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내가 전기세, 수도세 아끼는 비법

. 조회수 : 1,848
작성일 : 2007-08-23 08:37:41
28평이고 맞벌이 두식구인데요.
5월분 보니 수도료는 3740원, 하수도료는 1580원이네요.전기세는 11,730원 나왔네요.
수도세 적게 나오게 하는 방법은요.
1. 빨래는 일주일에 한 번정도 몰아서 하구요.
2. 스타킹이나 간단한 건 저녁에 세수하고 그 물에 한 번 빨구 깨끗한 물에 헹궈요.
3. 집에서 먹는 물은 약수터에서 떠와서 밥도 하고 국도 끓이구요.

전기세는 요.
전기는 적게 나온 경우 6천원까지 나온 적있거든요.
두꺼비집에 보면 누전차단기가 5개가 있는 데요.
안 쓰는 누전차단기는 다 꺼요.
예를 들어 에어컨 같은 거요.
맞벌이라 집에 아무도 없는 낮에는 누전차단기 5개 중 딱 한개 냉장고랑 김치냉장고 그런것만 돌아가게 하구요.
저녁에 집에 오면 필요한 거 켜요.사는 데 별로 불편하지는 않은 데 약간 부지런함을 더 떨게 되네요.
IP : 121.183.xxx.80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07.8.23 8:52 AM (59.3.xxx.81)

    우리 세 식구 아껴 쓰는데도 수도요금 10390 급탕료 7720 전기료 21560 이렇게 나왔습니다.

  • 2. ^^
    '07.8.23 8:52 AM (211.108.xxx.58)

    와~~대단하십니다.....정말 부지런 하시네요.......*.*

  • 3. 사탕별
    '07.8.23 8:57 AM (219.254.xxx.167)

    제가 보기엔 맞벌이라 낮에는 거의 쓰는게 없어서 그런거 같은데요,,,,아기 없이 신랑이랑 2식구 살때도 제가 집에서 있을땐 티비도켜고 전기 사용이 있어서 절대 그렇지 않던데,,,,또 사는곳이 아파트인가요? 아파트는 공동전기세,가로등비,공동상업전기세,,,,공동 수도세,,,아무튼 항목들이 너무 많던데,,,,그런게 없는거 보니까 아파트가 아니신거 같아요,,,,이런글 보면 정말 아파트 사는거 후회해요,,,,아기랑 3식구인데 32평이구요,,,한달 전기세 8만원대+ 공동전기= 대략 전기세만 11만원 정도,,,,수도세는 2~3만원이구요,,,,기타 관리비만 17~18만원입니다,,,,겨울철에 난방쓰기 시작하면 난방비 17만~~20만원 추가되구요,,,,,정말 죽겠습니다,,,,이사가야 할까요,,,

  • 4. 사탕별
    '07.8.23 8:58 AM (219.254.xxx.167)

    위에 전기세는 에어컨 사용 안할때 8만원이구요,,,이번달에는 얼마가 나올지,,,,상상이 안가요

  • 5. ....
    '07.8.23 8:59 AM (58.233.xxx.85)

    수도요금같은경우 단일계량기이니 가능한거지 저처럼 다가구에 계량기 하나인집은 소용이 없어요 .저도 저 습관 다 지키는거거든요 .
    전기도 맞벌이시라니 맨날 집을 비우니 가능한 얘기고
    집이 빌날 없는 집은 역시나 의미없고

  • 6. 그래요
    '07.8.23 9:02 AM (121.53.xxx.31)

    저도 출근할 때는 낮에 집을 비우기 때문에 공과금이 적었는데 집에 있으니까 상당히 쓰더라구요 하지만 밖에 나가서 그 시간에 쓰는 돈 보다는 공과금이 적다는 생각이 듬니다. 단지 공과금이 적다뿐이지 다른데로 새는 돈이 있을 수도 있지요, 물론 회사에서 일하고 계시면 아닐수도 있구요.

  • 7.
    '07.8.23 9:10 AM (59.3.xxx.81)

    우리 아파트는 이렇게 더운 여름에도 뭔 난방비가1850원이 나왔는지...
    소심한 저는 관리실에 물어 볼 수도 없고..

