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역설적으로
'25.10.8 1:55 PM
(211.234.xxx.28)
대학교육 필요없다는 사람들이 정작 최고학부 출신들이 많죠
하버드나 스탠퍼드 버클리 등
반은 맞고 반은 틀린말 같아요
지식의 축적만을 위해산 대학 의미없다는 맞는말같고
그러나 기본적인 두뇌와 응용 추리력 성실함 끈기 등이 있는 사람들이 성공하는 사람들인데 공부 못하믄 사람보다는 잘하는 사람이
이런 자질 갖고 있는것도 맞는거 같고요
2. 저는
'25.10.8 1:56 PM
(1.235.xxx.154)
대학교육이 필요없는 능력자들을 뽑겠다는걸로 들리네요
빌게이츠도 스티브잡스도 다 중퇴했고
그들은 이미 똑똑했어요
지금도 고졸이어도 대학생보다 똑똑한 아이들 있잖아요
특히 수과학 영재들은 남들 평생공부해도 이해못하는거 10대에 이미 다 알고 있어요
이들에게 대학교육은 의미없죠
잘 알아들어야해요
다른 의미에서 교육해체가 일어날거같긴 해요
3. 대학보다
'25.10.8 1:57 PM
(59.7.xxx.113)
저들이 보여줄 세상이 더 크고 넓겠죠
4. ㅅㅅ
'25.10.8 2:07 PM
(218.234.xxx.212)
"학교공부만 충실히 해서 전국수석했어요"의 심화 버전...
5. ..
'25.10.8 2:07 PM
(59.20.xxx.3)
지들은 다 대학 나왔잖아요.
그것도 유명한 대학.
6. ..
'25.10.8 2:12 PM
(59.20.xxx.3)
샘올트먼 스탠포드 중퇴
일론 머스크 스탠포드 박사
팔란티어 창업자 피터틸 스탠포드, 알렉스카프 하버드 스탠포드
7. 음
'25.10.8 2:12 PM
(58.29.xxx.20)
솔까, 조기 입학 가능할 정도의 천재, 이미 열다섯에 프로그래밍 척척 해낼만큼 능력자면 대학 가지 말고 바로 우리 회사 오면 뽑아주마.. 정도의 말이라고 생각해요.
그런거 아닌 평범한 사람, 정상적인 교육과정으로 18세까지 최선을 다해 학교를 다녀도 그동안 배운 공교육과정 전부를 다 이해하지 못하고(예를들면 우리나라로 치면 수능만점은 커녕 수학 킬러 4점짜리 같은건 결국 한번도 못풀고 고등 졸업하는)평펌하사람은 그런 기회 없어요.
그런 사람이 대학을 졸업한들 그 회사 결국 안뽑아주겠지만, 그래도 그나마 대학 4년 더 배워야 고졸보다 더 배워 낫겠고, 그런 사람을 필요로 하는곳 가서 일하게 되겠죠.
8. 교과서로
'25.10.8 2:13 PM
(124.56.xxx.72)
공부해서 전국 수석했어요
9. ..
'25.10.8 2:13 PM
(59.20.xxx.3)
-
삭제된댓글
저들이 진빠 고졸이었으면 투자 받을 수 있었을까요?
10. ..
'25.10.8 2:13 PM
(59.20.xxx.3)
저들이 진짜 고졸이었으면 투자 받을 수 있었을까요?
11. 하하
'25.10.8 2:16 PM
(218.154.xxx.161)
대학교육 필요없다는 사람들이 정작 최고학부 출신들이 많죠
하버드나 스탠퍼드 버클리 등2222
이거 정말 불편한 진실이네요 하하
12. 음
'25.10.8 2:17 PM
(61.74.xxx.175)
지식을 위해서 대학을 갈 필요는 없는 시대 같아요
그렇지만 나와 비슷한 수준(?)의 사람을 만나서 경험과 생각을 나누고 자극을 받는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어른들이 너보다 나은 사람과 어울리라고 했을 때는 반감이 들었지만 나이 들어보니
무슨 말인지 알겠더라구요
13. ...
'25.10.8 2:23 PM
(211.235.xxx.30)
-
삭제된댓글
안 믿겠지만 우리집 고딩이 컴 잘합니다. it쪽으로 초등때부터 독학해서 지금 많이 벌어요.전문직 이상. 학교 공부는 재미없어했어요. 지금 아예 공부 안합니다.그래도 수능보고 점수 맞춰 대학은 가려구요. 얘가 대학 다니다가 중퇴를 할지 졸업을 할지 모르겠어요. 솔직히 얘를 보면 대학이 필요할까 생각은 들어요. 그래도 한국 사회에서는 대학은 가야겠지요
14. 놀라는 말 노노
'25.10.8 2:24 PM
(39.7.xxx.196)
-
삭제된댓글
무슨 이야기냐하면 초중고 때 it 분야에서 잘하는 거 하나 발견해서 20살 이전에 그 분야를 완전히 조사버리리는 거예요.
