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마른 체질이었을때의 특징(현재는 찌는 체질)

.... 조회수 : 3,331
작성일 : 2016-03-21 13:12:20
무슨 짓을 해도 살이 안찌는 체질이었다가 진짜 우리엄마 소원이 내가 살찌는거였을정도로
근데 자취하고 나니까 천천히 살이 붙더니 어느 순간부터 굶는데도 살이 찌더군요... 
혼자 산지 오래되서 기억이 어렴풋하지만.... 이전과 이후의 차이를 적어봅니다

★ 규칙적인 식사를 한다 = 식사를 제공해주는 사람이 있다
   굉장히 부지런하게 규칙적인 시간에 식사하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일반적으로 혼자 살게 되면
   식사할 사람은 나 밖에 없습니다. 이게 뭘 의미 할까요
   내가 배가 고프기전까지는 음식을 만들거나 사먹으러 가거나 배달주문이라도 할 생각을 안합니다
     *배고픔을 느낌 → 식사를 준비/주문 → 음식을 섭취하게 되기까지 시간동안 허기짐을 느낌
        → 음식을 빠르게 섭취함 → 심리적 포만감 감소 → 섭취량 증가
   집에서 엄마가 차려준 밥을 먹었을때는 늘 제가 배고프다라는 것을 인식하기 한 타이밍 빠르게 식사가 나왔습니다
   그러면 늘 입맛이 없는 상태에서 식사를 하고 입맛이 없으니 깨작깨작 천천히 먹게 되고 
   결과적으로 많이 안먹고 늘 2~3 숫가락씩 남기게 되고 그 남은 음식은 엄마가 다 먹으라고 재촉을 하게 됩니다
   또 식사 사이에 출출함이 느껴질때는 무조건 소소하게 간식을 챙겨먹었는데 이러면 입맛이 없어지죠
   간식 먹어서 입맛도 없는데 아직 배도 안고픈 상태에서 식사가 나오니 식사량은 더욱 줄어듭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이 과정을 주변에서는 사람들은 넌 그렇게 먹고 싶은거 다 먹는데 살이 안찌냐로 보였던거 같습니다
   또 배고픈 타이밍 보다 한 템포 빠르게 식사가 나온다는 것의 의미가 하루에서 정신적으로 배고픔을 느낄때가
   거의 없다는 걸 의미하죠. 혼자 산 이후로 자주 굶다보니 느끼는거지만 음식이란걸 그냥 정신적이 허기짐에
   탐닉하고 있다고 느낄때가 있습니다. 진짜 배가 고파서 먹는다기보다 뭔가 챙겨먹기 귀찮아서 자주 굶다보니
   배고픔에 익숙해져서 그냥 먹어도 정신적 배고픔이 가시질 않는다고 해야할까요
   또 이렇게 자주 굶다보면 기초대사량이 떨어지고 먹을땐 한번에 엄청 나게 많이 먹게 되니까
   자연스럽게 살이 찌는 체질로 바뀌었던 것 같습니다

★ 심리적인 문제
   두달 전에 친가에 가서 며칠 머문적이 있었는데... 참 신기한게 집에 엄마가 있으니 그리 든든하더군요
   또 얼마먹지 않았는데도 포만감도 굉장히 오래가더군요 오랜만이라 그 차이가 확연하게 느껴졌습니다
   혼자 있을때는 그리 먹어도 뭔가 허전하더니;;;
   연구자료에 의하면 직장인들이 살찌는 이유 중 하나가 술자리가 아니라 외로움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인간의 뇌에는 배부름을 관장하는 포만중추가 존재하는데 외로움 같은 부정적인 감정이 뇌에 전달되면
   중추신경계가 자극을 받는다고 합니다 이때 실제로는 배가 고프지 않아도 허기를 느끼게 되서
   가짜식욕이 생겨 이것저것 단음식을 찾아 군것질을 하게 된다고 하네요

학창시절에는 살 찔려고 하루에 다섯끼도 먹어봤는데 안찌다가 자취하고 몇년만에 살이 팍팍 차올라서
먹는거 좋아해서 먹고 찐 사람들이면 억울하지도 않지... 전 그리 많이 먹지도 않고 쪄서 억울하더군요
옷들이 안맞는거에 자괴감을 느끼고 다이어트를 시작하는 김에 한번 예전의 기억을 되살려 적어봤습니다
올해는 다들 다이어트 성공하시길 ㅠㅠ
IP : 222.238.xxx.121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래서
    '16.3.21 1:20 PM (118.176.xxx.9) - 삭제된댓글

    그래서 현재는 마르지 않고 찌는 체질이라는 거군요.
    어떻게 해결하기로 하셨어요.
    이론적으로는 환경 때문에 그렇게 된거니까 환경을 바꿔야하는 게 아닌가 싶은데.
    환경 탓인데 의지로 극복하시려고요?
    진짜로 궁금해서 그래요. 좋은 해결방법이 뭘까요.
    내가 준비 안해도 끼니마다 적당한 음식을 대령? 해주는 시스템....
    아니면 뇌에서 배가 안고프도록 뭔가에 빠져있는 아이템....