  • 8. 난방비
    '07.8.23 9:27 AM (211.217.xxx.219)

    우리아파트는 장마철에 한두번 돌려 주던데요.
    그래서일 거예요.

  • 9. 저기요
    '07.8.23 9:48 AM (125.131.xxx.194)

    애를 한번 낳고나서..다시 써주세요

  • 10. ㅎㅎ
    '07.8.23 9:55 AM (211.35.xxx.146)

    저기요님 빙고!
    저두 두식구 맞벌이 할때는 밥도 잘 안해먹구 빨래 일주일에 한번 몰아서 하구
    집에 있을때 거의 거실불만 켜놓구 생활하구 등등 정말 적게 나왔었는데
    아기 있고서는 그런데 신경쓸 여유도 없구, 신경쓰면서 스트레스 받고 싶지도 않구 뭐 그러네요^^

  • 11. 맞습니다
    '07.8.23 10:15 AM (58.142.xxx.50)

    맞벌이 두식구는 아끼는법 쓰셔도 공감 안가고요,(딴지가 아니고요 비교적 쉽다는 얘기.
    기분 상하지 마시고요) 아이둘 키우면서 짜게 사셨다면 웅하하겠네요.
    저도 신혼 맞벌이땐 공과금 안 무서웠죠. 비교적.
    애둘에 노인분까지 계시니, 내 뜻대로 안 살아져요. 전기세만도 십수만원,,,

  • 12. 그러게요
    '07.8.23 10:21 AM (61.254.xxx.244)

    저희도 같은 평수인데 맞벌이 할 땐 그보다 더 적게 나왔거든요?
    그렇지만 빨래도 모아 놓지 않고 그때 그때 빨든지, 자주 세탁하고, 정수기 물 사용하면 돈은 몇천원 더 들더라도 생활이 좀 더 건강해질 것 같아서 몇 천원 투자하고 삽니다. 그리고 아파트 살면 나는 아끼자고 하는데 공동 전기세라든지 관리비,경비비,수선비, 엘리베이터비가 더 나오는 날은 말짱 꽝이 되고 말지요..
    다들 무턱대고 막 쓰면서 살지는 않으시리라 생각합니다.

  • 13. 그렇게
    '07.8.23 11:16 AM (61.34.xxx.74)

    누전차단기 껐다 켰다 하는거 번거롭지 않나요? 아예 절전 전기코드 사다가 전기코드 꽂아 놔도 절전 많이 된다고 하던데....

  • 14. 오~~
    '07.8.23 11:30 AM (125.129.xxx.105)

    대단하세요..
    세숫물로 스타킹 빤다^^*

  • 15. 애가둘인데
    '07.8.23 11:31 AM (210.216.xxx.34)

    여름에 어떻게 빨래를 일주일 몰아서 해요??
    님은 아이가 없으니 그게 가능하지만 아이 키우는 분들은 다를껄요??

  • 16. 원글
    '07.8.23 11:34 AM (116.120.xxx.122)

    TV, 컴퓨터,전기밥솥 등은 절전 전기 코드 항상 사용하고요.
    누전차단기 5개 중에 한 개는 전등인데요. 낮에도 현관문 앞에 센서등 켜지잖아요.
    아침에 일어나면 아예 전등을 내려버려요. 저녁에 깜깜해질때까지요.
    그리고 누전차단기 5개 중 두번째는 부엌 빌트인의 식기세척기, 오븐, 라디오,보일러의 예비전력인데요. 그것도 여름에는 잘 안 쓰니까 아예 내려버리구요. 꼭 필요할 때만 올려요.
    일요일 낮에 컴퓨터랑, TV랑 볼거 다 봐두 전기세 많이 안 나오더라구요.
    그리고 전기계량기 돌아가는 것두 확실히 달라요.
    저도 처음엔 몰랐는 데 누구한테 들어서 알게 된 정보거든요. 도움 될 까 해서 올려봤어요.

