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중학생교육비와 고등학생 교육비중 어떤게 더 많이 들어갈까요?

교육비 조회수 : 1,079
작성일 : 2011-02-22 11:12:51
현재 중학생 2명 인데 영어와 수학만 해도 솔직히 많이 부담스럽습니다
그런데 다른글을 읽다보니 중학교 교육비는 껌값이다.. 고등생되면 허리휜다는 글을 읽었네요
지금 지나온길을 뒤돌아보면 초등생 교육비는 많이 부담스럽지는 않았거든요
뭐..
시킨것도 별로 없지만 수학.영어는 동네수준의 학원에서 계속 가르쳤구요
중학생되니까 금액단위가 달라져서 영수만해도 백만원이 넘어갈려고 합니다
고등생이나 대학생되는 맘들께 묻고 싶은것은요..

1. 중학교때 학원비가 부담되더라고 빡세게 가르치는곳에 보내야 할까요?

2. 학원다 똑같다 동네에서 괜찮다 싶은  단과학원 보내다가 고등학교때 빡센 단과학원을 보낸다

3. 가르치는 시간은 같은데 학원비가 저렴한곳이 있다면 저렴한곳으로 보내겠다

뭐가 현명한선택인지 모르겠네요 지혜좀 나눠주세요
IP : 121.170.xxx.253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1.2.22 11:48 AM (121.166.xxx.188)

    저희집 경우는 중학생이 압도적으로 많이 들었어요,
    영수 기본으로 깔고 과학도 좀 걱정되서 했구요,
    시험때마다 예체능도 족집게 했거든요,
    고등되니 언수외만 하면 되니까 편하고,,대치동은 일단 대규모에 가격이 싸서 좋으네요,
    중학생때 빡세게 해놓으시면 고등때 편합니다,
    1,2등급 애들은 좀 여유롭게 유지차원으로 가는반면 ,3등급 밑은 등급 올리는게 쉬운게 아니거든요,
    특목고 갈거 아니면 중등내신 신경쓰지 마시고 장기적으로 언수외만 집중하세요

  • 2. 네..
    '11.2.22 11:56 AM (121.170.xxx.253)

    그럼 1번에 해당되는 말씀이시네요 에휴~~ 학원비때문에 알바한다는말이 실감나는 요즘입니다

  • 3. 저는,,,,
    '11.2.22 12:30 PM (121.144.xxx.84)

    초중고 아이 셋맘입니다,,,

    일단 고등 2 올라가는 아이,,,,,,,,,,,,,,
    이과를 지원할 계획이라 중3 기말치고 ( 중3은 기말을 일찍 칩니다) 바로 강도쎈 수학학원으로 고입전까지 3달 수학에 치중했어요,,,,, 그 힉원에 고1년다니고,,,고1 겨울방학부터는 그 선생님께 단독과외를 받고 있습니다,,,,, 수학전문을 운영하는 곳이라 그 학원에서 개인교습을 받는거죠,,, 물론 아이가 수학1등급이라 진도를 아주 빡쎄게 나가고 , 우리 아이도 잘 따라 갑니다,,,, 그룹으로하면 다른 아이들이랑 진도때문에,,,,,

    중학교때는 자기주도공부를 완성해야하는 시기입니다,,,,

    초등때부터 학원으로 돌리던 아이들 ,,, 지금 아무리 과외에 , 빡쎈 학원도 별 효과 못 봅니다,,,

    그리고는 학원과 선생의 능력을 의심하지요,,,,

  • 4. 저는 2
    '11.2.22 12:43 PM (121.144.xxx.84)

    둘째 아이는 과학영재원에 다닙니다,,,, (교육청,,,)
    영어 학원( 호불호가 갈리는 학원,,, 영어 듣기 회화 위주의,,,) 1개 다니고,,,,,
    본인이 원하는 과학캠프 가끔 갑니다,,,

    우리 집 아이들이 학원에 투자 된 돈에 비해 상대적으로 성적이 월들하다지만,,,

    도서 구입이나 체험학습에 쓰인 비용은 다른 집의 배를 넘습니다,,,
    둘 다 독서량이 엄청 나서 배경지식으로 공부하는데 별 어려움이 없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물론 제가 이공계출신이라,,, 수학이나 과학공부에 조언을 하기는 해도 ,,, 공부는 결국 본인이 하는 것,,,

    제가 아이를 키우며 느끼는 것은 학원이 대부분을 해결해 주는 듯이 보이지만,,,, 결국 공부는 아이의 몫이므로,,,, 어릴때부터 본인이 스스로 할 수 있도록 습관을 들이고 꾸준히 할 수 있도록 부모의 독려가 중요합니다,,,

    특히 언어부분때문에 고등학교에서 의외로 고생하더군요,,,,,
    영어와 수학만 집중하다가,,,,,, 근데 공부저력이 되는 아이는 금방 따라 잡는데,,,,,
    그렇지 못한 아이들은 학원 알아보다가 시간 다 보냅니다,,,

    교육에 대한 카페나 사이트에 가셔서 아이에 대한 장기계획을 세우고 학원을 알아보시고,,,,
    아이들에게도 이런이런 계획으로 공부하고 학원을 보내 줄 것이니 불안해 하지말라고 다독이고 , 아이가 계획된대로 차근차근 공부할 수 있도록 부모가 의논해서 준비하셔요,,,

    동네 엄마들 말,, 학원 선생님의 뻥,,,,, 등에서 좀 덜 흔듷리시기를 바랍니다,,,
    정보를 알아 보시되,,,, 걸러소 들을려면 엄마도 많은 준비를 하셔야 합니다,,,


    제일 도움이 안 되는 엄마는 옆집엄마말 듣고 학원을 자꾸 옮기고 흔들리는 엄마입니다,,

  • 5. 0000
    '11.2.22 1:17 PM (122.32.xxx.93)

    결국에는 같다고 봐야지요.
    중에 투자 많이 했으면, 고에 조금 들고,
    중에 투자 안했으면, 고에 더 들어요.

