 무늬를 겨우 2장씩 장만하셨어요.일본산은 일본산인데 노리다께는 아닌 것 같고, 하여간 지금봐도 여전히 예쁜, 그야말로 앤틱접시죠.
엄만 아버지 생신이며, 대령진급 턱 내실 때, 특별한 이 접시에 탕수육이며 닭강정이며 해파리냉채며 이런 저런 맛난 음식들을 듬뿍 담아내셨어요.
요즘이야 좋은 그릇 너무 많지만 제가 아주 어릴 때 이런 그릇이 흔치않았어요. 전 우리집에 이렇게 예쁜 장미꽃 접시가 있다는게 얼마나 자랑스러웠는지, 그런데 그 접시가 바로 오늘 제 차지가 된 거죠.
저 이 접시 잘 모셔두면서 특별한 날, 그날 메뉴 중 제일 맛난 음식을 담아 먹을거예요.
그리고 이담~에 제가 늙어서 더 이상 그릇을 관리할 능력이 없을 때 누군가에게 물려줄거예요. 제 딸을 주든가, 아니면 할머니라면 죽고 못사는 중3짜리 조카 형석이의 색시에게 주든가, 아니면 제 아버지보다 더 늙은 접시라며 조카딸 예림에게 주든가...
언제 이 접시에 맛난 음식을 담을까, 지금 머릿 속에 궁리가 가득하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