  • 17. 좋은정보네요~
    '07.8.23 11:39 AM (220.94.xxx.238)

    냉장고만 계속 돌아가면 되는거니까~

  • 18. 그런데요..
    '07.8.23 12:22 PM (211.208.xxx.82)

    전기세, 수도세가 아니라 전기요금, 수도요금 아닌가요?

  • 19. 그런데요님..
    '07.8.23 11:24 PM (61.99.xxx.3)

    저도 그 얘기하려고 로긴했습니다.
    전기, 수도. 모두 내가 쓴만큼 내는겁니다.
    그래서 세금이 아니에요.
    전기요금. 수도요금입니다...

  • 20. 저두
    '07.8.24 12:03 AM (122.44.xxx.134)

    아이 없는 신혼때야 전기/수도/아파트관리비까지 공과금 다해봐야 5만원이 안넘었었다는...
    아이 없을때 많이 아끼셔요.......
    아이 생기면 공과금이며 생활비가 확확 차이나더라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55020 냉장고에서 버려지는 것들 뭐가 젤 많으세요.. 29 야채 2007/08/23 2,617
355019 대전 생협 이용하시는 분 계신가요? 2 동하엄니 2007/08/23 243
355018 겨우주식 7 ㅠㅠ 2007/08/23 1,179
355017 한살림 쌀이 시커매요 ㅠㅠ 13 알려주세용 2007/08/23 878
355016 배란일에 관해 여쭤요. 5 둘째낳고싶어.. 2007/08/23 347
355015 아파트공사 싸게 3 한걱정 2007/08/23 317
355014 오션월드 인터넷예약하고 가는게 좋을까요? 한번만 더 알려주세요. 2 오션월드 2007/08/23 426
355013 생고추를 말려볼까 하는데 썩히지 않고 잘 말리는 방법 가르쳐주세요 9 태양초 2007/08/23 968
355012 정말 가을이네요 13 가을타 2007/08/23 962
355011 얼마전 여동생, 시아버님 생신문제로 이혼 - 쓴 사람이어요 21 도와주세요... 2007/08/23 2,892
355010 독일제 교구(하바,셀렉트등) 현지와 한국과 차이가 많이 날까요? 2 교구 2007/08/23 221
355009 제일평화시장의 이름난집.... 1 동대문 2007/08/23 1,115
355008 독서대..어느것이 좋아요? 3 열공 2007/08/23 286
355007 ㅋㅋ 질러버렸네요 6 지름신~ 2007/08/23 942
355006 암 환자나 환자를 간호하며 편하게 볼수 있는책 추천해주세요 3 ?? 2007/08/23 238
355005 아기 예방접종 소아과에서 보건소로 바꿀수 있을까요? 7 엄마 2007/08/23 307
355004 어이없어서..전기세가 왜이렇게 많이 나온건지.. 9 전기세 2007/08/23 1,587
355003 마트에 대한 생각이 갑자기 나서... 7 2007/08/23 926
355002 아침부터 신랑과 대판... 제가 문젠가요???-상황 종료.. 40 성질녀.. 2007/08/23 3,766
355001 내가 전기세, 수도세 아끼는 비법 20 . 2007/08/23 1,848
355000 롯데호텔뷔페 6 집안행사 2007/08/23 755
354999 연애,데이트,..남자와 관련해서 읽을 만한 책 있을까요... 6 .... 2007/08/23 502
354998 해외여행시 면세물건 찾을때 3 리마 2007/08/23 434
354997 무공이네에서 파는 크레와 나 다른곳에 파는 스프라이트 염소제거기 염소 2007/08/23 120
354996 초등생 두신 분 - 코팅할일 많은가요? 10 코팅기계 2007/08/23 689
354995 찌개용된장...다담 맛있나요?~ 12 sss 2007/08/23 1,320
354994 엠파스에 사진이 왜 자꾸 배꼽만 1 2007/08/23 69
354993 고추가루는 어디서 구입해야 할까요..?? (막막) 2 ??? 2007/08/23 497
354992 진짜 아이앰샘이 현실에?? 8 세대차이 2007/08/23 986
354991 시부모님 생활비 때문에 속상해요.. 18 능력밖 2007/08/23 2,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