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키친토크

즐겁고 맛있는 우리집 밥상이야기

프리스카님께 무한한 감사를~^^

| 조회수 : 12,722 | 추천수 : 2
작성일 : 2013-01-27 13:24:43

프리스카님이 벌서 된장 담구시는 것을 보고

저도 급한 마음에 메주를 만들어 봤어요!^^

 

 

콩을 하루 정도 충분히 불려서 오쿠로 3시간 정도 삶고

열기 가 식기 전에 처음엔 밟고 나중엔 절구에 찌어서

두부 틀에 성형을 해서 하루 정도 말렸어요!

 


아파트에 사는지라 볏짚을 구하기 어려워

저도 집 앞 공원 나무에 달려있는 나뭇잎과 마른 풀을 잘라서

나름 깨끗히 세척 한 후에

저렇게 해서 빈 상자에 조그만 발효기를 넣고 담요를 덮어 30시간 정도  띄워 보았어요!

 


잘 되었지요! ^^

 


띄우 뒤에 오븐에서 약한 온도로 10시간 정도 말리고

자연 건조 시키는 중이예요!

자신감이 생겨서 연이어 6개를 더 만들었는데

발효온도와 메주양이 안맞았는지 ..잘 안띄워져서 지금 고민하고 있어요!

일단 성공한 것만 보여 드리려구요...^^ㅎㅎㅎ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 유명한

할머님동치미 !

기대안하고 그냥 했는데 대박~ 대박~ 대박~!

너무 맛있어요!

어릴 때 엄마가 해주셨던 항아리 동치미 맛이예요!

무가 아삭 아삭~ 국물도 짭잘하지만 물타면 되구요!

전 만든지 3일만에  스탠드김냉 두번 째 칸에 넣어두고

1달만에 열어보았는데 그 때는 익은 냄새가 약간 났지만 춥기도 해서

먹을 생각을 못햇거든요...!

 


 

그런데 주말에 팥죽 먹다가 생각이 나서 2달만에 열어 보았더니

맛있는 냄새가 확~ ㅋㅋ

 

정말 뜨근한 팥죽과  아삭하고 차가운 동치미가

주말 아침을 행복하게 해주었답니다!

 

프리스카님~

따라하기 성공한 것 보고 드립니다!

정말 감사 드려요! ^^

 

2월 4일이면 벌써 입춘이네요!

모두들  마음도 몸도 추웠던 긴겨울이었지만...

그래도 봄은 오네요!

우리네 삶에도 봄이 찾아오길 바라며서

건강하세요~^^


 

3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프리스카
    '13.1.27 2:25 PM

    낙엽이 더 수북히 많았더라면 좋았겠어요. 그래도 잘 떴네요.^^
    청국장 띄우는 온도라 해도 물기 턴 젖은 낙엽이라 그 보다는 낮은 온도에서 띄우는 것이니
    시간을 좀더 놔둬보세요. 아무튼 청국장 냄새가 막 날라고 하는 상태가 되면 꺼내서 건조하세요.
    마른 메주콩 무게로 될 때까지 메주 건조시킨 다음에 장 담그시면 됩니다.

    동치미도 다음부턴 빨리 먹어야 제맛이니 저염도로,
    푸른 잎이 누르스름해졌을 때 김치냉장고로 넣으면 좋겠다...
    이번에 담가보고 저도 터득했어요.

    감사인사 저도 감사드려요.^^

    두부 틀 잘 뜨는 메주 크기에 적당한 사이즈네요. 메주들이 이뻐요.^^
    그리고 실내 볕 잘드는 곳에 놔두면 메주에 곰팡이가 더 피면서 마르긴 해요.

  • 우화
    '13.1.27 10:59 PM

    프리스카님, 메주띄울때 온도가 낮으면 발효 안되고 마르기만 할까요?
    만들고 싶은데 울집은 온도가 낮아요, 게다가 전기장판도 없고....

