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5급(기술)공무원(구, 기술고시) 혹은 의사 중에서

인생은미완성 조회수 : 3,360
작성일 : 2016-04-07 11:45:21
아이(남자)의 장래 문제로 부부간에 의견이 다릅니다

(둘 하나 선택할 수 있는 실력은 가지고 있다고 가정을 하고)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업무의강도 그리고 장래 등  여러가지를 고려해볼때 
어떤 것을 권해주실수 있을까요?

위에 제시한 두 직업에 대한 적나라한 깊은 지식이 없어서 도움을 청합니다.
IP : 175.209.xxx.146
2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4.7 11:48 AM (218.238.xxx.102) - 삭제된댓글

    아이가 안정을 추구하는 스타일이라면 의사(개업의)
    도전하고 사람들과 부딪히고 명예를 가지고 싶어하는 스타일이라면 행정고시

    참고로 경제적으로는 두 직업은 비교상대가 아니지요. 너무 큰 차이가 나니...

  • 2. 어제
    '16.4.7 11:51 AM (183.103.xxx.243)

    글쓴분 맞죠? 애가 서울대가도 행정고시 붙을지 아닐지는 아무도 몰라요. 괜히 고시낭인 천지인게 아니라는...
    의사야 수능점수보면 들어가냐 안가냐에따라 갈리는거고요. 고시는 몰라요. 그냥 시작점이 달라서 처음부터 선택해야하는거죠. 저는 삶의 질은 의사가 더 좋다고 봅니다. 의사도 힘든데 포기할거 포기하면 마음만 먹으면 프리하게 사는게 의사라서요. 뭐 명예이런거 추구하면 고시보고요. 일은 엄청많이하고 월급은 평범하고 .. 수십년흘러야 빛을 발하는게 고시패스자라..

  • 3. 알아서 하세요
    '16.4.7 11:52 AM (211.197.xxx.251) - 삭제된댓글

    몇번을 묻는거에요?

  • 4. mi
    '16.4.7 11:52 AM (173.66.xxx.225) - 삭제된댓글

    어제도 같은 질문.

  • 5. 다시 질문드려 죄송합니다.
    '16.4.7 11:58 AM (175.209.xxx.146) - 삭제된댓글

    네, 어제 밤에도 질문을 드렸는데...
    오늘은 오전이라 어제 밤과는 다른 분들이 들어오시면 좀더 다양한 의견들을 주시지 않을까 해서요,
    죄송합니다.

  • 6. ^^;
    '16.4.7 11:58 AM (1.240.xxx.194)

    어제도 좀 어이없는 질문이다 싶었는데
    같은 글을 오늘 또 올리셨네요.^^;

  • 7. 다시 질문드려서 죄송합니다
    '16.4.7 12:00 PM (175.209.xxx.146)

    네, 어제 밤에도 질문을 드렸는데...
    오늘은 오전이라 어제 밤과는 다른 분들도 들어오셔서 좀더 다양한 의견들을 주시지 않을까 해서요,
    죄송합니다.

  • 8. mi
    '16.4.7 12:02 PM (173.66.xxx.225)

    위에 언급하신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업무강도
    장래
    모두 의사가 낫습니다.

  • 9. ,,,
    '16.4.7 12:04 PM (125.152.xxx.178)

    아이가 하고 싶어 하는 걸 시키세요.
    어느 쪽으로 가건 본인 성향과 맞아야.
    도대체 아이가 몇살이길래...
    - 당장 재수해서 의대가거나,
    재수 않고 기술고시 준비하거나 뭐 이런 갈림길인가요?

  • 10. ???
    '16.4.7 12:10 PM (39.7.xxx.109) - 삭제된댓글

    이해가 안 갑니다
    아이가 선택할 문제를 왜 부모가 결정하지요?
    설사 사회인이 된다해도 아이의 인생이 걱정됩니다

  • 11. 원글
    '16.4.7 12:17 PM (175.209.xxx.146)

    당연히 아이가 결정하라고 할 겁니다. 그런데 아이도 결정을 잘 못하니까 정보라도 많이 줄려구요.

