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수면 질이 너무 안좋은데...개선해보신분 계신가요?

,,, 조회수 : 4,716
작성일 : 2025-08-28 18:32:10

두시간정도 자면 꼭 깨고..다시 잠드는데..두어시간은 걸립니다.

총 5~6시간 자나봐요.

깊게도 못자고, 깨면 한참있어야 해요.

병원가서 멜라토닌 처방이라도 받아야 하는건지....

하루종일 외출하고 오면 피곤해서라도 좀 길게 잤었는데 요즘은 그렇지도 않네요.

낮잠은 10분정도 깜빡 졸때 있지만 거의 안자고요(밤에 못잘까봐요.)

 

그나마.자다 깼을때 핸드폰안하고, 책보거나

조명 안켜고 잠올때까지 버텨보는게 최선이긴한데.....종종 잠이 아예 안올거 같은 기분이 들곤해요.

잠부족하니 면역력 떨어지는거 느껴지고..(몸가렵고 그래요.)

ㅜㅜ

6시간이상 통으로 푹 자고 싶어요.

 

IP : 211.244.xxx.191
2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도 그래요
    '25.8.28 6:36 PM (175.112.xxx.206)

    자기 전에 마그네슘은 꼭 먹고
    타트체리즙 먹기도 하고
    식물성멜라토닌도 먹고
    저녁에 상추 자주 먹어요
    대추도 좋다고 하더라고요

    매일 수면질이 좋은건 아니지만 이삼일에 한번은 5시간 이상 통잠 자요

  • 2. momo15
    '25.8.28 6:37 PM (175.115.xxx.124)

    오전에 운동하는게 좋다고해요 저도 한참잠못잘때 너무 힘들고 피부발진이 생겼었는데 아침에 아이학교갈때 무조건같이나가서 공원한바퀴돌고 계단타고 집에 들어오는거 한달했더니 불면증 피부병 입병 가슴두근거림 불안초초한기분 몸붓는거 싹없어져ㅛ어요

  • 3. ㅇㅇ
    '25.8.28 6:41 PM (222.233.xxx.216)

    서카딘 처방 받아드시고요 마그네슘 드시고 귀마개도 하세요
    제가 매일 이렇게 잠드네요

  • 4. ..
    '25.8.28 6:42 PM (110.70.xxx.136) - 삭제된댓글

    저는 나약한 인간이라 그런지..
    정신과 가서 약 처방받아 먹어요.
    두달 정도 잠을 못자니 업무에 큰 지장이 생기더라구요.
    전 평안을 찾았어요.

  • 5. 저녁에
    '25.8.28 6:44 PM (1.236.xxx.114)

    마그네슘먹고
    따뜻한물에 샤워하거나 욕조목욕하고
    스트레칭좀하고
    몸에 힘을 풀고 누워요
    마음속으로 감사기도드리고 좋은 생각합니다

  • 6. ...
    '25.8.28 6:44 PM (219.254.xxx.170)

    얼마전에 식물성 멜라토닌 후기 글 읽고 저도 쿠팡에서 사봤거든요.
    기분 탓일지 모르겠지만 먹고 나면 잠이 잘 오는거 같아요.
    근데 충분히 안자면 다음날 계속 졸리더라구요.

  • 7. 운동 전
    '25.8.28 6:44 PM (180.227.xxx.173)

    도움이 일도 안되더라구요..
    오전에 1시간 이상 운동하거든요.
    마그네슘도 먹은 날은 더 못자고요.
    멜라토닌 먹어보려고 해요.
    근데 그것도 내성생긴다고 해서 슬퍼요.

  • 8. ...
    '25.8.28 6:50 PM (58.145.xxx.130)

    저는 제가 불면이거나 수면장애가 있다고 생각은 안했었는데, 바뀌고 나서 그동안 제가 수면장애가 있다는 걸 뒤늦게 알았어요
    일단 저는 올빼미 체질인 줄 알았어요. 12시 전에 잠드는 일 없었고, 통상 1시 이후에 잠들었어요
    그리고 커피를 마셔도 수면에 아무 상관없는 사람인 줄 알았고요. 그래서 하루 10잔 이상 마셨지만, 잠 자는데 문제 없었어요
    자다 깨서 화장실 1~2가는 건 뭐 다들 기본적으로 그런 건 줄 알았고요. 특별히 생각 안했었어요