  • 동방생나님
    '13.1.27 11:14 PM

    처음에는 그냥 해보는 거니깐 대충 따라서 하고 시간도 편하게 보내면서 해서 그런가
    잘 되었다고 생각하고 멈추었는데, 자신감이 생기고는 얼마나 조바심을 냈는지 손을 많이
    타서 잘 띄워지지도 않고 약간 쉰냄새도 나고 ...먹어보면 달큰한데 이걸 어찌 해야 하는지...ㅋㅋ
    그냥 햇볕에 바짝 말려 볼까 생각 중이예요!

  • 프리스카
    '13.1.27 11:44 PM

    동방생나님, 우리 옆집 메주가(비닐하우스 안에 짚으로 엮어 매달은) 그랬는데
    전기장판에 저처럼 해서 흰 곰팡이 다시 띄도록 해서 고쳤어요.
    발효 중에는 손을 안 타는 것도 중요해요. 궁금해도 코로 냄새 맡고 기다려야 되더라구요.^^

  • 동방생나님
    '13.1.28 12:14 AM

    프리스카님 아이디어로
    오전에 공원가서 낙엽 다시 새로 모아서
    좀 시간을 두고 해볼께요!
    나머지 6개는 유익균이 생기다 말았어요...쉰냄새가 좀 나길래
    얼른 건조시켰거든요! 다시 될까 싶지만...우잉 무서버!^^

  • 2. Barbara
    '13.1.27 2:55 PM

    와~ 잘 만드셨네요~~
    메주까지 만드시고 대단하세요~~^___^~~

  • 동방생나님
    '13.1.27 11:23 PM

    감사합니다~

  • 3. 하얀공주
    '13.1.27 7:16 PM

    낙엽으로도 메주가 띄워지네요. 신기 신기^^
    실험정신 짱이십니다. 동치미도 너무 맛있어보이네요.

    메주 저도 해볼까봐요.^^

  • 동방생나님
    '13.1.27 11:16 PM

    그러게요...낙엽으로 되더라구요!
    한 번 해보니깐 내년엔 더 잘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 4. 꽁이 엄마
    '13.1.27 9:12 PM

    세상에... 정말 대단하십니다. 어쩜 매주까지 저도 한 수 배우고 갑니다

  • 동방생나님
    '13.1.27 11:24 PM

    프리스카님 글참조가 더 도움되실거예요!

  • 5. 우화
    '13.1.27 11:00 PM

    저도 메주콩 사왔는데 차일피일 미루기만 하던중
    다시 의욕이 솟아요, 함 해볼까.....^^;;

  • 동방생나님
    '13.1.27 11:22 PM

    해보기 전에는 실패에 대한 약간의 두려움이 있었는데
    한 번 해보니깐 나름 창작욕구가 불끈 솟으면서 ㅋㅋ
    올해 맛있는 된장을 기대하지는 않지만 작년에 만든 된장보다는
    괜찮으리라 생각해봅니다!
    (작년에 산 메주는 검은 곰팡이에 잘 띄워지지도 않아서...1/3 버렸어요!)

  • 프리스카
    '13.1.27 11:39 PM

    제가 먼저 해보고 알려드리면 더 좋겠지만 문득 떠오르는 아이디어에요.
    스치로폼 안에 전자모기향 본체 넣고 청국장 띄우잖아요.
    모기향 넣을려고 구멍 뚫은 것은 도로 다 막지만 미세하게(냄새 맡을 수 있게) 틈 조금 남겨놓고
    바닥에 키친타올 깔고 씻어 물기 없앤 젖은 낙엽 넣고 메주 넣고 다시 낙엽으로 덮고 띄워보세요.
    발효 적정온도가 36도라 하셨으니 거기에 맞추면 될 것 같아요.^^

