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무식하면 왜 용감해질까

ㅂㅂ 조회수 : 2,528
작성일 : 2023-09-02 11:03:30

더닝 크루거 효과(Dunning–Kruger effect)

무식하면 왜 용감해질까?

코넬 대학의 Dunning 교수와 Kruger 교수는 학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체스 게임, 테니스, 운전, 독해력 등등 여러 분야의 능력을 테스트 해서 능력이 뛰어난 사람과 능력이 떨어진 사람들이 자신의 능력에 대해 어떤 생각과 반응을 보이는지를 평가했다.

놀랍게도 능력이 뛰어난 학생들은 자신이 잘 모른다고 생각하는 반면 능력이 떨어지는 학생들은 자신이 생각보다 더 많이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밝혔다. 1999년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77(6): 1121-1134)에 발표한 논문에서 왜 이런 비 상식적 결과를 가져 왔는지를 설명한다. 소위 더닝-크루거 효과다.

한 마디로 능력이 떨어지는 사람들의 특징은 자신이 능력이 떨어진다는 것을 모른다는 것이다. 자신이 모른다는 것을 모르는 역 메타인지가 역설적으로 자신이 안다고 믿게 한다. 또한 안다고 믿는 인지편향 때문에 자신이 지금 가진 능력이 최상위라고 생각한다. 결국 잘 모른다는 것을 모른다는 것이 역설적으로 근거없는 편향된 자신감의 기반이 된다. 실제로 능력이 있는 학생은 자신이 아직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항상 자신의 알고 있는 것에 대해 회의하고 과소평가한다.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은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실제로 아는 범위가 넓어지면 이 아는 것을 둘러 쌓고 있는 외연에 존재하는 모르는 세상은 더 커진다. 결국 알수록 겸손해질 수 밖에 없다. 

"벼는 익을수록 더 고개를 숙인다," "빈수레가 더 요란하다," "모르면 용감하다", "선무당이 사람 잡는다"는 속담이 있다. 이런 속담은 모두 더닝 크루거 효과가 우리 일상에 편재해 있는 보편적인 현상임을 설명한다. 이런 속담은 배울수록 겸손하라는 윤리적 명령이 아니라 더 많이 알면 알수록 겸손해질 수 밖에 없는 것이 오히려 자연스런 현상이라고 설명한다. 더 많이 알면 알수록 메타인지 상 왜곡이 더 잘 보인다.  

소크라테스는 "네 자신이 모르는 것을 알라"라는 절대언명으로 철학의 문을 열었다. 찰스 다윈은 “무지는 지식보다 더 확신을 가지게 한다”는 생각에 대항해 진화론을 과학으로 발전시켰다. 버트런드 러셀은 "자신감이 있는 사람은 무지한데, 상상력과 이해력이 있는 사람은 스스로의 능력을 의심하고 리더로 나서는 것을 주저한다"고 정치에서 나타나는 시대적 아픔을 꼬집었다. 한 마디로 무식한 사람이 근거 없는 용기로 더 만용을 부리니 조심하라고 경고한 것이다.

동양철학에서도 더닝 크루거 효과를 경고하고 있다. 논어 위정편에는 "아는 것을 안다고 하고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하는 것이 진짜 아는 것이다 知之爲知之 不知爲不知 是知也"라고 경고한다. 노자는 도덕경에서 "아는 사람은 말하지 않고 말하는 사람은 알지 못한다 知者不言 言者不知"고 설명한다. 예기에는 더닝 크루거 효과를 "제대로 배훈 연후에야 부족함을 안다 學然後知不足"는 말로 설명한다.

더닝 크루거 효과는 학습이 멈춰선 사람들에게 찾아오는 왜곡된 인지 편향이다. 학습이 멈춰지면 자신이 아는 것이 세상의 전부라고 믿고 이것에 대한 잘못된 가정에 기반해서 용감하게 행동한다. 행동이 실수로 연결되어도 이것이 실수라는 것을 모른다. 인지편향이 만든 근거 없는 자신감이 눈을 가리기 때문이다. 한 때 공부 좀 했다가 성공한 후 공부를 멈춘 사람들에게 더닝 크루거 효과는 반드시 찾아온다.