    그런데 코로나 후유증으로 커피를 안 마시게 되면서 올빼미 증상이 없어져서 12시를 넘기지 못하게 됐어요. 역시나 카페인 영향이 없었던 게 아니었나 봅니다
    그리고 새벽에 1시간 정도 7킬로 정도 걸었어요. 이때부터 새벽에 깨는 일이 없어졌어요
    진짜 통잠을 자게 된 거죠
    12시 전에 잠자고 해뜰 때 눈이 떠지고 그 사이에 한번도 안깨고 자요
    그 후에 새벽 운동을 좀 더 빡세게 해서 평지를 걷는게 아니라 낮은 산을 등산하는 걸로 바꿔서 운동강도를 높였는데, 숙면의 질이 훨씬 더 좋아졌어요

    빡쎈 운동이 숙면에 도움이 많이 되는 것 같아요

    그리고 전혀 엉뚱한 불면의 원인이 있을 수 있어요
    제가 원래 머리를 베개에 대면 그대로 잠드는 스타일이었는데 한 10년 전 쯤 밤을 꼴딱 새우는 불면증에 시달린 적이 있었는데, 그때 배우던 운동 때문이었어요.
    그 운동 그만두고 나서 저절로 나았는데, 원글님도 특정한 그러나 사소한 생활습관 변화가 불면을 악화시켰을 수 있어요.
    저는 그게 너무 이상해서 논문도 다 찾아봤는데, 그 운동이 특별히 불면을 유발한다는 보고는 절대 없죠(당연하죠). 그래도 제가 4년이나 이리저리 테스트해본 결과 그게 원인이라고 특정할 수 밖에 없었어요
    그래서 불면을 유발하는 그 원인이 너무 개인적으로 특별한 경우에는 본인이 알아내는 수밖에 없어요. 진짜 아주 사소한 생활습관 변화나 행동 환경 때문일 수 있는데, 그건 보통 알려진 것이 아닐 수도 있어요
    그건 원글님이 본인 생활 패턴을 분석해서 알아내야 해요

  • 9. ....
    '25.8.28 6:52 PM (211.244.xxx.191)

    약처방 정신과 가야하나요? 그냥 가정의학과나 내과는 안되나요...?

  • 10. ,,,
    '25.8.28 6:56 PM (211.244.xxx.191)

    오전에 운동은 1시간정도 하고 있어요.(땀 흠뻑날정도로..)
    경험상..거의 하루종일 몸이 힘들도록 돌아다니거나하지 않으면 통잠은 거의 못자네요.

  • 11.
    '25.8.28 7:03 PM (121.167.xxx.120) - 삭제된댓글

    10시에 자면 소변때문에 두번은 깨요
    깨서 잠 못자고 날 밤 샌적도 가끔 있어요
    불 끄고 TV 소리 들릴듯말듯 켜고 눈감고 집중해서 들으면 잠을 자게 돼요
    운동 한시간씩 주4회 힘들게 해요
    좋은 침대로 바꾸고 나서 잠을 잘 자요

  • 12. 오랜불면증
    '25.8.28 7:06 PM (116.33.xxx.157)

    오랜 불면증 해결한방법입니다

    1. 비타민디
    2. 야외활동
    3. 마그네슘
    4. 자기전 스트레칭

  • 13. oo
    '25.8.28 7:09 PM (49.166.xxx.213) - 삭제된댓글

    자기 전 아령운동 10분만 해보세요.

  • 14. ㅡㅡ
    '25.8.28 7:16 PM (220.240.xxx.172)

    저도 그냥 항우울제 먹어요
    마그네슘 이랑..
    잠 못 자면 노화 온데서..
    커피 초콜렛 다 피해요

  • 15. oo
    '25.8.28 7:18 PM (39.7.xxx.60)

    쿠팡 알바 나가세요. 농담안하고 기절함

  • 16. ...
    '25.8.28 7:19 PM (211.244.xxx.191)

    스트레칭이랑 아령 꼭 해볼게요...답변달아주신 모든분들 감사합니다..꿀잠주무시길.

