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노란 양은 냄비밥 자주 해드시는 분 계신가요. 

.. 조회수 : 1,407
작성일 : 2025-07-27 18:49:16

 

직화 돌솥밥 좋아해서 
3~4인용 솥으로 이렇게 해먹거든요. 
쌀 양은 2인분 정도 넣고요. 

 

1.  1분 50초 센 블로 끓인다.
2.  약불로 7~8분 두고 끈다. 

 

예전엔 뚜껑 살짝 여는 과정을 넣었는데 
새로 산 돌솥은 이렇게 뚜껑 안 열고 해도

밥이 잘 되더라고요. 

 

끓어서 넘치는 과정도 여러번 거쳐 본 후 
안 넘치고 깔끔하게 하려면 
시간을 저렇게 해야되더군요. 

 

근데, 늘 2인분 정도 밥을 하니 
가벼운 냄비로 해볼까 하고요. 

집에 2인분 크기 노란 양은 냄비가 있어서요. 

 

2인분 밥할 때 뚜껑 안 열고 
위 1.2번 과정처럼 하려면 
시간을 어떻게 배분 하면 되나요. 

 

끓어서 물 넘치는 것도 없게요. 

넘치면 렌지 닦는 게 넘 귀찮아서요. 

 

IP : 125.178.xxx.170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5.7.27 6:51 PM (121.125.xxx.140)

    양은냄비 일부러라도 안써야하지 않나요? 치매예방차원에서라도. 집에있는 스텐냄비 아무거나 다 쓰셔도 됩니다. 제가 그렇게해요.

  • 2. ㅁㅁ
    '25.7.27 6:55 PM (140.248.xxx.2)

    양은냄비ㅣ를 왜 집에서…

  • 3. ..
    '25.7.27 6:58 PM (36.255.xxx.142)

    가능하면 안 쓰는게 좋을듯요.

  • 4. 어머나
    '25.7.27 6:58 PM (125.178.xxx.170)

    찾아보니 양은냄비가 건강에 안 좋은 거군요.

    라면 끓일 땐 무조건 ‘양은 냄비’… 잘못하다간 뇌·신장 망가져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7/04/2024070402465.html

    남편이 라면 끓일 때 쓴다고 샀거든요.

  • 5. ...
    '25.7.27 7:09 PM (73.195.xxx.124)

    양은냄비를 왜 집에서…22222

  • 6. ㅎㅎ
    '25.7.27 7:12 PM (118.235.xxx.142)

    전기밥솥이 분해 세척도 귀찮고 자리를 늘 차지하는것도 싫어서 스텐솥으로 밥을 해먹어요.. 압력밥솥 차진느낌 보다는 고슬고슬 밥이 좋아서 그냥 스텐솥 씁니다.. 구입은 코스트코에서 했고요..
    놀러가서 온갓 솥이나 냄비에 솥밥 잘 해먹는데요, 쌀 씻어서 물에 5분정도 불려서 밥을 중약불에 앉히고, (쌀을 오래 불릴수록 불을 좀 강하게 쓰면 되요) 소리를 듣습니다.. 냄비 뚜껑이 들썩할때 불을 아주 약하게 줄이고 소리를 듣다가 물이 좀 많이 줄어든 소리가 나면 불을 끄고 그대로(뚜껑열지않고) 15분에서 20분 둡니다.. 이과정이 제일 중요한데요, 수분이 골고루 퍼져서 밥이 층지지않고 고르게 익고, 냄비 안쪽에 수분이 맺히면서 밥이 표면에 뭍지않고 깨끗하게 퍼져요. 물론 누른밥이나 누룽지 좋아하시면 물이 완전히 쫄아든 소리가 날때까지 기다렸다 끄시면 되요..

  • 7. ㅎㅎ
    '25.7.27 7:14 PM (118.235.xxx.142)

    아, 그리고 바로 드실거면 괜찮은데, 냉장고에 담아두고 데워드실 요량이라면, 3인분기준 소금 반티스푼이랑 오일(식용유도 좋지만 미강유권장) 반티스푼 넣으면 밥이 잘 눅지 않아요

  • 8. ㅇㅇ
    '25.7.27 7:20 PM (59.30.xxx.66)

    양은냄비를 왜 집에서 3333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46485 동네 친한동생이 작은카페를 오픈했어요 47 .. 2025/08/16 8,541
1746484 그치? 하고 동의구하는 말 왜이리 듣기싫죠 10 00 2025/08/16 982
1746483 소비 획기적으로 줄여보신분? 11 00 2025/08/16 2,774
1746482 위고비 3주차 후기 의외의 효과 10 위고비 2025/08/16 4,567
1746481 가정용 제모기로 가정용 제모.. 2025/08/16 391
1746480 진미채 반찬, 흐물한식감 말고 씹는식감 살아있게 만들려면요? 8 잘될 2025/08/16 1,201
1746479 먹지 말아야 할 것을 먹었네요 17 ... 2025/08/16 5,529
1746478 뽂은깨가 많은데 소비방법좀~ 8 땅지 2025/08/16 970
1746477 어쩌다 윤가 같은 사람이 20 ㅁㄵㅎ 2025/08/16 2,160
1746476 화교들 입학 특례(약학대) 지금도 있나요? 12 참나 2025/08/16 2,058
1746475 혼자 살아간다는 것... 31 산다 2025/08/16 6,396
1746474 티비 없애고 싶어요. 26 요즘티비 2025/08/16 3,411
1746473 본의 아니게 고기집에서 혼술중ㅎㅎ 7 꿀순이 2025/08/16 2,098
1746472 사진도 누가 찍어주냐에 따라 차이가 5 2025/08/16 1,165
1746471 자궁내막조직검사 여쭤요 4 뭉크22 2025/08/16 941
1746470 식전 혈당 120까지는 약 안먹어도 되나요? 7 .. 2025/08/16 1,694
1746469 성모병원 안과 추천해주세요 ㅇㅇ 2025/08/16 1,005
1746468 지금 경복궁인데 전광후니가 와있네요 12 ... 2025/08/16 3,077
1746467 여행으로 급찐살 3키로.. 7 ㅇㅇ 2025/08/16 1,940
1746466 파스타 정량만 먹는 비결 10 파스타 2025/08/16 2,450
1746465 책 추천 좀 해주세요. 20 ㄱㄴ 2025/08/16 1,799
1746464 한국여자들은 남편에게 감사하다는 말을 안하고 존중이 없다 42 ........ 2025/08/16 4,703
1746463 칼국수집 겉절이는 집에 가져오면 물이 생겨요. 4 칼국수집 2025/08/16 2,077
1746462 할머니 유모차/보행보조기 추천해주세요~ 선풍기 2025/08/16 196
1746461 최혜영-그것은 인생 3 뮤직 2025/08/16 1,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