많이 알고 능력이 있는 사람들도 인지편향을 겪는다. 모른다는 것을 아는 메타인지 때문에 자신의 실력을 과소평가해가며 근거 없는 열등감을 가진다. 다른 사람은 모르는 자신보다는 더 잘 알 것이라고 생각한다. 더닝 크루거의 공동 실험결과에 따르면 능력과 지식에서 상위 5%에 해당되는 친구들은 자신의 능력과 성적이 다른 평균 학생보다 못 미칠 것이라고 판정한다. 특히 능력이나 지식이 뛰어난 여성이나 소수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이런 근거 없는 열등감에 더 많이 시달린다. 이런 열등감이 가면증후군(Imposter Syndrome)으로 전이되기도 한다. 

능력과 전문성이 떨어지는 사람이 리더로 추대되면 그 조직은 집단적 더닝 크루거 효과의 비극을 겪는다. 리더는 자신의 능력을 항상 과대평가하고, 다른 능력이 있는 사람의 능력을 알아보지 못한다. 자신의 능력이 발휘되지 못하는 것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실수와 곤경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다. 자신의 실수에 대해 솔직하게 피드백 하는 사람이 나타나면 방호기제를 사용해서 자신의 능력있음을 변호하다가 그래도 지속적으로 피드백하면 이 사람에게 역정을 낸다. 결국 주위에는 비슷한 능력과 전문성이 없는 사람들로 포진되고 이들은 리더의 능력과 식견에 대해 자화자찬을 일삼다가 결국 집단사고로 조직과 사회에 큰 상처를 남기고 해체된다. 

세상을 잘 모르는 리더가 신념을 가지면 가장 큰 불행이 몰려온다. 이들 리더가 사람들을 곤경에 빠트리는 이유는 몰라서가 아니라 자신이 뭔가를 안다는 착각이다. 이들은 착각에 근거해서 자신에게 주어진 권한을 동원해 잘못된 행동을 지속해가며 주변을 엄청난 고통으로 몰아넣는다. 남들이 고통을 호소해도 인지하지 못한다. 같은 맥락에서 벤저민 디즈레일리는 "단 한권의 책밖에 읽은 적이 없는 인간을 경계하라"고 충고한다. 

더닝 크루거 효과는 조금 얻은 지식에 대한 확신을 지키는 과정에서 학습의 본질인 피드백 고리가 끊어져서 발생하는 현상이다. 세상은 모두 연결된 전체이기 때문에 자신이 아는 것이 많아질수록 아는 것을 감싼 바깥 모르는 세계는 더 커질 수 밖에 없다. 결국 학습이란 죽을 때까지 모르는 세계로부터의 피드백을 받아들여 아는 세계의 경계를 확장하는 일이다. 더닝 크루거 효과의 인질로 사로잡혀 살다보면 어느 순간 끝이 없어 보이는 고단한 학습을 포기하고 자신에게 "모르는 게 약이다"라는 속담을 건넨다. 

능력이 있는 사람들의 용기부족 현상도 결국은 더닝 크루거 효과로 설명된다. 지식에 대해 겸손한 것과 지금까지 알고 있는 지식의 진위를 행동을 통해 검증하고 확장하는 것은 다른 문제이기 때문이다. 고 김대중 대통령은 이런 부조리를 인지하고 "행동하는 지식인"이라는 모토를 평생의 신조로 삼았다. 김대중 대통령이 주문한 행동하는 지식인은 결국 자신의 존재목적에 대해 끊임없이 회의해가며 세상이 바뀌면 여기에 맞춰 자신의 존재를 다시 세우는 양심과 의식이 있는 지식인을 의미한다. 

지금처럼 혼란스런 세상을 바로 잡을 수 있는 자신감은 자신의 존재목적이라는 안테나를 세우고 이 존재 목적을 검증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피드백을 받아가며 행동하는 학습자들이다. 무식이 만용을 낳는다면 반대로 자신의 존재목적에 대한 자기인식이 근거있는 무조건적 자신감의 기반인 셈이다. 존재목적이라는 나침반을 가진 사람들은 불확실성의 망망대해에 자신 있게 뛰어드는 용기와 자신감을 획득한다. 나침반이 있어서 길을 잃을 것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최근 코넬 그린피크 스터디는 똑 같은 능력을 가진 사람이라면 자신에 대해 더 잘 알고 있는 사람이 결국 글로벌에서 존경받는 포춘기업의 CEO로 낙점된다는 것을 밝혔다. 이 연구를 토대로 C Level이 리더십 교육은 리더의 자기이해 능력(자신이 모른다는 것을 아는 능력)을 찾아주는 것으로 전환되었다. 자신이 모른다는 것을 모르는 리더는 지금처럼 모든 사람들이 길을 잃고 헤매는 초뷰카 시대에 가장 위험한 시한폭탄이다. 나방처럼 모르는 사람들을 이끌고 블랙홀로 뛰어드는 만용을 부리기 때문이다.

