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키친토크

즐겁고 맛있는 우리집 밥상이야기

뚝배기나물비빔밥-명절은 갔습니다. 하지만 나물은 남았습니다.

| 조회수 : 8,918 | 추천수 : 0
작성일 : 2013-02-10 23:03:38

"아....명절!!은 갔습니다."
"그렇지만 얼마 후 또 옵니다."
"올테면 오라지..?" 이렇게 쉽게 말할 수 있는 그런 녹녹한 타이틀은 아닙니다."
"그치만 어이됐든 갔습니다."

.

.

.



명절은 끝났지만  이제부터 해야 할 숙제가 다 끝나진 않았지요.
정성 드려서 만든 음식들을 알뜰하게 먹어야 하는 과제,얼른 해야지요.
나물들은 냉동을 할 수도 없고 여튼 빨리 먹는게 최선이라서  비빔밥을 해 먹었어요.
모둠나물들,뭐니뭐니 해도 비빔밥이 최고죠.
저는 밥에 나물만 넣고 비빔하는 비빔밥 보다는 조금 "업그레이드된 돌솥비빔밥"으로  점심을 먹었어요.

돌솥비빔밥, 보통의 비빔밥보다 손은 많이 가지만 당연히 맛도 좋습니다.

만드는 방법은 다 아시겠지만..
돌솥비빔밥이 의외로 간단하지만 맛없게 될 가능성이 좀 있거든요.

====뚝배기비빔밥 만드는 노하우++++++

1.우선 참기름,들기름,올리브오일,버터,마가린을 뚝배기에 발라 줍니다.
그대로 밥을 눌리면 밥이 잘 안 떨어지고 고소한 맛이 덜 하거든요.
기름을 바르는 편이  훨씬 낫습니다.


 

2.기름 두른 뚝배기에 밥을 적당히 펴서 눌려 줍니다.
그럼 밥의 양은 어느정도..?


나물과 함께 먹으면 한 공기 많지 않을까? 누룽지 분량 생각하시면 보통 한 공기 정도 아님 약간 적게 넣으시면 됩니다.
(밥 양은 본인과 타협 하시면 되는데 밥이 너무 많으면 맛이 덜해요.)

3.나물을 돌려서 담습니다.
어떤 나물도 괜찮은데 나물에 국물이 많이 생겼을  경우엔 국물을 좀 제거 하시고
가능한 새콤달콤하게 무친 나물 있으시면 넣지 않는 게 좋습니다.
예를 들면 도라지오이무침,문어,오징어 초무침......
식초가 들어간 무침은 나중에 비빔을 하면 맛이 오묘하더군요.
4.계란을 올립니다.
계란을 얹으실 땐 가능한 노른자위만 얹으세요.
흰자위까지 다 얹으시면 밥이 질적해지더군요.
저는 떡국고명이 많이 남아서 그걸 그냥 편하게 얹었어요.
담백하긴 계란 고명을 넣는 게 더 낫더라구요.

5.모든 재료를 돌려 담고 뚜껑을 덮어 밥을 노릇하게 굽습니다.

어느정도 구워야 할까요?
불을 너무 강하게 하면 밥이 탈 수 있으니까요..
중불에서 톡톡 기름 튀는 소리가 들릴 때까지..(약 5분 정도)
잘 모르겠다 싶으시면 수저로 맨 밑바닥을 뒤집어 확인해 보세요.

5분 정도 누룽지를 눌리면 이 정도 되는데요..
이건 화력에 따라서 달라지니 5분이란 시간만 믿지 마시고 중간에 확인하세요.


6.원하는 정도로 밥이 노릇하게 구워졌음 기호에 따라서 참기름 한번 더 둘러 주시고
고추장을 넣어서 비빔해서 먹으면 됩니다.
헛제삿밥이라고 해서 고추장 넣지 않고 비빔하는 밥이 있는데..
저는 고추장을 약간 넣어서 비빔하는 게 제 입맛엔 더 낫더라구요.
고추장도 볶음고추장(다진 쇠고기를 넣고 볶은 고추장),초고추장...
기호에 따라서 넣으세요.
저는 시판용 고추장은 단맛이 강해서 집에서 담근 단맛이 없는 고추장 약간을 넣어서 비빔했어요.


작년 추석 땐 큼직한 전골 뚝배기에 넉넉히 해서 덜어서 10식구 이상이 먹었었거든요.
그때는 열무김치도 있었네요.
 역시 구정보다는 10월 추석이 푸릇한 나물이 많아 푸짐하네요.


이렇게 넉넉히 만들어서 나눠 먹으면 나물이 맛있을 때 빨리 먹을 수 있죠.

매년 명절이 끝나면 저는 이렇게 비빔밥을 해서 나물들을 맛있게 먹는데요,

더 맛있게 먹는 나만의 방법있으면 알려주세요.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아인스보리
    '13.2.11 12:49 AM

    밤이라 더 맛있게 보이네요
    역시 비빔밥은 뜨끈해야^^

  • 손사장
    '13.2.13 1:17 AM

    뚝배기 비빔밥의 매력에 전 홀딱 빠져 있어요.