15. 놀라는 말 노노
'25.10.8 2:26 PM
(39.7.xxx.196)
-
삭제된댓글
무슨 이야기냐하면 머리되면 초중고 때 it 분야에서 잘하는 거 하나 발견해서 20살 이전에 그 분야를 완전히 조사버리리는 거예요. 그럴 능력 안되면 다른 돈벌거리 찾아라...변호사 회계사 의사 같은 전문직은 공부해야 하고 아니면 기술이라도...
근데 it천재가 돈 제일 빨리 많이 벌어요.
나머지는 돈 그닥 못버니 가성비로 공부해라.
16. Wow
'25.10.8 2:26 PM
(122.32.xxx.106)
아이돌을 어르신들이 하지않는거랑 같은듯요
수신필요없는사람은 걍 현직으로 와라
극소수만 뽑힐텐데 그건 엄친아애기이고
친엄마니 잘 걸러들아야죠 뭐
17. 대학 교육이
'25.10.8 2:28 PM
(211.208.xxx.87)
필요 없다는 거지
교육이 필요 없다는 말이 아닙니다.
고등학교로 충분하다는 게 아니예요.
그래서 지네 회사 교육 기관에서 배워야 한다고 하는데
지네 회사가 필요한 걸 대학에서 제대로 안 가르친다는 거죠.
이거야말로 정말 대학을 회사 가기 위한 학원으로 보는 태도예요.
무슨 말 하는 알겠어요. 어차피 관련학과 가는 애들은
다 저런 회사를 목표로 하니까 아주 틀린 말도 아닙니다.
꼭 인문학의 필요성을 얘기하는 게 아니라 해도
산업 현장에서 얼마나 변화가 빠른지를 말해주는 거죠.
이 회사에서 대학 대신 배운 게 다른 회사에서 써먹읊 수 있다 해도
근본적으로 이익 추구 집단인 회사에서
대학처럼 학문과 학생의 관계로 직원을 가르치지는 않을 거예요.
우리가 흔히 개업의 병원 말고 대학병원 가라고 하는 이유와 같죠.
저는 과연 몇 살 때 '인간 수당'을 받게 될 지 궁금하답니다.
18. 아유
'25.10.8 2:28 PM
(39.7.xxx.196)
무슨 이야기냐하면 머리되면 초중고 때 it 분야에서 잘하는 거 하나 발견해서 20살 이전에 그 분야를 완전히 조사버리리는 거예요. 그럴 능력 안되면 다른 돈벌거리 찾아라...변호사 회계사 의사 같은 전문직은 공부해야 하고 아니면 기술이라도...
근데 it천재가 돈 제일 빨리 많이 벌어요.
한국돈 백억 천억 조
나머지는 억대 연봉 쫌쫌따리 돈 그닥 못버니 가성비로 공부해라.
한국 하고는 단위도 사고도 달라요.
한국은 기술개발하면 유사품 만들어서 죽여버리니까
안정적 메디컬
19. ...
'25.10.8 2:29 PM
(118.36.xxx.122)
팔런티어 고졸 인재 뽑는 조건이 미국 수능 최상위권 점수 취득자에요
결국 그 사람들 팔란티어에서 나오거나 짤리면 재취업이 과연 쉬울지 업계 사람들도 의아해한답니다
머리좋은 사람 이용만 해먹기엔 기업 입장에서 좋다는거죠
20. 그냥
'25.10.8 2:32 PM
(39.7.xxx.196)
저들 부모 때도 보수적이어서 좋은 대학 안 나오면 안되는 줄 알던 시절인데 대학에서 좋은 사업 파트너 만나 자퇴 하다가 그냥 어릴 때부터 같이 할 사람 엮어서 창업하는 거죠
21. 음
'25.10.8 2:34 PM
(39.7.xxx.196)
-
삭제된댓글
취업이 인맥사회여서 실력만 있음 재취업 돼요.
남의 나라 걱정 그만
뉴욕은 중졸 캐셔도 시급 한국돈 3만원 가까이 되고
뉴저지살면 집값도 부담없어요.
22. 음
'25.10.8 2:45 PM
(39.7.xxx.196)
-
삭제된댓글
취업이 인맥사회여서 실력만 있음 재취업 돼요.
남의 나라 걱정 그만
뉴욕은 중졸 캐셔도 시급 한국돈 3만원 가까이 되고
뉴저지살면 집값도 부담없어요.
Sat 1460이면 아이비리그 외에도 상위 30권 대학의 이공계 정도면 될듯 싶은데요.
23. 유리지
'25.10.8 2:52 PM
(39.7.xxx.196)
취업이 인맥사회여서 실력만 있음 재취업 돼요.
남의 나라 걱정 그만
뉴욕은 중졸 캐셔도 시급 한국돈 3만원 가까이 되고
뉴저지살면 집값도 부담없어요.
Sat 1460이면 아이비리그 외에도 상위 30권 대학의 이공계 정도면 될듯 싶은데요. 한국이라면 서성한 이공계 정도까지
24. ㅈㅅ
'25.10.8 3:02 PM
(223.38.xxx.114)
-
삭제된댓글
옛날만큼 학벌이 중요하거나 필수는 아닌세상이 온건 확실해요 목표를이루기위한 길도 다양해졌구요
하겠다는 의지가 중요한세상인거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