    그렇게 보면, 어릴 때 기본기 미리 다지는게 낫죠. 그러면 더 올라갈 능력을 갖게 되니까요.

    제가 아는 애들은 중딩 때 더 많이 쓰고, 고딩때는 거의 혼자 공부하더라구요.
    특목고 준비하다가 일반고 가면 쉽게 가는 듯 해요.

  • 6. 일반적으로는
    '11.2.22 1:19 PM (116.125.xxx.241)

    학원이나 과외단가가 고등때가 세죠?
    또 고등때는 학교에 내는 분기별 수업료도 50만원이상 들어가니, 그동안 안내던 중딩시절에
    비하면 학원비랑 같이 나가게 될때 버겁다고 하죠~~

    고학년 엄마들이 중등때는 자기가 공부하는법을 알아가는 시절이고, 고교때는 그것을
    바탕으로 공부를 제대로 하는 시기라고....
    중학교때는 종합보다는 소수정예 단과나 과외를 통해서 어떤부분이 중요하고 공부해야 되는것이지를 터득하면서 본인에게 잘 맞는 공부법을 익히고..
    고교로 진학하면 소수정예 단과나, 비교적 저렴하면서도 잘가르친다는 선생님 수소문하셔서
    2명정도의 과외팀 꾸리시는것도 좋을듯 싶네요.

    대입보낸 친구들이 말하길, 되도록이면 초등,중등때는 적게들이는 공부방법,
    고교때는 특히 고2,3때는 학습비가 많이 들어가니 각오하라고...
    아이가 정작 원할때 돈때문에 못해주는게 제일로 속상하데요.
    (초반에 아이 어릴때 많이 지출했더니,경제적인부분이 힘들때가 있다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21669 e교과서 어떻게.. 1 교과서 2011/02/22 212
621668 오늘 주식 왜 이러나요.... 16 허걱.. 2011/02/22 4,831
621667 녹내장일까요.... 10 2011/02/22 826
621666 간호사들에게 선물할 간식거리 추천해주세요. 12 바보바보 2011/02/22 3,979
621665 뉴질랜드산 쇠고기 어디서 사나요? 2 멤버 2011/02/22 166
621664 삼년정도 지난 어린아이 상처 잘듣는 연고 없을까요?? 6 흉터 2011/02/22 387
621663 부부가 다섯살 나이 차이나면 많이 나는 건가요? 13 이상해 2011/02/22 3,324
621662 대학입학식 9 대학맘 2011/02/22 751
621661 저는 2 햇살이좋네요.. 2011/02/22 150
621660 혈액순환이 안되서...심장이 벌렁벌렁.. 5 질문 2011/02/22 881
621659 중학생교육비와 고등학생 교육비중 어떤게 더 많이 들어갈까요? 6 교육비 2011/02/22 1,079
621658 생일인데 친구들 모임에서 뭘 사달라고 할까요 5 어구 2011/02/22 305
621657 전세집 어디가 좋을까요? 광진구 건대 근처 vs 송파구 문정동 4 빵빠방 2011/02/22 896
621656 예전에 지오다노광고 음악으로 쓰였던 뮤지컬.. 제목이..? 5 . 2011/02/22 324
621655 생리 양이 팍 줄어서 걱정... 9 어떻해요.... 2011/02/22 1,284
621654 남의 아파트에 쓰레기 갖다버리는 인간들 5 무개념들 2011/02/22 826
621653 요즘 어떤 예금하세요? 1억 있어요 9 // 2011/02/22 1,646
621652 버스안에서 할수 있는짓(?)의 종결자 14 대단해요.... 2011/02/22 2,137
621651 방금 박지원대표 원내연설 들으셨나요? 10 ... 2011/02/22 1,339
621650 !!! 1 김영미 2011/02/22 182
621649 “리비아, 전투기 발포로 250명 사망” 알자지라 10 베리떼 2011/02/22 578
621648 서산댁~~~ 1 김영미 2011/02/22 546
621647 제주도에서 앞으로 계속 살수있다면 내려가시겠어요? 25 제주도 2011/02/22 2,077
621646 [동아] “교통범칙금 소득따라 차등부과”… ‘유리지갑’ 봉급생활자가 덤터기 쓸 우려 9 세우실 2011/02/22 306
621645 쇼파 커버링 해보신분? 3 인테리어 2011/02/22 476
621644 삼* 포장마차 우동 g**에서 9,900원이래요~ 14 포장마차우동.. 2011/02/22 1,293
621643 졸업선물 30대초반 남자 화장품 브랜드?? 2 제비꽃 2011/02/22 159
621642 서민들만 늘 피해를 보는듯 해요. ^^;; 3 저축은행 2011/02/22 505
621641 고등학교 입학식 가시나요? 11 입학식 2011/02/22 892
621640 스위티도 수입과일이니 약 많이 뿌리겠죠? 7 찜찜 2011/02/22 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