  • 17. 혹시
    '25.8.28 7:27 PM (1.234.xxx.220) - 삭제된댓글

    커피 드시는 건 아니죠?
    저는 커피 마시면 얕은 잠을 자더라구요.
    제가 잠귀가 밝은 줄 알았는데 커피 끊어보니 그냥 카페인 효과로 선잠 잤던 거였음.

    그리고 마트에서 파는 식물성 멜라토닌도 효과 있는 것 같아요. 트레이더스 갔다가 마그네슘도 든 멜라토닌을 사봤는데요. 잠이 빨리 안 들어 애먹는 경우가많은데 더 쉽게 잠들고 깊이 통잠을 자는 것 같아요.

  • 18. ㄱㄱㄱ
    '25.8.28 7:30 PM (112.150.xxx.27)

    약은 꼭 정신과추천합니다.
    여기저기서 다 처방해주지만
    전문가는 달라요
    경험담입니다

  • 19. ..
    '25.8.28 7:32 PM (39.7.xxx.114)

    속는셈치고 휴대폰 끄고 딴 방에 두고 주무셔보세요
    진자 푹 자게 됨..

  • 20. .....
    '25.8.28 7:39 PM (115.21.xxx.164)

    1. 커피를 완전히 끊어보세요.
    2. 아침 일찍 일어나서 활동하면 밤에 일찍자고 숙면합니다.
    3. 자기전 뜨거운 물에 목욕

  • 21. ....
    '25.8.28 7:48 PM (59.12.xxx.20)

    우울증 왔을 때 안정제, 수면제 처방받아서 겨우 자긴 했는데 수면제는 꼭 졸피뎀 아니더라도 내성이 금방 생기더라고요.
    수면제 효과 딱 이틀 봤어요.
    이후 몸과 마음 건강 회복하면서 수면시간도 조금 늘기는 했지만 예전처럼 푹 자지는 못해요.
    저도 5시간 통잠 잔 날은 횡재한 기분이에요.

    그냥 이것저것 다해요,
    커피도 끊어보고 멜라토닌이나 타트 체리, 마그네슘도 먹어보고
    혈당 스파이크로 기절해볼까? 하면서 뭔가 배부른 걸 먹어보기도 하고요 ㅎㅎㅎ
    머리 아픈 핑계로 타이레놀 먹으면 운 좋으면 잠들 때도 있고요.
    저는 뭘 들으면 그나마 잠이 좀 드는 편이라 되게 졸린 유튜브 같은거 켜놓기도 해요.
    불면증 검색하면 관련 유튜브 되게 많아요.
    참! 제 방이 동향이라 아침에 햇살이 잘 들기 때문에 암막커튼도 달았어요.
    확실히 아침에 좀 더 자게 돼요.

  • 22. 갱년기
    '25.8.28 7:52 PM (221.140.xxx.8)

    갱년기면 수면질 안좋아요
    멜라토닌, 테아닌, 마그네슘 드셔보시고
    그외 태반주사도 효과 좋다고해요
    디클라제 성장호르몬주사랑

  • 23. ㅇㅇ
    '25.8.28 8:06 PM (125.130.xxx.146)

    커피나 카페인 섭취를 어느 정도 하시는지요

  • 24. 그거
    '25.8.28 8:32 PM (14.6.xxx.135)

    약먹어야합니다. 제가 심한 불면증이라 현재 병원약 먹고 있는데...처음엔 멜라토닌 처방해주셨는데 이게 낮에도 졸려서 물어보니 사람에 따라 낮에 졸릴 가능성이 있다고해서 약을 바꿨어요.그후 잠은 잘드는데2시간내지 3시간만에 깬다고하니 중간에 깨지않고 자는 약을 처방해주셨고요 현재는 잘 잡니다.첨에 약이 체질에 따라 안맞을수 있어서 2~3번 교체될수도 있을거예요.

  • 25. 판다댁
    '25.8.28 8:44 PM (172.226.xxx.42)

    수영해보셔요 꿀잠예약입니다

  • 26. ㅇㅇ
    '25.8.28 8:54 PM (211.228.xxx.239)

    원글님~~
    속는셈치고 동네 '온누리약국' 가셔서
    '식물성 멜라토닌 밤' 꼭 사서 드셔 보세요.

