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친정이 부자인 동기들 보니

jhhg 조회수 : 3,963
작성일 : 2025-05-27 13:31:22

대학때 친하게 지낸 두명

한명은 몇백억대 건물주 딸

한명은 집이 평창동인것만 아는데 친구들을 배려(?)하여

잘 티안내려고 노력하는데 티가 안날래야 안날수가 없던데요

 

근데 그들과 오랜 세월 알아오고 인생의 중요한 순간에

선택을 보면 겉모습이 아니라 그 안에 깔린 동기가 좀 특이하더라구요

 

전문직 남성만 고르던 친구는

집이 이미 먹고사는게 다 해결된 집인데 굳이 경제력을 볼까했는데

약간 부모님께 자랑스런 자녀가 되고 싶다 이런 동기가 있던데요

부모에게 나 이만큼 결과를 냈어요 그런맘이 있고

 

또 한집은 이혼을 하긴했는데 그래서 그런지

자기 자녀는 꼭 특정 명문대 아님 메디컬을 보내려고 기를 쓰는데

이유가 어쨋든 뒷바라지 해준 부모에게

저 집안 돈 이만큼 갖다 썼지만 저도 못지 않게 결과냈어요

약간 부모님께 제물(?), 승전의 전리품(?) 이러면 너무 과한 비유지만

어쨋든 베풀어준 부모에게 뭔가 보답을 하고 싶고

인정받고 싶은 마음들이 있더라구요 

본인들이 전문직 판검사 서울대 하버드 못갔으니

자신의 배우자나 자기 자녀 교육이나..

그런 느낌을 지울수가 없더라구요

 

다 성실한 사람들이고 사실 저런걸 평소에 드러내는 사람은 아닌데

그들이 어려운 순간, 절박한 선택의 순간

들어보니 그런 마음이 있더라구요..

 

그래서 부모 돈도 공짜가 아닌거 같고

세상에 공짜는 없다는 말이 맞기도 한거같고요

또 인간이 고독한 존재구나

결국 인간은 자기 인생을 사는 존재지

아무 댓가없이 뭘바라거나 그러면 안되는구나

그런 생각이 들어요

IP : 61.101.xxx.67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는
    '25.5.27 1:37 PM (118.235.xxx.158)

    부모님이 중간 부자(?)라 뛰쳐나왔습니다만
    돈이 너무 많으면 그거 포기하기가 어렵겠더라고요
    나름의 고충이 있기는 하대요

  • 2. 글쎄요
    '25.5.27 1:40 PM (211.235.xxx.164)

    님 친구들은 친구들이 그런 생각 갖고 있는거지 부모님이 자식에게 대가 바라는것인지는 모르지 않나요?
    부모 때문이 아니라 자기 스스로가 내가 이정도는 되야지 하는 베이스가 깔려서 그런거 아닌가요?

    여기서는 딸은 좀 낮은 집서 데려오고가 뭐 보편적인듯 말하던데
    제 친정에서는 여자가 친정이 부자였으면 가난한 집으로 시집 가서도 부자로 만든다는 말 듣고 자랐어요. 자기가 자란 수준은 되야지 하는 생각으로 살아가니 그렇다고 이유 말씀하시던데..

    실제로 제 친척들, 친구 어머님들..부자집 딸들이 가난한 집에 시집간 경우..친정에서는 제일 못살지 몰라도 시가에서는 제일 부자로, 또 일반적 기준으로는 부자소리 들으며 사세요.

    여자들은 자기 수준이 원래보다 떨어지는것 못견뎌 하니
    재산이든 자식이든
    어떻게든 자기 본가 수준 가까이로 올려 놓더라고요.

  • 3. ...
    '25.5.27 1:42 PM (1.222.xxx.117) - 삭제된댓글

    인서울 예대출신이라 그런 동기 친구 수두룩한데
    이건 부자 가난차이 댓가 아니구요

    가정 내 환경과 본인 성향에 따라 달라요

    그리고 모든 이들이 더 낫은 삶을 추구하는데
    그 컷라인이 부모통해 받은게 있어 높이가 다른거죠.

    세상 공짜가 없다는 맞는말인데
    한정 적용시킬건 아니죠. 성급한 일반화되요

  • 4. 일반화 놉
    '25.5.27 1:44 PM (1.222.xxx.117) - 삭제된댓글

    인서울 예대출신이라 그런 동기 친구 수두룩한데
    이건 부자 가난차이 댓가 아니구요

    가정 내 환경과 본인 성향에 따라 달라요
    가난하고 능력안되는데 인정 받으려 희생사연
    82에도 한번씩 올라오는데

    결정적으로 대다수 모든 이들이 더 낫은 삶을 추구하는데
    그 컷 라인이 부모통해 받은게 있어 높이가 다른차이

    세상 공짜가 없다는 맞는말이지만,
    이렇게 한정 적용시킬건 아니죠. 성급한 일반화되요

  • 5. 일반화 놉
    '25.5.27 1:45 PM (1.222.xxx.117)

    인서울 예대출신이라 그런 동기 친구 수두룩한데
    이건 부자 가난차이 댓가 아니구요

    가정 내 환경과 본인 성향에 따라 달라요
    가난하고 능력안되는데 인정 받으려 희생사연
    82에도 한번씩 올라오는데요

    결정적 차이는
    대다수 모든 이들이 더 낫은 삶을 추구하는데
    그 컷 라인이 부모통해 받은게 있어 높이가 다른것 뿐

    세상 공짜가 없다는 맞는말이지만,
    이렇게 한정 적용시킬건 아니죠. 성급한 일반화되요

  • 6. ...
    '25.5.27 1:47 PM (118.235.xxx.218)

    부모님이 포함된 그룹에 걸맞게
    삶의 지위를 추구하는데...꼭 부모님한테 받은 댓가를
    돌려줘야한다는 채무의식때운일까요? 과연?