  • 6. 생강나무꽃
    '13.1.27 11:55 PM - 삭제된댓글

    쉰다리 올리셨던분이시죠....반가와요^^

  • 동방생나님
    '13.1.28 12:09 AM

    네~ ^^
    저도 반갑습니다!
    아! 이번 메주도 맛난 된장으로 성공적이었으면 좋겠어요!ㅋㅋ

  • 7. 베고니아
    '13.1.28 12:13 AM

    메주 ... 하얀곰팡이 이쁘게 피었네요^^

    프리스카님~
    전기장판으로... 청국장 띄우는법 알려 주실 수 있으신지요^^;;

  • 프리스카
    '13.1.28 12:17 AM

    메주가 아니고 청국장 말씀하시는거죠?
    청국장은 짱가님이 박사신데 좀 기다려보세요.^^

  • 프리스카
    '13.1.31 4:00 PM

    댓글의댓글엔 링크가 안달려 저 밑에다 댓글 새로 달았으니 보세요.^^

  • 8. 프리스카
    '13.1.28 12:33 AM

    동방생나님, 한번 보세요.^^
    http://www.82cook.com/entiz/read.php?bn=8&keys=%2A&num=1193502

  • 동방생나님
    '13.1.28 10:15 AM

    다 읽어보았는데요...점점 좌절 모드예요! ㅠㅠ
    아침에 쪼개서 맛을 보니 쉰냄새와 꼬리한 냄새가 나면서
    쉰맛도 나네요!
    그럼 이 6개는 버려야 하나요...?
    따로 요녀석들만 어떻게 구제가 안될까요? 힝힝 ㅠㅠ

  • 프리스카
    '13.1.28 10:20 AM

    저도 어제 검색해보니 쉰냄새는 발효 중이래요. 발효 잘 되는 중에 멈춘 것 같아요.
    쉰냄새를 지나 꼬리한 냄새로 발전할 수 있었겠다 싶어요.
    바람 통하고 햇볕 드는 곳에 그래도 꾸준히 잘 말리면 쉰냄새도 없어지고
    건조된 후에 장 담그면 괜찮다니깐 버리지 마시고 그냥 잘 뜬 메주와 섞어서 하세요.^^

  • 9. 그럼에도
    '13.1.28 9:27 AM - 삭제된댓글

    우리네 삶에도 봄이 찾아오길 바란다는 마지막 구절이 참 따스합니다.^^
    전 지난 김장때 동치미 안 해서 가끔 동치미 생각나 반찬가게를 기웃거리지만
    올가을은 한번 도전해 볼거예요.

  • 동방생나님
    '13.1.28 10:16 AM

    네~ 한번 해보세요!
    소금량만 조금 줄여서 하면 정말 손쉽게 맛난 동치미를 만나시게 될거예요!

  • 10. 프리스카
    '13.1.28 10:51 AM

    동방생나님, 쪽지 보냈어요.^^
    일부는 그 원글 댓글에서 퍼왔어요.

    메주에서 쉰냄새가 난다고 걱정하시는 분들이 있어
    오늘 조숙자선생님께 여쭈어 보았는데 메주가 쉰 것이 아니고
    원래는 바로 삶은 콩을 찧어서 메주를 만들어야 하는데
    미리 삶아서 찧어 놓은 것이라 일시적으로 나는 현상이라고 합니다.
    일종의 발효과정이라고 하는군요.
    통풍이 잘되는 곳에 잘 말리면 아무 문제가 없다고 하니 큰 걱정을 하시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 11. 씽씽
    '13.1.28 1:04 PM

    헐~~~~
    메주를 만드셨다고라???
    동치미까지요? 와우..
    저도 한번 해보렵니다.

  • 12. 게으른농부
    '13.1.28 5:59 PM

    도전정신이 퍼뜩 떠오르는데요~
    올가을엔 꼭 해봐야겠다 싶은 마음이 듭니다.

    그나저나 우리집 여편네는 왜 동치미를 안해주는지...... ㅠㅠ

  • 13. 난나
    '13.1.28 6:31 PM

    진짜 큰일하신것 같아요.
    왠지 해보고 싶지만 .. 팥죽으로 대신해야겠어요.

