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인간은 누구나 타고난 그릇 대로 살다 가는 건가요?

그릇 조회수 : 4,621
작성일 : 2017-03-23 15:40:55
부모 모두 스케일이 작은 사람들인데
자식한테 목표를 크게 가지라는 둥
스케일 커지길 바라는 건
부모 욕심일 뿐이겠죠?
IP : 39.7.xxx.187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럼요
    '17.3.23 3:46 PM (39.7.xxx.105) - 삭제된댓글

    티코 생산 라인에서 티코나오지 그렌져 나오지 않잖아요
    부모보다 약간 업그레이드는 되겠지만 개천용은 거의 안나오죠

  • 2. 대부분 그렇죠.
    '17.3.23 3:47 PM (122.128.xxx.140) - 삭제된댓글

    어쩌다 부모보다 그릇이 큰 자식이 돌연변이로 태어나는 경우도 있습니다만은 기대만큼 흔하지는 않습니다.
    대부분 부모에 비해 성공한 자식이기 때문에 매스컴이나 주변 사람들의 이야기 거리가 되어 흔해보이는 것일 뿐이죠.

  • 3. 그렇죠
    '17.3.23 3:47 PM (122.128.xxx.140)

    어쩌다 부모보다 그릇이 큰 자식이 돌연변이로 태어나는 경우도 있습니다만은 기대만큼 흔하지는 않습니다.
    부모에 비해 성공한 자식이기 때문에 매스컴이나 주변 사람들의 이야기 거리가 되어 흔해보이는 것일 뿐이죠.

  • 4. ..
    '17.3.23 3:49 PM (114.203.xxx.133) - 삭제된댓글

    그릇의 사이즈는 정해져 있지 않다 생각해요.
    끝없이 자기갱신을 한 결과겠죠.
    그런데, 큰 사람이 돼라 하면, 마음의 부담이 생기죠.
    지가 클 놈이면 크고, 안 클놈이면 안 크고.
    부모가 꿈을 크게 가져라 처럼 부질없는 훈수가 어디있을까요.
    다 자기가 가능한 만큼 꿈은 저절로 꾸게 되는데.
    부모 기대에 못 미친다 생각하면 불행하다 생각 밖에 더 드나요.

  • 5. 그냥
    '17.3.23 3:51 PM (114.203.xxx.133) - 삭제된댓글

    그릇의 사이즈는 정해져 있지 않다 생각해요.
    끝없이 자기갱신을 한 결과겠죠.
    그런데, 큰 사람이 돼라 하면, 마음의 부담이 생기죠.
    지가 클 놈이면 크고, 안 클놈이면 안 크고.
    부모가 꿈을 크게 가져라 처럼 부질없는 훈수가 어디있을까요.
    다 자기가 가능한 만큼 꿈은 저절로 꾸게 되는데.
    부모 기대에 못 미친다 생각하면 불행하다 생각 밖에 더 드나요.

    그리고 애들도 다 알아요. 왜 본인들이 꿈을 크게 꿀 것이지 나만 갖고 그래..

  • 6. ,,
    '17.3.23 3:54 PM (183.97.xxx.42) - 삭제된댓글

    그래도 큰 꿈을 가지면 절반만 가더라도 평균이상이 되요..
    제일 안타까운게 자기그릇을 가늠 못하고
    부모한테 휘둘려 사는 사람이죠.

  • 7. ..
    '17.3.23 3:57 PM (211.176.xxx.46)

    그릇의 의미를 단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게 이거라고 봐요.
    사람마다 '너 자유롭게 가고싶은 대로 가봐라'했을 때 갈 수 있는 범위가 사람마다 다르다는 거.

    집, 학교 혹은 집, 직장만 왔다갔다 하다보면 어딘가로 떠나고 싶다고 생각하지만 막상 휴가 한 달이 주어졌을 때 갈 수 있는 범위는 다다르죠.

    서울에 사는 내가 강원도까지 간다, 부산까지 간다, 제주도까지 간다, 동남아까지 간다, 미국까지 간다, 유럽까지 간다.

