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짭짤 고소한 김혜경의 사는 이야기, 요리이야기.

오늘 저녁 우리집 저녁밥상

| 조회수 : 15,707 | 추천수 : 380
작성일 : 2010-05-13 19:41:45


음식이란게,
레시피를 보고, 엄마한테 혹은 요리학원을 다니면서 배워서 하는 것 일수도 있지만,
어쩌면 아주 우연하게 탄생하게 되는 건지도 모르겠어요.

kimys의 생일날 했던 음식 중에 유린기가 있었는데요,
이 유린소스가 좀 남았었어요.
소스만 남아있어 버릴까 하다가 아까워서, 어디엔가 응용해보기로 했었답니다.




저녁에 뭘할까 하다가, 임연수어를 한마리 구웠습니다.
완전히 해동해서, 물기가 거의 없도록 손질해서 구워야 좋은데,
그만 늦게 해동을 시작해서, 물기를 완전히 없애지 못하고, 물기가 있는 상태로 구웠습니다.
당연히 모양이 흐트러지지요.

어찌어찌 모양을 크게 상하지 않게 해서 접시에 담고,
남은 유린소스를 얹어보았습니다. 그랬더니, 뜻밖에도 괜찮은 거에요.
청양고추며 식초가 들어간 소스인데, 생선과 꽤 잘 어울렸습니다.

이리하여..숙제가 또 하나 생긴거죠.
생선구이 위에 얹는 새콤짭조름한 소스의 황금비율 찾아내기!




샐러드에는 역시 치커리와 토마토가 들어가야 예쁜 것 같아요.
맛은 차치하고라도, 오글오글한 치커리가 들어가면 양상추만 넣었을때 보다 훨씬 맛있어 보여요.

kimys 생일날 쓰고, 밀폐용기에 담아뒀던 채소들이 아직 그런대로 먹을 만해서,
오늘 마지막으로 탈탈 털어 샐러드를 했어요.
부자 망해도 삼년 먹을 건 있다고 했던가요?
생일잔치(저희 수준엔 잔치입니당~) 하고 났더니 음식은 남은 게 없어도 재료는 조금씩 남아서 오늘까지 버티게 해주네요.




국물은 바지락으로 조개탕을 끓였습니다.
지난번에 아버지 산소 갔다 오다가 한진항에서 샀던 바지락인데,  아직 알이 덜찼어요.
지금쯤이면 알이 찰 때 아닌가요?
몇년전 이맘때 안면도 부근의 황도에 갔을 때 먹었던 바지락은 알도 꽉꽉 차고 맛있었는데,
오늘 바지락은 알이 좀 덜 찬 것 같아요.

오늘의 바지락탕은 바지락 800g에 물 800㎖, 파 1대, 청양고추 1개, 다진 마늘 1작은술, 소금 ½작은술을 넣고 끓였답니다.
조개탕의 포인트는, 다들 아시겠지만, 끓을 때 올라오는 거품을 잘 걷어내는 것입니다.
거품을 잘 걷어내야, 깔끔한 조개탕이 되지요.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쉴만한 물가
    '10.5.13 7:49 PM

    어머나 제가 1등? !^^

  • 2. 간장종지
    '10.5.13 8:03 PM

    유린기를 한번도 먹어보지도 못했고
    보지도 못했는데 여러번 글에서 보다보니 너무 친숙하게 느껴져요.
    레시피 찾아보고 꼭 한번 해보리라 다짐해 봅니다.

  • 3. 쉴만한 물가
    '10.5.13 9:41 PM

    82 공식대로 우선 1등 찍고 다시 댓글 달아요.ㅎ
    오늘 저녁 스테이크를 먹고
    좀 남았는데
    내일 선생님의 레서피대로 스테이크 샐러드 할거에요.
    선생님의 요리책을
    어떤 수필집 읽듯이 두고두고 보면서 참 행복해라고 있어요.
    (언제 인증샷 한번 올려야 되는데....)
    와인도 한잔 했더니
    오늘 기분이 좋네요.