IP : 112.221.xxx.69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23.9.2 11:12 AM (182.216.xxx.211)

    정말 좋은 글이네요. 용산 돼지에게 보내도
    걔는 이게 저를 말하는지 모르겠죠…

  • 2. ㅇㅅㅇㄴㅃㄴ
    '23.9.2 11:17 AM (1.225.xxx.214)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 3. ooo
    '23.9.2 11:22 AM (182.228.xxx.177)

    참 슬픈 일이네요.
    너무 무식해서 자기가 무식한것도 몰라서 생긴 일이라니 ㅜㅜ

  • 4. 기레기아웃
    '23.9.2 11:35 AM (61.73.xxx.75)

    잘 읽었습니다 좋은 글 추천합니다

  • 5. ㅂㅂ
    '23.9.2 11:47 AM (112.221.xxx.69)

    세상을 잘 모르는 리더가 신념을 가지면 가장 큰 불행이 몰려온다. 이들 리더가 사람들을 곤경에 빠트리는 이유는 몰라서가 아니라 자신이 뭔가를 안다는 착각이다. 이들은 착각에 근거해서 자신에게 주어진 권한을 동원해 잘못된 행동을 지속해가며 주변을 엄청난 고통으로 몰아넣는다.

    지금처럼 혼란스런 세상을 바로 잡을 수 있는 자신감은 자신의 존재목적이라는 안테나를 세우고 이 존재 목적을 검증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피드백을 받아가며 행동하는 학습자들이다. 무식이 만용을 낳는다면 반대로 자신의 존재목적에 대한 자기인식이 근거있는 무조건적 자신감의 기반인 셈이다. 존재목적이라는 나침반을 가진 사람들은 불확실성의 망망대해에 자신 있게 뛰어드는 용기와 자신감을 획득한다. 나침반이 있어서 길을 잃을 것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
    정말 걱정됩니다 ㅠ

  • 6. ...
    '23.9.2 11:54 AM (122.37.xxx.108) - 삭제된댓글

    며느리를 본 두집이 있는데
    한 며느리는 솔직히 대박난 결혼인데도 시부모께 할말 못할말 가리지 않고 맘대로 행동하고
    그에 반해 또 다른집은 아들보다 더 나은 며느리임에도 예의 바르게 행동한다 하더라구요
    그래서 멋모르면 용감하다...명언입니다.

  • 7. ...
    '23.9.2 11:55 AM (1.241.xxx.172)

    무식하면 용감하다
    이런 근거가
    원글님 잘 읽었습니다

  • 8. . .
    '23.9.2 12:11 PM (1.227.xxx.201) - 삭제된댓글

    원글님 글 보고 누군가 떠올라서
    관련된 글 올려봅니다

    윤**의 말은 왜 '베이비 토크'인가
    https://m.clien.net/service/board/park/18282323?od=T31&po=1&category=0&groupCd...

  • 9. ㅂㅂ
    '23.9.2 12:30 PM (112.221.xxx.69)

    전부터 별명이 59분이었다고 들었습니다.
    윗님께서 링크한 글 내용처럼 5년만에 쫄딱 망하는 결과가 현실이 될까봐 두렵습니다.

  • 10. ....
    '23.9.2 12:38 PM (112.147.xxx.62) - 삭제된댓글

    내용 좋네요

    윤석열은 검사하면서
    많은 피의자 만나고 이런저런 사건 다 다뤄봤다고
    세상 다 아는척 하고 있는건데

    이런 등신같은 논리면
    왕위세습하듯이
    대통령도 가족에게 세습해야죠

    대통령이 하는 일들을
    제일 잘 아는건
    그 가족 아닌가요?ㅋ

  • 11. 더닝크루거 효과
    '23.9.2 12:39 PM (112.147.xxx.62)

    내용 좋네요

    윤석열은 검사하면서
    많은 피의자 만나고 이런저런 사건 다 다뤄봤다고
    세상 다 아는척 하고 있는건데

    이런 등신같은 논리면
    왕위세습하듯이
    대통령도 가족에게 세습해야죠

    대통령이 하는 일과
    잘하고 못한일
    제일 잘 아는건 그 가족 아닌가요?ㅋ

  • 12. ..
    '23.9.2 12:48 PM (223.38.xxx.250)

    진짜 잘읽었습니다 ㅠ

  • 13. ㅡㅡ
    '23.9.2 1:23 PM (123.214.xxx.132)

    감사합니다
    잘 읽었어오ㅡ

  • 14. ..
    '23.9.2 1:36 PM (118.221.xxx.98)

    더닝크루거 효과 잘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15. ..
    '23.9.2 1:37 PM (125.248.xxx.36)

    좋은글 감사해요. 공부 못하는 아이들이 시험 보고 잘봤다 생각하는 것도 같은 이유죠?