    나는 강원도까지 갈 수밖에 없는 사람이지만 내 자식인 너는 유럽까지 가는 사람이길 바랄 수는 있죠. 그 자식의 그릇이 결정합니다. 강원도까지 갈 아이이면 거기까지, 유럽까지 갈 아이이면 거기까지. 강원도까지만 간다고 하찮거나 유럽까지 간다고 숭배의 대상이거나 그런 거 아닐테구요. 각자의 포지션대로 사는 거죠. 다 유럽가면 비행기 미어터짐.

  • 8. 근데
    '17.3.23 3:57 PM (110.47.xxx.46)

    왜 그래야해요?
    본인이 원한다면 모를까 큰 꿈이 뭐라구요. 그걸 부모가 바란다면 웃긴거죠.

  • 9. 인간의
    '17.3.23 4:03 PM (112.217.xxx.251)

    타고난 그릇이라...
    그러게요 가끔은 아이가 나를 통해 세상을 볼텐데..걱정입니다

  • 10.
    '17.3.23 4:07 PM (222.234.xxx.30)

    제 생각은 타고난 그릇대로 살다 가는듯요. 노력하면 보답은 해 주지만 그래도 타고난게 더 큰듯요.

  • 11. 달탐사가
    '17.3.23 4:21 PM (203.145.xxx.72)

    20대까지는 부모, 유전자, 타고난 환경으로 인생 방향이 결정되지만
    30대 이후의 삶은 본인의 의지로 얼마든지 바꿀수 있다고 생각해요.
    어떤 부분이 취약하다면 그 부분을 매일 꾸준히 반복해서 단련하면 성격도 바뀌고 재능도 바뀌어요. 경험 중입니다.
    10대나 20대에 빛을 보는 분야(운동,음악)가 아니라면 30대 40대 50대에도 얼마든지 인생을 바꿀수 있어요.
    무언가 다 정해져있다고 생각하는 건 자신의 나태함에 대한 변명에 불과해요.
    부모의 스케일에 관계없이 자녀에게 현실에 안주하지 말고 도전하라고 늘 얘기해주면 나이들어서 용기를 내야할 순간에 큰 힘이 됩니다.

  • 12. ..
    '17.3.23 4:47 PM (112.150.xxx.139) - 삭제된댓글

    대부분은 타고난 그릇대로 살다 갑니다.
    끊임없는 자기계발도 발전하고 싶은 의지가 있는 사람만 가능한 거지,
    그냥 아무 일 없이 편하게 살고싶다, 누군가가 벌어다 주는 돈으로 소비만 하고 살고싶다 라고
    생각하고 그렇게 사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데요.
    그리고 용기라는 건 누가 격려해주고 응원해줘서 생기는 마음상태가 아니에요.
    아무도 나를 위해서 격려 안해주고 응원 안해줬을 때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정으로 해야겠다고 마음먹는 게 용기죠.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용기라는 게 없답니다. 그러니 대부분의 사람들이 평범하게 사는 거죠.

  • 13. ..
    '17.3.23 4:49 PM (112.150.xxx.139) - 삭제된댓글

    대부분은 타고난 그릇대로 살다 갑니다.
    끊임없는 자기계발도 발전하고 싶은 의지가 있는 사람만 가능한 거지,
    그냥 아무 일 없이 편하게 살고싶다, 누군가가 벌어다 주는 돈으로 소비만 하고 살고싶다 라고
    생각하고 그렇게 사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데요.
    그리고 스케일을 바꿀만한 용기라는 건 누가 격려해주고 응원해줘서 생기는 마음상태가 아니에요.
    아무도 나를 위해서 격려 안해주고 응원 안해줬을 때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정으로 해야겠다고 마음먹는 게 용기죠.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용기라는 게 없답니다. 그러니 대부분의 사람들이 평범하게 사는 거죠.