    저는 잠은 쉽게 드는 편인데 깨면 새벽2~3시 ㅠㅠ
    그때부터 뒤척이다 새벽 6시경 겨우 한 30분 잠들려다 알람으로 깨는 수면 스타일인데요.

    - 오후에 수영하기
    -저녁쯤 마그네슘먹기
    -운동 못한 날은 자기전 반신욕
    - 너무 피곤하면 자려고 테라플루 나이트도 먹었는데
    크게 효과 못봤어요.

    병원에가서 처방을 받아야되나...하는 참에
    지인이 추천해서 먹었는데
    요즘 새벽 5시까지는 안깨고 잡니다. (저한테는 기적)
    한 달분 2만원입니다.
    약사한테 물어보니 부작용 없다고 해요.
    이것저것 다 해봐도 소용없으면 멜라토닌 추천합니다.

  • 27. 코코2014
    '25.8.28 8:58 PM (58.148.xxx.206)

    수면장애 오래된 사람인데. 제 경험에 비춰어 보면 졸피뎀은 수면 유도만 하지 두시간 지나면 또 깨요. 다른 정신과 약들은 다음날 너무 몽롱하구요.

    운동량이 많이 부족한 편인데. 마그네슘만 먹고 자도 덜 깨고 조금 더 길게 자더라구요.
    낮에 많이 활동하면 당연 더 잘 자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48036 무릎 수술 회복기간 알려주세요. 6 데이지 2025/08/28 1,407
1748035 영화 ‘요람을 흔드는 손’ 아세요? 19 추억의영화 2025/08/28 5,067
1748034 섹스리스라서 괴롭습니다만 84 ㅎㅎㅎ 2025/08/28 20,077
1748033 유부남의 저녁식사 제안 19 ... 2025/08/28 6,789
1748032 이억원 후보자 10억 주고 산 재건축 아파트 50억 호가 7 대단 2025/08/28 2,998
1748031 중간 관리자로서의 대처 1 상담 2025/08/28 969
1748030 기억에 남는 가르침이 있으신가요 4 ㅗㅓㅗㅗㄹ 2025/08/28 1,250
1748029 일반고 생기부가 안좋은게 학생탓인가요? 33 생기부 2025/08/28 2,662
1748028 내년 건강보험료율 7.19%… 직장인 월평균 2235원 더 낸다.. 10 .... 2025/08/28 2,444
1748027 진화적 관점에서 성욕은 좀 퇴화되는게 맞을듯 7 ㅇㅇ 2025/08/28 1,566
1748026 주방 식칼 뭐쓰세요? 12 ... 2025/08/28 2,259
1748025 아나운서하시던 인플루언서분..얼굴시술이 ㅜㅜ 32 . . . .. 2025/08/28 24,520
1748024 65세 파킨슨 진단.. 4 ㅇㅇ 2025/08/28 4,471
1748023 책을 읽어도 기억이 안나요... 9 집중 2025/08/28 2,299
1748022 누가 성욕을 기본 욕구라고 하나요? 23 ㅇㅇ 2025/08/28 5,732
1748021 혼자 개 데리고 다니는 여자에게 유독 시비 거는 이유?? 33 개산책 2025/08/28 3,042
1748020 미국주식 어떤거 얼만큼 사셨어요? 19 병아리 2025/08/28 4,168
1748019 민주 "내란특별재판부 신속 설치 결의" 18 빨리갑시다 2025/08/28 2,399
1748018 트럼프에게 질문해 한방에 숙청sns를 해결한 기자 칭찬해주세요 ㅇㅇ 2025/08/28 1,235
1748017 당뇨로 신장 안좋아진 경우 뭘 먹어야 하나요? 15 ... 2025/08/28 3,148
1748016 같이 식사하는 사람이 먹던 젓가락으로 6 여름끝 2025/08/28 3,110
1748015 윤석열 정권 폭력 피해자 노은결 소령 채해병 특검에 고소장 접수.. 4 서울의소리(.. 2025/08/28 2,073
1748014 구속 축하 카퍼레이드 요약본 보세요 1 ㅋㅋㅋㅋㅋ 2025/08/28 1,276
1748013 오이피클을 만들어야 하는데요... 3 5252 2025/08/28 760
1748012 돈안쓰는 사람 16 아이고 2025/08/28 5,2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