  • 16. ..
    '23.9.2 1:39 PM (203.211.xxx.184)

    좋은글 감사합니다.

  • 17. 우리나라
    '23.9.2 2:14 PM (175.192.xxx.185)

    속담에 우물 안 개구리와 비슷하네요.
    저 용산 물건들도 그렇고, 제 주변에도 책은 많이 보는데 절대, 피드백이 안되면서 세상 자기가 제일 잘난 줄 아는 인간이 있어요.
    그걸로 주변인들 비난하고 무시하고, 상처주면서 배려라고 하는 인간.
    오히려 주변인들이 경험도 많고 경직되지않은 사고를 하는 사람들이라 잘나가는데요.
    학습의 본질인 피드백이 안되는 인간들, 요즘 제대로 보고 있어요.

  • 18. 결국은
    '23.9.2 9:09 PM (112.147.xxx.62) - 삭제된댓글

    메타인지...

  • 19. 걸국
    '23.9.2 9:10 PM (112.147.xxx.62)

    메타인지가 핵심인거죠...

    너 자신을 알라...ㅋ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21359 CEO, 최고급으로만 데려간다는 남자 ㅡㅡ 04:14:40 27
1721358 김문수 부부와 노동운동 했던 동지들 충격 증언 3 .. 03:03:26 885
1721357 이재명씨 대통령 되면 조국 8.15 사면인가요 4 만일 02:47:58 507
1721356 원빈 드디어 복귀 ... 광고로. ..... 02:14:48 731
1721355 강남 1타 강사가 말하는 노무현 1 ㅇㅇ 01:39:08 1,039
1721354 고양이 여러 마리 나오는 유튜브 뭐 보시나요 6 .. 01:36:12 339
1721353 Jtbc오대영 앵커에게 돌직구 맞은 개혁신당 대변인 3 이뻐 01:35:12 1,188
1721352 김건희 신명 개봉 너무 막고싶을듯해요 6 .. 01:30:25 1,070
1721351 이재명 아들 도박자금 2억 3000만이 오해를 받는데 24 나가리라 01:23:40 1,656
1721350 김문수는 있는 돈 모두 전광훈에게 바쳤나봐요 13 ... 01:19:24 1,126
1721349 운동을 쉬면 안되는 이유 1 oo 01:16:51 953
1721348 설난영 “노조는 과격하고 못생기고, 저는 이쁘고 부드럽고…” 2 01:15:48 653
1721347 왜 언론매체들은 이준석을 띄울까요? 6 매체 01:12:46 453
1721346 윤거니 관저 물2년 전부터 월800톤 썼다 13 ... 00:48:54 1,768
1721345 유시민의 설난영 발언 충격이네요. 42 ... 00:42:24 4,041
1721344 회사 아웃룩 메일... 이런 경우 있나요?? 3 ... 00:41:34 393
1721343 이상호기자의 이재명후보 아들 이야기. 45 여유11 00:41:08 2,317
1721342 이재명후보 체력 진짜 대단해요 8 00:40:41 670
1721341 조국혁신당, 이해민, 개원한지 1년, 국민 여러분 고맙습니다 1 ../.. 00:37:53 352
1721340 정청래 법사위원장의 좌파 이론 1 이뻐 00:32:41 323
1721339 이재명은 도대체 왜저렇게 독사 같을까요? 42 00:11:42 2,581
1721338 설난영 - 이재명 후보 아이들.., 조국 경우 도덕적 해이 27 ㅇㅇ 00:11:23 1,611
1721337 우리나라 대선투표하는 중국인들은 뭔가요? 20 00:09:52 1,081
1721336 2013년에 이준석이 무슨 위원이었나요. 2 .. 00:07:26 446
1721335 나솔 17 옥순 8 ㅇㅅㅇ 00:03:26 1,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