  • 4. 귀여운엘비스
    '10.5.13 10:36 PM

    히~
    선생님
    임연수어구이정말 맛있겠어요!!!!!!!
    전 술집가면 꼭 임연수어구이시키거든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언제쯤 다시 시킬수있을까요-.-;;;;;;;

  • 5. 태이니맘
    '10.5.13 11:15 PM

    우리집도 저녁에 임연수어 구워 먹었는데...
    제가 구운 거와는 때깔이 완전 달라요. 넘 맛있겠다.

    참, 선생님! 칭쉬에 있는 '갈비소금양념구이' 저희집에선 완소 메뉴에요.^^
    근데 매번 고기 다 구워먹고나면 남는 양념국물 양이 많아
    그냥 버리기엔 아깝다는 생각이 들어요. 그거 다 배즙이잖아요.
    어케 다른 활용법이 없을까요?
    냉동했다가 다음 갈비 잴 때 새 양념 만든거에 섞어 쓰면 괜찮을까요?
    쌤한테 여쭤보려고 엊그제 먹은 양념 국물 안버리고 일단 대기중이예요.
    가르쳐 주세요.

  • 6. 김혜경
    '10.5.13 11:19 PM

    태이니맘님,
    근데요, 그 배즙에요, 아무래도 갈비의 핏물도 들어가구요...
    아까워도 그냥 버리심이...

    저도 불고기양념이니 갈비양념이니 하는거, 늘 갈등하지만, 그냥 버립니다.

  • 7. 태이니맘
    '10.5.13 11:59 PM

    쌤, 고맙습니다. 실시간 댓글 ㅋㅋ
    쌤 글 보자마자 김냉에 있던 양념국물 미련없이 다 버리고
    설거지까지 끝내고왔어요.
    감쏴!

  • 8. 초록하늘
    '10.5.14 1:16 AM

    그릇도 상차림도 모두가 예술이네요..
    사랑과 정성이 묻어나는 맛있는 밥상이예요...

    조개탕 눈으로 먹고 갑니다..

  • 9. 수박나무
    '10.5.17 10:24 AM

    김치가 아주 쌍큼하게 잘 익었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날짜 조회
3347 늦었다고 생각한 때가 가장 빠른 때이다 233 2013/12/22 32,832
3346 나물밥 한그릇 19 2013/12/13 22,543
3345 급하게 차린 저녁 밥상 [홍합찜] 32 2013/12/07 24,848
3344 평범한 집밥, 그런데... 24 2013/12/06 22,217
3343 차 한잔 같이 드세요 18 2013/12/05 14,851
3342 돈까스 카레야? 카레 돈까스야? 10 2013/12/04 10,881
3341 예상하지 못했던 맛의 [콩비지찌개] 41 2013/12/03 14,955
3340 과일 샐러드 한접시 8 2013/12/02 14,054
3339 월동준비중 16 2013/11/28 16,990
3338 조금은 색다른 멸치볶음 17 2013/11/27 16,687
3337 한접시로 끝나는 카레 돈까스 18 2013/11/26 12,429
3336 특별한 양념을 넣은 돼지고추장불고기와 닭모래집 볶음 11 2013/11/24 14,776
3335 유자청과 조개젓 15 2013/11/23 11,798
3334 유자 써는 중! 19 2013/11/22 9,686
3333 그날이 그날인 우리집 밥상 4 2013/11/21 11,194
3332 속쌈 없는 김장날 저녁밥상 20 2013/11/20 13,640
3331 첫눈 온 날 저녁 반찬 11 2013/11/18 16,453
3330 TV에서 본 방법으로 끓인 뭇국 18 2013/11/17 15,724
3329 또 감자탕~ 14 2013/11/16 10,472
3328 군밤,너 때문에 내가 운다 27 2013/11/15 11,548
3327 있는 반찬으로만 차려도 훌륭한 밥상 12 2013/11/14 12,897
3326 디지털시대의 미아(迷兒) 4 2013/11/13 10,938
3325 오늘 저녁 우리집 밥상 8 2013/11/11 16,496
3324 산책 14 2013/11/10 13,340
3323 유자청 대신 모과청 넣은 연근조림 9 2013/11/09 10,790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