  • 2. annabell
    '13.2.11 6:52 AM

    늦은밤 이걸 보는게 아닌데....
    수저들고 식탁에 함께하고 싶어요.

  • 손사장
    '13.2.13 1:17 AM

    정말 조금밖에 안 먹었는데 하루사이에 완전 통통해졌어요.
    입맛 없어지는 약이 좀 있었음 좋겠어요.-.-

  • 3. 정은이네
    '13.2.12 10:17 AM

    뚝배기가 특이하고 예뻐요.
    어렵지 않으시다면 어디서 구매하셨는지 정보 좀....^^;;

  • 손사장
    '13.2.13 1:20 AM

    친구가 그릇쟁이라서 만들어서 줬어요.

  • 4. 낭기열라
    '13.2.12 12:07 PM

    뚝배기가 눈에 확~~ 들어와요
    밥도 맛나게 보이네요. 비빔밥은 언제나 옳죠. ㅎㅎ

  • 손사장
    '13.2.13 1:16 AM

    맞아요 .비빔밥은 언제나 옳아요.ㅋ

  • 5. 지리맘
    '13.2.14 8:24 PM

    정말 맛있겠어요.^^

  • 6. 간장게장왕자
    '13.4.1 4:55 PM

    우와 정말맛있어보이네요 침이 꼴까닥 넘어가내여 대박입니다 ^^ 언제한번 먹어봐야 할것갇은 마음뿐
    으아 먹고 싶다 ~~~^^

  • 7. beach
    '13.4.13 12:21 PM

    비빕밥 짱 이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37425 명절음식 재활용으로 한 끼 때우기 ^^ 4 재스민 2013.02.11 8,948 1
37424 명절 잘 보내셨어요? 49 딸기가좋아 2013.02.11 9,965 1
37423 설 연휴에 혼자 집에 있네요^^;; 69 시간여행 2013.02.10 17,797 2
37422 뚝배기나물비빔밥-명절은 갔습니다. 하지만 나물은 남았습니다. 11 손사장 2013.02.10 8,918 0
37421 콜라드 그린 떡국 - 새해 복 많이들 받으세요 ^_^ 8 도토리또 2013.02.10 8,620 1
37420 김과 함께 보낸 구정3부 9 손사장 2013.02.08 11,132 1
37419 노처녀의 싱글 테이블 4 - 고등어 파스타 38 B형여자 2013.02.08 15,001 2
37418 감기대란 일주일을 보내며 20 난나 2013.02.08 9,571 3
37417 지난번에 만든 브런치 18 와쥐 2013.02.08 8,477 1
37416 연어스테이크 만들어봤어요 8 와쥐 2013.02.08 6,349 0
37415 비첸향육포 만들어봤어요 12 아이둘 2013.02.08 11,789 0
37414 호텔식 소갈비 했어요. 96 jasmine 2013.02.08 28,155 5
37413 닭미역국, 우엉차... 강아지, 고양이 있어요:) 15 꿈꾸다 2013.02.07 10,100 3
37412 꿈, 아쉽기만 한 밥상 33 오후에 2013.02.07 14,204 4
37411 미리 메리 구정-육전, 이렇게 만들면 백전백승 12 손사장 2013.02.07 10,588 1
37410 히트레시피 보고 만든 단팥죽 20 돈데크만 2013.02.07 9,433 2
37409 방학동안 아이들과 밥,간식해먹기 ^^ 23 몽리 2013.02.06 15,995 0
37408 그릴샌드위치 해봤어요 여기 82덕분에 ㅋㅋㅋ 14 연상기억 2013.02.06 9,121 0
37407 지금 끓고 있습니다 21 꿀짱구 2013.02.06 12,096 3
37406 낮3시에 모여서 밤12시까지 맛난술이 많았던 파티... ^^;;.. 21 부관훼리 2013.02.06 16,512 5
37405 아들을 위한 생일케이크 46 우화 2013.02.06 10,996 3
37404 간단 간편 뚝딱!! 브런치 만들기!! 19 하나미 2013.02.06 16,088 1
37403 뜨근뜨근한 낙지찌개~ 7 금순이사과 2013.02.06 7,168 1
37402 아침밥 해먹기.. 참 쉽죠~ ^^;;;;;; 49 딸기가좋아 2013.02.05 18,775 7
37401 청경채 무침, 계란장 49 아몬 2013.02.05 18,295 6
37400 마음을 위로해주는 소울푸드 149 jasmine 2013.02.05 27,438 5
37399 아름다운 제주살이50~일식이찬의 보양식으로 장어탕 11 제주안나돌리 2013.02.05 7,027 1
37398 모닝세트 일회용 용기,김밥용기로 재활용하기 29 손사장 2013.02.05 13,79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