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아이 기르며 언제가 가장 돈 많이 들까요?

공부돈 조회수 : 2,794
작성일 : 2011-07-07 16:35:39
우리딸아이 5살되는 내년에 놀이학교라도 보내려고 하니 한달에 80여만원이네요.
게다가 방과후에 심화수업 한과목이라도 더 들으려면 과목당 추가 6만원씩이라하고...
그렇다고 유치원이 훨씬 저렴한것도 아닌것 같고...

정말 돈이 많이 드네요.

5~7세 정도에 드는 돈이 이정도인데
초등, 중등, 고등때 돈이 훨씬 더 많이 들어가나요?(20살이전까지만 따졌을때요)

저는 유아기때 이것저것 많이 경험해보는것이 중요한것 같아서 꼭 놀이학교를 보내고 싶고
나중에 학교 다닐때 공부관련 학원은 안보낼예정인데
(추가, 제가 이리 생각하는 이유는...아이가 아빠쪽을 많이 닮았는데 아빠도 그렇고(국내최고대학교수) 시댁식구들이 죄다 혼자 공부해서 엄청 공부를 잘하는 스타일들이에요. )

제 생각이 틀린걸까요?

지금 지출을 많이 하는것은 어리석은 짓일까요?

나중에 학교 다닐때 지출될것을 생각해서 절약절약 해야 하는것일까요?

참고로 제가 아이를 집에 데리고 있으면서 이것저것 홈스쿨링할 능력은 없어요...--;;
IP : 14.33.xxx.146
1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아이가클수록
    '11.7.7 4:36 PM (121.135.xxx.123)

    점점더 많이...ㅠ.ㅠ

  • 2. 웃음조각*^^*
    '11.7.7 4:37 PM (125.252.xxx.40)

    초등 저학년인데 아직까지는 유치원때가 가장 많이 든 것 같아요.

    그런데 초등 고학년이나 중등, 고등이 되면.. 사교육의 힘을 빌리게 될 경우 돈이 마구 샐 것 같아요.

    유치원때부터 차곡차곡 쌓아두고 쥐고있다가 고학년때 푸는 게 낫다고들 하시더군요.

  • 3. ..
    '11.7.7 4:39 PM (14.47.xxx.160)

    초등때가 제일 돈 안들었던때인것 같아요^^
    유치원때 들고.. 중등 두아이 만만치 않습니다...
    고등때 엄청 든다고..

  • 4.
    '11.7.7 4:40 PM (121.169.xxx.78)

    제 생각엔 좀 거꾸로 판단하시는것 같은데요. 유아때, 사실 놀이학교는 선택이라는 생각이구요.
    늦어도 중학년부터 고등학교때까지는 공부관련 학원을 안보내고싶어도 안보낼수 없는 순간이 올것 같은데요. 주변에, 아기엄마들이나 유치원생 엄마들말구요, 초등학교 고학년 이후 엄마들에게 조언을 구하세요.

  • 5. plumtea
    '11.7.7 4:41 PM (122.32.xxx.11)

    초등 다니는 아이 있는데 말씀하신 만큼 들어요. 나머지 유치원생도 비슷. 세 아이 교육비로만 250미만으로 든 적이 없어요. ㅠㅠ 중고등 가면 더 든다고 하니 각오하는 중입니다.

  • 6. ..
    '11.7.7 4:42 PM (1.225.xxx.122)

    벌써 이리 소진하면 감당 못하십니다.
    어릴땐 아껴야 해요.
    나중에 학교 다닐때 공부관련 학원은 안보낼 예정.. 이런소리 입밖에도 내지 마세요.
    벌써 시작을 그리 하려는데 나중에 학 교때는..그게 가능할거라고 보세요?
    아마 애보다 엄마가 불안해서 더 보낼겁니다.

  • 7.
    '11.7.7 4:42 PM (121.169.xxx.78)

    그리고 지금은 엄마가 좀 부지런을 떨면 요새 이런저런 교재도 좋은게 많아서 홈스쿨링을 하는게 가능한 시기이고, 아이가 커서는 엄마가 홈스쿨링하기엔 실력도 딸리고 실력이 되어도 엄마랑 괜히 사이만 나빠지기도 해서 힘든것 같아요.