  • 14.
    '17.3.23 4:55 PM (117.111.xxx.215)

    교육에따라 달라지고 자신의재능과 능력에따라달라져요 환경도ᆢ사회적정보도ᆢ모든것에따라 누구에게나 기회는연려있어요 본인의관심도죠

  • 15.
    '17.3.23 5:07 PM (117.123.xxx.109)

    누구나....는 아닐거고요
    많은 사람이 그럴거라고 봅니다
    제 아들을 보면서 더 느껴요..ㅠㅠ

  • 16. 표현을
    '17.3.23 5:42 PM (164.124.xxx.147)

    그릇이라고 하기는 그렇지만 정말 돌연변이 아니고서는 다 부모 따라 닮는구나 갈수록 느껴요.
    아이가 초6인데 엄마들 보고 아이들 보면 어쩜 그렇게 비슷한가 싶고요 ㅎ
    남들도 저랑 제 딸 보면서 비슷하다고 생각하겠죠.
    알게 모르게 기본적인 성향이나 포인트가 닮았어요.
    씩씩한 엄마면 아이도 씩씩하고 소심한 부모 밑에서 대범한 아이 나오기 어렵더라고요.

  • 17. ...
    '17.3.23 5:43 PM (211.59.xxx.176)

    네 있어요
    그릇도 운도
    범위 안에서 노력하는거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21356 원빈 드디어 복귀 ... 광고로. ..... 02:14:48 190
1721355 강남 1타 강사가 말하는 노무현 1 ㅇㅇ 01:39:08 536
1721354 고양이 여러 마리 나오는 유튜브 뭐 보시나요 5 .. 01:36:12 137
1721353 Jtbc오대영 앵커에게 돌직구 맞은 개혁신당 대변인 2 이뻐 01:35:12 558
1721352 김건희 신명 개봉 너무 막고싶을듯해요 4 .. 01:30:25 560
1721351 이재명 아들 도박자금 2억 3000만이 오해를 받는데 23 나가리라 01:23:40 844
1721350 김문수는 있는 돈 모두 전광훈에게 바쳤나봐요 8 ... 01:19:24 600
1721349 운동을 쉬면 안되는 이유 oo 01:16:51 508
1721348 설난영 “노조는 과격하고 못생기고, 저는 이쁘고 부드럽고…” 2 01:15:48 424
1721347 왜 언론매체들은 이준석을 띄울까요? 6 매체 01:12:46 284
1721346 윤거니 관저 물2년 전부터 월800톤 썼다 11 ... 00:48:54 1,228
1721345 유시민의 설난영 발언 충격이네요. 43 ... 00:42:24 2,849
1721344 회사 아웃룩 메일... 이런 경우 있나요?? 2 ... 00:41:34 256
1721343 이상호기자의 이재명후보 아들 이야기. 45 여유11 00:41:08 1,690
1721342 이재명후보 체력 진짜 대단해요 6 00:40:41 512
1721341 조국혁신당, 이해민, 개원한지 1년, 국민 여러분 고맙습니다 ../.. 00:37:53 262
1721340 정청래 법사위원장의 좌파 이론 1 이뻐 00:32:41 253
1721339 이재명은 도대체 왜저렇게 독사 같을까요? 41 00:11:42 2,123
1721338 설난영 - 이재명 후보 아이들.., 조국 경우 도덕적 해이 26 ㅇㅇ 00:11:23 1,326
1721337 우리나라 대선투표하는 중국인들은 뭔가요? 19 00:09:52 869
1721336 2013년에 이준석이 무슨 위원이었나요. 2 .. 00:07:26 376
1721335 나솔 17 옥순 4 ㅇㅅㅇ 00:03:26 1,372
1721334 만약에 3~4세 딸이 있는 남성과 결혼을 한다면.? 14 만약에 00:02:53 1,202
1721333 견미리 딸 얼굴 딴사람됐네요 5 ,,, 00:02:18 3,560
1721332 국정원 댓글단들아 현타 안오냐? 11 투덜투덜  00:01:31 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