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브루스 커밍스 교수..차기 미국 대선주자에 대한 인터뷰

인터뷰 조회수 : 1,163
작성일 : 2016-06-15 02:20:34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america/747834.html

세계의 석학..한반도 전쟁 전문가.. 브루스 커밍스 교수의 차기미국 대선 후보에 대한 평가입니다. 
미국의 중국 때리기의 실체는 결국 신자유주의..즉 중국 경제를 미국기업에 개방하기위한 목적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한반도문제에 있어서는 힐러리는 분명한 매파이고 대북 강경론자인데..트럼프 또한 매우위험한 인물이라고 합니다.
커밍스교수는 미국인의 입장에서 ...트럼프가 대통령이 안되길.. 바라는것 같습니다.
------------------------------------------------

브루스 커밍스 교수의 미 한반도정책 전망

“중국엔 군사 봉쇄하는 척하면서
미국기업 위해 시장개방 전략 펼듯”

-클린턴이 대통령이 될 경우, 어떤 대북 정책을 펼칠 것으로 보는가?

북한 고립화 정책을 지속하고 북한의 비핵화를 요구할 것이다.”

-클린턴이 직접 얘기하진 않았지만, 측근들은 ‘북한 붕괴 직전까지 제재를 강화해야 한다’고 한다.

그런 방식은 지난 25년 동안 전혀 효과를 보지 못했다. 그러니 다음 행정부 임기 4년 동안에는 효과를 볼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는가. 클린턴 진영이 기존 국가안보 시스템을 벗어나 사고할 수 없음을 보여주는 또 하나의 사례라고 생각한다.”

-트럼프는 김정은과 대화할 수 있다고 얘기한다.

트럼프가 얘기한 대외정책 가운데 유일하게 좋아하는 부분이다. 미국 지도자들은 적성국 지도자와 대화하는 것을 큰 선물인 것처럼 생각한다. 미 정부가 지난 70년 동안 북한을 고립시키고 존재하지 않는 국가처럼 취급해 얻은 것이 있는가? 충돌과 상처와 고통뿐이다.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은 소련에서 볼셰비키 혁명이 일어난 지 16년 뒤인 1933년 소련과 외교관계를 열었다. 비교적 관계를 잘 유지했기 때문에 소련은 2차 세계대전 중 나치 및 일본에 맞선 연합군의 일원이 될 수 있었다.”

-대외정책에서 힐러리는 매파, 트럼프는 비둘기파로 분류되기도 하는데.

클린턴은 분명 매파다. 그가 백악관 집무실에서 내릴 결정이 우려스럽다. 그는 리비아의 무아마르 카다피를 끌어내리는 데 중요한 추진세력이었다. 그런데 지금 리비아는 완전히 엉망인 상태가 됐다. 트럼프는 비둘기파가 아니다. 그가 유세기간 동안 보인 행동들은 기본적으로 충격적인 발언으로 텔레비전의 관심을 끌기 위한 것이었다. 그의 대외정책 발언 가운데 유일하게 체계적인 부분은 1차대전과 2차대전 사이에 존재했던 고립주의를 들먹이는 것이다. 그러나 트럼프의 고립주의는 일방주의, 동맹에 대한 비난, 반이민 입장, 미국 단일국가주의다. 물론, 그는 입장을 자주 바꾸기 때문에 대부분은 그가 대통령이 돼도 어떤 외교정책을 펼지 잘 모른다.”

-클린턴이나 트럼프가 잘못된 대외정책을 펴려 할 때 그의 측근들이 막을 수 있다고 보는가?

클린턴은 분명 측근들의 말에 신중하게 귀를 기울일 것이다. 문제는 서맨사 파워 유엔 주재 미국대사 같은 강경파 등 클린턴이 이른바 (보수적인) ‘워싱턴 엘리트층’에 둘러싸여 있다는 점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가장 위험한 측면 중 하나는 ‘나르시시즘’이다. 그는 항상 자신이 옳다고 확신한다. 그는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보다도 세계에 대한 사전지식 없이 백악관으로 들어가게 될 것이다. 레이건은 국가안보회의 동안 졸기도 했지만, 최소한 측근들의 말은 들었다. 트럼프는 완전히 다르다. 그는 아주 적극적이고 엄청난 에너지를 갖고 있으며, 하루에 4~5시간만 자면서 남의 말은 거의 듣지 않는다. 따라서 그는 (만일 대통령이 된다면) 미국 역사에서 가장 위험한 대통령이 될 것이다. 미국에서도 19세기엔 쓸모없고 비정상적인 대통령들이 있었다. 그러나 그들은 지금처럼 대규모의 군대를 통솔하지는 않았다.”