  • 12. ???
    '16.4.7 12:21 PM (39.7.xxx.109) - 삭제된댓글

    본문을 보면 당연하다고 생각 안 됩니다
    본문을 잘못 쓰신 거겠지만
    무의식도 반영됐다고 봅니다

    지금까지 부모가 모든 걸 결정해왔다면
    아이가 떠르는 식이었다면
    당연히 결정 못 합니다

    정보도 자기가 모아야지
    떠먹여주는 거, 참 문제입니다

  • 13. ㅎㅎ
    '16.4.7 12:22 PM (121.153.xxx.159) - 삭제된댓글

    의사가 나아요~~ 가족중에 의사있는데 개원했고요. 의사들끼리는 확실히 사고방식과 생활방식이 일반인이랑 달라요. 자기네들도 프라이드가 있고 보상심리 강해서 돈 씀씀이 문화생활 눈높이 스케일 뭐 등등... 개원 후에도 여행 잘 다니고요 쉬는 날에는 친구들이 대신 맡아서 해주고 그래요. 명절이나 기념일 부모님 생신 때도 몇 백씩 척척 내놓고요. 멋드러지게 살아요. 근데 병원도 잘되는 데가 있고 안되는 데가 있다하니 전공 잘 살려서 해야할 듯해요.

  • 14. ???
    '16.4.7 12:22 PM (39.7.xxx.109) - 삭제된댓글

    본문을 보면 당연하다고 생각 안 됩니다
    본문을 잘못 쓰신 거겠지만
    무의식도 반영됐다고 봅니다

    지금까지 부모가 모든 걸 결정하여
    아이가 이의없이 따르는 식이었다면
    이 결정도 당연히 아이 혼자 못 합니다

    정보도 자기가 모아야지
    떠먹여주는 거, 참 문제입니다

  • 15. ㅇㅇ
    '16.4.7 12:23 PM (59.5.xxx.165) - 삭제된댓글

    둘 다 거부감 없으면 당연히 의사.. 일단 어렸을때 의대 입학만 하면 사실상 의사 보장에 군대도 군의관으로 해결.. 기술고시... 대학 가서 붙는다는 보장 없음. 붙으면 월 300 공무원 생활. 널럴한것도 아니고 엄청 바쁨. 야근에 야근.. 퇴직 후 낙하산으로 돈 버는것도 일부인데다 전관예우는 사회적 근절되어야 할 악폐습. 그 마저도 점점 없어지는 추세인데 30년 뒤는 어떨지. 행정고시는 진짜 엘리트로써 대접 받고 나라발전에 한축이 된다는 명예지 안락한 삶과는 거리가 멀어요. 굳이 공무원 생활을 하고 싶으면 의사도 필요한 곳에서 5급 특채로 뽑습니다.

  • 16. ㅎㅎ
    '16.4.7 12:39 PM (121.153.xxx.159) - 삭제된댓글

    아 그리고 타분야 의사친구들도 많아서 몸 아프면 덕보는 것도 많아요. 누구 쓰러지거나 아프면 외과 내과 치과 내통할 데가 많더라고요. 병원 순서도 처음으로 잡아주고.. 가족들도 이래저래 좋은 게 있어요.

  • 17. 적성을
    '16.4.7 12:39 PM (175.223.xxx.230)

    발견하고 결정하세요.

  • 18. ...
    '16.4.7 12:45 PM (152.99.xxx.68)

    되기는 행시가 어려운데 되고나서 처우는 의사가 좋습니다.
    그렇지만 의사중에서도 행정가가 되고싶은사람들은 특채로 5급으로 들어오는분들 있는걸보면
    그야말로 적성에 따라 결정해야할 문제라고 봅니다.
    의사가 특채 5급 공무원으로 공직생활할 수는 있겠지만 행시 5급으로 시작한 사람들과는 길이 다르다는걸 염두에 두시구요.