    그냥 자기가 지녀야한다고 생각하는 사회적인
    지위? 성과 기준이 부모들 덕에 높아진 거죠.

  • 7. ㅎㅎ
    '25.5.27 1:57 PM (125.142.xxx.33)

    막말로 부모재산 까먹기만 하는 자식보단 낫지않나요?

    글 읽다보니 의식의 흐름이 원글님은 부자친정가진 친구처럼 돈 안써도 가성비로 자식농사는 잘지었다고 약간의 정신승리하는 뉘앙스가 풍겼어요. 아니라면 뭐 어쩔수 없고요 ㅎ

    자식이 부모뜻대로 크는것도 아니고
    부모자식간이라도 서로 잘해아죠

  • 8. 그런데
    '25.5.27 2:03 PM (221.149.xxx.157)

    부모가 가난하면
    부모님께 자랑스런 자식이 되어야 겠다는 생각을 안하나요?
    그냥 인정욕구가 강한 두 친구가 우연히
    부모님이 부자였을수도..

  • 9. 모쏠아
    '25.5.27 2:22 PM (114.204.xxx.203) - 삭제된댓글

    ......

  • 10. ....
    '25.5.27 4:38 PM (121.137.xxx.59)

    사람마다 다양한 내면의 동기가 있어서 우연히 알게 되면 깜짝 놀라곤 해요.

    직접 들은 건 아니지만, 형이 너무 잘나가는 경우 남동생들이 본인의 능력을 증명하려고 굉장히 노력하기도 하고, 특정 학교 못 간 경우나 특정 직업 못 가진 경우에 그걸 늘 보충하려고 하는 경우도 있고.

    저는 제가 노력해서 이룰 수 있는 건 대충 다 됐는데, 부모님이 동기들 부모님 중에서 특별히 잘나가는 스펙이 아닌 거, 그게 좀 맘이 쓰이더라구요. 그래서 예전에 20대 부부가 곱게 차려입고 손잡고 장보고 이런 게 부럽더라구요. 할머니와 손녀, 혹은 어머니 딸, 이렇게 와서 쇼핑하는 것도 부럽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23410 자칭 타칭 겉절이 고수님들 계신가요 6 어렵네 2025/06/10 1,054
1723409 아이돌보미 분 저녁이나 간식제공이 필수인가요? 9 .. 2025/06/10 1,911
1723408 연예인 유투브 협찬이 큰것 같아요 5 ... 2025/06/10 2,158
1723407 독일 ajona치약은 어디서 살수있어요? 4 2025/06/10 1,597
1723406 카메라관련주 사야 하나? ㅋ 5 좋다좋아~ 2025/06/10 1,616
1723405 데일리 가방으로 뭐 들고 다니세요? 9 // 2025/06/10 3,176
1723404 김충식..이낙연하고도 관련이 있나보네요. 14 .. 2025/06/10 2,893
1723403 물리치료때 잠깐 지압해주는데 너무너무 시원해서 졸음이 오네요 2 .. 2025/06/10 1,280
1723402 처음으로 침대 샀어요. 5 2025/06/10 1,699
1723401 내가 무엇이 좋아서 같이 사냐고 남편에게 물으니 9 40주년 2025/06/10 3,032
1723400 미국 여행시 일반적으로 많이 먹는 음식 8 2025/06/10 1,704
1723399 국무회의 영상 (잼통님 칭찬 있음) 1 ... 2025/06/10 1,002
1723398 정년 연장 이대통령 공약이었어요? 지금 남편회사에서 41 ... 2025/06/10 5,075
1723397 단독주택과 아파트의 거주비용은 5 고민중 2025/06/10 1,251
1723396 대학원 기숙사생활 힘들까요 13 자취 2025/06/10 1,849
1723395 3차병원 2 ... 2025/06/10 1,007
1723394 미지의 서울 질문이에요. 5 귀염아짐 2025/06/10 2,630
1723393 고등 아이 한달에 얼마 쓰는 것 같아요? 8 하우머치 2025/06/10 1,535
1723392 지금 중앙대 후문에 걸린 현수막.jpg 35 더쿠펌 2025/06/10 16,381
1723391 어제 오늘 당근에 올라온글 6 dd 2025/06/10 2,361
1723390 바이터믹스 질문해주신분 2 감사 2025/06/10 714
1723389 요즘 웬만한 어린이보험은 다이렉트 가입 가능한가요? 보험 2025/06/10 279
1723388 미지의 서울 박보영이요 9 신기방기 2025/06/10 4,121
1723387 전자렌지용 찜기 추천해주세요~ 1 덥다 2025/06/10 634
1723386 경호처 대기발령 5인방은 왜 여적 사표 안쓰고 뭉개고 있었던걸까.. 7 ... 2025/06/10 2,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