  • 8. ...
    '11.7.7 4:44 PM (115.86.xxx.24)

    꼭 놀이학교를 보내고 싶다는 성향이면..
    그때 되면 또 꼭 하고 픈게 나올것 같아요^^;

  • 9. 휴!!
    '11.7.7 4:45 PM (121.128.xxx.151)

    고등학교 졸업하고 대학들어가지 전부터 쭈~욱이요
    장난아닙니다.

  • 10. ㅇㅇ
    '11.7.7 4:47 PM (221.164.xxx.199)

    놀이학교 한달에 8만원이면 모를까 80만원이라니..전 고민도 안할거같네요
    중고등때 영수 부족하면도움받으려면 두과목 여차하면 100만원
    대학가면 사실 돈 더 들죠..
    유아기때 놀이학교나..가베나..오르다..굳이 필요한거같지않습니다.
    물론 돈이 엄청 많다면 고민할필욘 없죠..

  • 11. .....
    '11.7.7 4:51 PM (180.67.xxx.40)

    중고등학교는 사교육비도 사교육비지만(사실 이건 안쓸려면 안쓸수도 있음)
    기타 잡비가 많이 들어가죠....갖고싶어하는 물건들이 상상초월ㅎㅎ;;;

  • 12. 82에서
    '11.7.7 4:57 PM (210.124.xxx.176)

    본 댓글중에 인상적인 댓글 기억나는데
    정말 돈이 필요할때를 위해서 어릴때 지나치게 투자하지 말라구요.
    어릴때는 부모 만족으로 교육시키지만,
    아이가 원할때 돈이 없어 못해주면 그건 정말 아이한테 안좋을거 같아요..
    부모 원망할거 같고..
    스스로 뭔가를 원해서 아이가 필요할때 필요한 돈을 위해서,
    지금 아끼는게 더 실속있는거 같아요..
    지금 5살 아이가 월 80만원 드는데,앞으로 줄일수가 있을까요?
    돈이 더 들면 더들지요..

  • 13. 공부돈
    '11.7.7 5:02 PM (14.33.xxx.146)

    다들 옳은 말씀들이시네요.
    갖고싶은 물건들이 상상초월...맞아요. 그런걸 잊고 있었네요.ㅋㅋ
    그리고 그때가 되면 또 꼭 해야하는것이 생기겠죠?
    정신 좀 챙겨야겠슴다.
    감사합니다.^^

  • 14. ***
    '11.7.7 5:03 PM (175.197.xxx.9)

    필수적인 게 아니면 돈 쓰지 마세요.
    시댁식구들 머리 물려받았으면 애가 머리가 좋을텐데
    애가 부족한 것도 아닌데 벌써부터 플러스 알파 하면
    나중에 정말 큰 돈 터질 때는 어떻게 하시려구요.
    사는 집 외에 땅이나 건물 같은 부동산이 있는 게 아니면,
    그 정도 집아이면 유학 보낼 가능성도 있으니 돈 좀 모으세요.

  • 15. 놀이학교
    '11.7.7 5:09 PM (14.52.xxx.162)

    뭐 배우는지 한번 가보시면 그런말씀 못하지요,
    예전에는 다들 공부 안하던 시기이기도 했고,,원래 최상위권은 혼자서도 잘해요,
    근데 머리는 엄마닮는게 확률이 높아요,
    교수가 연금 안전하고 오래 벌수는 있지만 월급이 빵빵한건 아니니 너무 초장부터 써대면 정말 감당안되요,
    동네 학원 조그만거 보내도 애 둘이면 기본이 200넘어요,정말 기본!!!

  • 16. 갈수록 태산
    '11.7.7 5:10 PM (119.149.xxx.164)

    커갈수록 더듭니다. 지금이 최고로 적게들때에요. 고등학교때는 말할것도 없고 대학가서 한숨돌리나했더니 유학간답니다. 대학생둘 유학보내면 1년에 1억 우습게 들어갑니다. 돌아와서 직장다니면서 얼마나 벌어서 결혼할까요? 결혼자금도 장난아니고... 내인생 돌리도~~

  • 17. .
    '11.7.7 7:48 PM (218.51.xxx.218)

    저도 애 어린데 돈막쓰는 엄마들 참 생각없다 싶더라구요, 애어릴땐 시장표옷입혀도 되고,엄마표학습해도 충분해요, 가베니,오르다니 이딴거 하나도 필요없어요, 가베 3년을 해도 학교가니 도형에서 막 헤메는 애도 봤어요, 정작 중고등들어가면서 과외비용 상상을 초월하고 그때는 옷도 메이커 사입혀야되지, 대학보내야돼지.유학가고싶다하면 또 해줄수있는데까지 해줘야하지,취업할때까지 뒷바라지해줘야하지..이건 도둑놈이 따로 없는듯.