  • 19. 적성
    '16.4.7 1:08 PM (49.144.xxx.12)

    아이의 적성이 어디가 더 맞는지요? 둘다 맞아서 고민하시는거라면 저라면 의사 밀어주겠어요

  • 20. ㄹㄹ
    '16.4.7 1:21 PM (1.247.xxx.138)

    집에 둘다있어요. 친정아버지 부이사관. 남편 의사. 의사가 훨씬좋아요. 공무원은 일단 사회관계나 라인. 이런게 중요해서 사회생활 스트레스도 크고 젊었을땐 박봉이에요. 나이들면 대신 월급 매우 안정적이죠. 의사는 남 눈치안보고 독립적으로 생활할수있어요. 대신 연금없고 개원 스트레스가 있죠. 그렇게 모든걸 다 생각해봐도 의사가 훨 좋네요

  • 21. ..
    '16.4.7 8:08 PM (1.228.xxx.166)

    둘은 적성이 아예 달라요..아이 적성을 고려해야죠..보니까 대학 결정하려고 하는 거 같은데, 둘 다 되기 매우 힘들고 고시붙기가 더 힘듭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49978 시간당 만원의 가사 도우미일..어떨까요? 3 알바문의드려.. 2016/04/18 2,096
549977 나이가 들면 미모이외의 것도 미모가 되는 것 같아요. 37 나이 2016/04/18 23,220
549976 스타벅스 MMS있는데 커피말고 뭐가 맛있을까요? 4 맛있는거.... 2016/04/18 1,332
549975 단호박에 리코타치즈 어떨까요? 4 달달 2016/04/18 909
549974 안철수 "세월호특별법 시급하지만 민생문제 해결이 최우선.. 50 민생이란? 2016/04/18 2,560
549973 과학 ABCD나눠진 건..융합과학 인가요? 휴.. 2016/04/18 429
549972 강아지를 산책시키는걸 봤는데 강아지의 이런 행동은 뭘까요.. 6 ... 2016/04/18 1,834
549971 [조선일보] "문재인은 왜 정계은퇴하지 않나".. 36 샬랄라 2016/04/18 2,337
549970 폰을 잃어버렸다 찾았는데요 2 핸드폰 2016/04/18 1,455
549969 남의 말 즐겨하는 사람의 심리는 뭘까요 2 2016/04/18 1,240
549968 바두기 옷걸이 쓰시는분 이염 현상 없나요? 옷걸이 2016/04/18 2,803
549967 해야하나요 어떻게 2016/04/18 400
549966 리스테린을 즐겨쓰는데 관련될 수 있는 질병을 보고 깜놀했네요.... 4 헉.. 2016/04/18 4,527
549965 노무현이 자신의 정치적 역정의 최우선 과제를 호남 정치 청산 7 지평연 2016/04/18 755
549964 전세 1억3천에 근저당이 3천6백정도 있는데 괜찮을까요??? 5 ㅇㅇ 2016/04/18 1,183
549963 내용 없습니다. 19 지나감 2016/04/18 3,077
549962 중학생 시험기간에 몇시까지 공부하나요? 9 2016/04/18 2,376
549961 요즘 자기주도학습은 내팽겨쳐두기라는데요..이과수학3등급은 5 과외교사 찾.. 2016/04/18 1,983
549960 혹시 지진 느끼신 분 없어요? 1 .. 2016/04/18 1,191
549959 박영선 “정청래, 잘잘못 따지는 것 바람직하지 않아” 20 왜요? 2016/04/18 2,076
549958 세월호 2주기 아이들의 영전에 바치는 해경 123정의 구조 의혹.. 5 침어낙안 2016/04/18 1,016
549957 미국 보덴 주문시, 배대지 내주소 적을때..문의 입니다. kk 2016/04/18 511
549956 호남사람이 말하는 문재인 26 뽐뿌펌 2016/04/18 2,726
549955 악필교정에 좋은책좀 추천해주세요 1 악필 2016/04/18 736
549954 나이먹으니까 자연 있는곳 에서 조용히 살고싶네요 21 ㄷㄴㄷㄴ 2016/04/18 3,5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