  • 2. ㄷㄷㅇ
    '16.3.21 1:21 PM (60.29.xxx.27)

    규칙적으로 안먹고 배고프면 먹는스타일인데 살안찌고 말랐다는소리들어요

  • 3. ...
    '16.3.21 1:25 PM (222.238.xxx.121)

    시간 정해놓고 배고프기 전에 부지런히 잘챙겨먹어야죠ㅠㅠ 운동 열심히하고요
    아무리 생각해봐도 저 배고프기전에 늘 고정된 시간에 식사를 챙겨먹는다는 것이 일단 제일 중요한거 같아요
    배고픔을 느끼기 전에 식사 → 입맛이 없는 상태에서 섭취 → 정신적 허기짐이 없어서 깨작깨작 천천히 먹게됨 → 식사량 감소 = 자연스럽게 다이어트 식사법이 됨 = 정신적으로 허기짐을 느끼는 시간을 최소화

  • 4. 지금
    '16.3.21 1:28 PM (49.168.xxx.249)

    제모습입니다...ㅜㅜ

  • 5. ..
    '16.3.21 1:39 PM (121.145.xxx.241) - 삭제된댓글

    엇,, 전 완전 반대로에요
    불규칙적으로 먹고 폭식하고 예민하고 그럴땐 살 절대로 안찌더니
    규칙적인 생활하고 마음 편해지니까 살찌더라구요..

  • 6. ..
    '16.3.21 7:58 PM (218.236.xxx.90) - 삭제된댓글

    출산 전후로 살이 팍팍 찌면서 체형이 달라지는 것 같아요.
    호르몬의 영향인지 아가씨일 땐 대부분 날씬하잖아요. 그러다 출산 후 몸매가 확 달라지죠.
    마른 체질은 출산 후에도 여전히 살이 안찌지만 반대의 경우 출산 후 자신의 체질이 나타나는듯..
    부모 닮더라구요. 우리 형제들은 아빠 닮으면 뚱뚱, 엄마 닮으면 빼빼..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46685 에듀윌이 공인중개사 책 파는 업체죠? ..... 2016/04/10 793
546684 청년고용할당제 꼭 입법되기를!! 2 .. 2016/04/10 398
546683 [위염/식도염] 메스틱검 드시는 분, 언제까지 먹는건가요? 7 위염 2016/04/10 7,265
546682 미국인데 눈 왔어요 오늘 3 아줌마 2016/04/10 1,660
546681 문안을 자꾸 자꾸 보게 되니 저도 헷갈린다는 게 어의 없어요 13 희안 2016/04/10 2,090
546680 시어머니의 팔이 안으로 굽는 모습 당연하지만 마음이 멀어지네요 12 시댁 2016/04/10 3,342
546679 취업적인 면에서 12355 2016/04/10 443
546678 분당 후보 두분 - 권혁세 김병관 토론 5 분당 2016/04/10 1,093
546677 고1 중간고사 공부, 엄마로서 도울길 있을까요?? 7 2016/04/10 2,081
546676 일찍 결혼해서 친정 떠나길 잘한 거 같아요 94 ... 2016/04/10 18,932
546675 구글 해외 스트리트뷰? 1 ㅁㄴㅇㄴ 2016/04/10 600
546674 식사모임에 돈 안내시는 친정부모님.. 52 ... 2016/04/10 19,436
546673 제가 어떤 마음을 먹어야하나요.. 8 금요일오후 2016/04/10 1,647
546672 맞춤법 지적하는 사람-거칠고 폐쇄적임 56 2016/04/10 4,226
546671 아랫집에서 윗집 소음내는 방법 뭐가있나요?(층간소음문제) 5 2016/04/10 1,837
546670 (태후)명장면 어떤 게 기억나세요? 6 흐린 하늘 2016/04/10 1,319
546669 시민의 눈분들이 .밤새내내 사전투표함 지키시네요-고맙습니다 6 집배원 2016/04/10 825
546668 은평갑 여론조사! 7 쿠이 2016/04/10 4,222
546667 남편 2 dma 2016/04/10 827
546666 남편들 옷은 인터넷 쇼핑몰 없나요? 3 40대 남자.. 2016/04/10 1,151
546665 미봉인 투표함은 어찌됐나요 ㅇㅇ 2016/04/10 375
546664 컴퓨터 잘아시는분~ 5 혹시 2016/04/10 525
546663 총선 사전투표율 12.2%…2013년 도입후 역대 최고 5 선택2016.. 2016/04/10 954
546662 오늘도 근무하냐? 탱자야 17 탱자야~~ 2016/04/10 2,322
546661 재미난 공포물이나 스릴러 영화 보고싶어요 4 사사 2016/04/10 1,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