IP : 222.233.xxx.22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트럼프는 제어장치없는 폭탄
    '16.6.15 2:24 AM (74.101.xxx.62)

    클린턴은 미국의 이익을 위해서 다른 나라를 희생시킬 수 있는 매파일 가능성이 있겠지만...
    그래도 최소한 '논리적인 설득'이 통하는 정상적인 사람이지요.
    트럼프의 문제는 자기 자신에 대한 파악조차 가능하지 않은 그냥 ... 타고나길 못돼처먹은 일곱살짜리 이기적인 남자애가 겉만 늙은 거라고 보시면 됩니다... 제어장치가 없대요. 그냥 ... 누구의 말조차도 듣지 않는

  • 2. 강경매파 힐러리
    '16.6.15 7:48 AM (222.233.xxx.22)

    힐러리가 한반도 문제에 위험한건 분명해 보입니다.
    이건 세계의 석학들이 모두 지적하는 공통된 힐러리의 문제입니다.
    하지만..윗님이 지적했듯이 트럼프는 제어없는 위험한 폭탄장치다..이게 정확한 표현인것 같습니다.
    --------------------------------
    힐러리 주변과 위아래 있는 사람들이 모두 이런사람들이 모여있나 봅니다.


    힐러리 외교책사 웬디 셔먼의 위험한 북한 붕괴론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america/742513.html

  • 3. 강경매파 힐러리
    '16.6.15 8:57 AM (222.233.xxx.22)

    힐러리, 사드에도 강경태도 고수할듯...
    http://news1.kr/articles/?2687312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61363 종묘를 생전 처음 가볼라하는데요 5 00:06:05 363
1761362 죽으면 염 꼭 해야하나요? 1 음... 2025/10/05 588
1761361 발 많은 벌레 퇴치법 알려주세요. 3 도와주세요 2025/10/05 230
1761360 혼자 1월에 괌여행 열흘가는데 가성비 호텔 추천해주세요 2025/10/05 228
1761359 김밥집 해보고 싶은데.. 홍보가 문제네요 19 ㅇㅇㅇ 2025/10/05 1,321
1761358 교육부, 기초학력전담교사 배치 검토 .. 교육감들, 전문교사제 .. 17 .. 2025/10/05 1,081
1761357 밥값 대신 물건으로 퉁치는 친구 6 ㅇㅇ 2025/10/05 1,472
1761356 명언 - 스스로에게 질문 ♧♧♧ 2025/10/05 293
1761355 “왜 큰집 안 가”…아내와 아들에 흉기 휘둘러 11 ㅇㅇ 2025/10/05 2,667
1761354 과거 집착 시아버지 때문에 미치겠네요. 3 휴우 2025/10/05 1,731
1761353 코스트코 이그제큐티브 적립 아시는 분 .. 2025/10/05 405
1761352 시어머니가 방이 작다고 11 ㅓㅓㅗㅎ 2025/10/05 2,758
1761351 이혼남이 유부녀인 저에게 30 괴롭습니다 2025/10/05 4,393
1761350 덴프스 유산균 어때요? 1 Q 2025/10/05 393
1761349 무슨 전 드시고 싶으세요? 14 ..... 2025/10/05 1,256
1761348 달걀찜을 보온 도시락통에 전자렌지 돌리기도 2 어떤 보온 .. 2025/10/05 557
1761347 왜 아버지께서는 임대사업자등록을 안하셨는지.ㅠㅠ 4 넘 속상 2025/10/05 2,084
1761346 시간 많은 기혼 언니들이 보자고 하는데요 9 2025/10/05 1,874
1761345 전 사신 분들 어디서 무슨 전 사셨나요. 1 .. 2025/10/05 476
1761344 애호박, 풋호박 차이 4 질문 2025/10/05 511
1761343 쿠팡 와우할인쿠폰은 한달만 사용하다 안해도 되나요 2 ..... 2025/10/05 612
1761342 나솔 28 4 놀랍다 2025/10/05 1,533
1761341 동그랑땡 타지않게 어떻게 굽죠? 11 며느리 2025/10/05 1,208
1761340 “한국 살면서 세금은 나몰라라”…외국인 지방세 최대 체납자 중국.. 20 하나도움 2025/10/05 1,479
1761339 백번의 추억 시작 7 2025/10/05 1,5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