  • 14. 프리스카
    '13.1.31 3:57 PM

    베고니아님, 짱가님 블로그 글 가져왔어요.^^
    천천히 읽어보세요.

    http://kyoungjju.blog.me/20043017820

  • 15. 간장게장왕자
    '13.4.1 5:22 PM

    우와 정말맛있어보이네요 침이 꼴까닥 넘어가내여 대박입니다 ^^ 언제한번 먹어봐야 할것갇은 마음뿐
    으아 먹고 싶다 ~~~^^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37369 제주도 여행기- ^^ (스크롤 압박이...!) 95 나우루 2013.01.29 16,654 7
37368 매워도 다시 한 번, 매운 갈비찜 21 손사장 2013.01.29 10,611 1
37367 진짜 *레스토랑* 맛이 나는 파스타를 만들고 싶으시다면!! 클릭.. 147 니나83 2013.01.29 42,394 20
37366 페파로니 피자 원숭이빵 38 에스더 2013.01.28 11,945 4
37365 남의 집에서 사먹은 밥 이야기 스압.고양이사진有 67 치로 2013.01.27 17,617 4
37364 노처녀의 싱글 테이블 2 - 김밥 + 국수 34 B형여자 2013.01.27 15,663 2
37363 프리스카님께 무한한 감사를~^^ 28 동방생나님 2013.01.27 12,722 2
37362 참돔 한 마리로 깐풍도미와 어죽~^^ 29 Barbara 2013.01.27 7,486 3
37361 반죽이 필요없는 완전 쉬운 발효빵 33 도토리또 2013.01.27 12,899 2
37360 가자미식해 11 안개바람 2013.01.27 7,125 3
37359 부드러운 갈비찜과 잔치국수 성공기^^ 37 아베끄차차 2013.01.26 20,227 8
37358 수요일의 저녁, 금요일의 야식 ^^ 22 딸기가좋아 2013.01.26 11,215 1
37357 겨울방학, 고딩 도시락 모음 151 jasmine 2013.01.26 39,312 21
37356 직딩아자씨 쉬는날 잡일하고 사월이가 만든 김밥먹은 이야기 23 부관훼리 2013.01.26 16,159 9
37355 묵은 파김치를 이용한 요리 3가지 15 손사장 2013.01.26 41,961 4
37354 따라쟁이는 아니지만 저도 경양식을 해봤어요. 35 육절금 2013.01.26 12,048 6
37353 지원아빠..대과귤로~~ <사진 없스무니다. ㅋㅋ.. 5 나니요 2013.01.25 5,664 0
37352 튀기고 굽고. 39 둥이모친 2013.01.25 13,647 4
37351 따끈한 아침 수프-간단해요 25 수리수리 2013.01.25 14,500 6
37350 자취생의 식단공개 62 벚꽃동산 2013.01.25 15,464 4
37349 엄마손맛은 몇 살쯤 되어야 생기나요? 54 LittleStar 2013.01.25 14,989 4
37348 36차 모임공지...(언니가 간다!! 죄송계좌의 탄생비화) 4 카루소 2013.01.24 5,430 8
37347 멸치볶음/ 밑반찬 멸치볶음/ 멸치무침 이제 볶지 마시고 무치세요.. 9 배누리 2013.01.24 16,331 2
37346 감자밥 19 게으른농부 2013.01.24 6,798 1
37345 김밥 싸먹은 이야기. 38 나우루 2013.01.24 16,904 4
37344 웃지 못한다는 희귀질환을 가지고 태어난 조카-집에서 차린 백일상.. 52 캥거루 2013.01.24 16,947 17
37343 카라멜라이즈드 어니언으로 만든 궁극의 함박 스테이크. 이보다 더.. 86 니나83 2013.01.24 30,636 13
37342 처음이라 수줍게 먹고 살았던거 올려보아요 14 육절금 2013.01.24 6,905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