  • 18. ...
    '11.7.8 2:14 AM (114.207.xxx.96)

    고딩 울 아들 과외비 200입니다 ... 방학때는 더 들어가요...아이가 한명이기에 참 다행이지...쩝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65964 서울 종로인데 비 좍좍 잘, 많이 내리네요 비.. 2011/07/07 174
665963 파주 면회가는데 숙박할 수 있는 곳 추천 부탁합니다 포그나고파 2011/07/07 159
665962 마냥 많이 넣는다고 좋은게 아니지요? 물 한 컵 비율로 다시마 크기는 얼마가 좋나요? 1 다시마육수 2011/07/07 351
665961 김치 칼국수나 우동 먹고싶네요 2 비오는날 2011/07/07 486
665960 이사가고 싶으신 분 2 있으세요 2011/07/07 553
665959 헌 차 떠나보내는 맘이 원래 이런건가요? 18 아흑 2011/07/07 1,608
665958 키톡이 안보여요 1 키톡 2011/07/07 122
665957 김주하씨 소신있는 분으로 알고 있는데.... 21 왜그러신지 2011/07/07 2,274
665956 친구가 기가막혀 7 ... 2011/07/07 1,434
665955 꿈이 있다면 하기 싫은 수학도 하게 될까요? 1 적성이있는데.. 2011/07/07 251
665954 아이 기르며 언제가 가장 돈 많이 들까요? 18 공부돈 2011/07/07 2,794
665953 온전한 하루를 혼자 뭐하고 놀까요? 2 뭐하고놀까요.. 2011/07/07 318
665952 강아지 양치 어떻게 하시나요.. 6 강아지 2011/07/07 739
665951 금연건물 단속이나 해줬음 좋겠네요. 2 국민건강증진.. 2011/07/07 122
665950 3번 만난 사람과 등산을 하려해요.. 1박2일 괜찮을까요? 46 ... 2011/07/07 3,349
665949 집에서 사회,과학은 어떻게 하세요? 1 4학년 2011/07/07 357
665948 남들이 두려워하는 여러사람 틈에서 혼자되기, 장보러갈때 끌차 갖고 나가기 16 비오는날 2011/07/07 1,968
665947 신생아용품(새거) 기부하는곳이 따로 있을까요? 6 애엄마 2011/07/07 374
665946 패물 팔아야 해요. 도와주세요. 6 급전 2011/07/07 1,030
665945 창문 청소하는데.....바깥쪽은 어떻게 닦으세요????? 15 창문 2011/07/07 1,834
665944 연애 질문인데요..^^ 결혼하신 분들 연애1년차 만났을때..그러니까 1주년에 뭐하셨어요? 2 2011/07/07 823
665943 요즘 어지럼증이 심하네요...ㅠㅠ 4 68년생 2011/07/07 702
665942 엄마가 밤에 오줌때문에 3-4번 일어나신대요. 6 도와주세요... 2011/07/07 819
665941 무상급식 추진위원회 부위원장 가족이 주민투표 서명했다고? 3 세우실 2011/07/07 264
665940 테크노마트 이제는 소송전이군요 1 ... 2011/07/07 1,573
665939 테크노마트... 14 테크노 2011/07/07 4,880
665938 여자가 좋아할 만한 여행지 추천.. 6 가족여행 2011/07/07 815
665937 대치동에 있는 원룸(분리형) 찾고 있어요 1 연락주세요 2011/07/07 298
665936 밀대 걸레 추천해주세요. 3 무릎나가기직.. 2011/07/07 543
665935 저희 회사 남직원 어떻게 하죠?ㅠㅠㅠㅠ 2 푸쉬케 2011/07/07 7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