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키친토크

즐겁고 맛있는 우리집 밥상이야기

이북식 김치 - 석박지 (석박김치, 석반지) 11~13

| 조회수 : 1,858 | 추천수 : 1
작성일 : 2021-06-26 12:11:48

11. 석박김치 (석박지) (1994년 11월호)


△ 석박김치는 김장김치에 앞서 먹는것이다.

1. 절여 씻은 배추와 무우를 4~5센치메터정도의 일정한 크기로 썬 다음 파, 마늘, 고추가루, 실고추, 생강, 소금을 비롯한 갖가지 양념을 버무려 단지에 넣는다.

2. 이튿날 달여서 섞인 젓갈국뭍을 잘박잘박하게 붓는다.


---------


12. 석반지 ( 석박지 ) (2000 년 7 월호)


석반지는 어느 지방에서나 다 담그었는뎨 통배추김치와는 달리 절인 배추와 무우를 썰어서 담근 것이다 . 지방에 따라 써레기김치 흑은 지름김치라고도 하였다 .

만드는 방법은 리조시기의 음식책인 < 시의방 > 에 의하면 연하고 좋은 무우 , 갓을 썰고 배추는 잘 절구었다가 썰며 준치 , 소라 , 밴댕이 , 조기젓은 물에 담그어 하루밤 우려낸다 . 오이는 속만 긁어내고 생복 , 낙지 , 소라는 대가리부분은 잘라낸다 . 독을 땅에 묻고 무우 , 배추를 먼저 넣고 가지와 오이를 넣은 다음 젓갈을 한벌 덮은후 마늘 , 파 , 고추 등을 우에 얹는다. 조기젓국에 굴젓국을 조금 섞어 간을 맞추어 익히면 맛이 좋다고 하였다.


---------


13. 석박김치  (석박지) (2005년 1월호)


김치감도 써는 모양에 따라 맛이 달라진다.

석박김치를 만들 때 무우나 배추는 길이 3~4cm, 너비 2.5~3cm, 두께 0.5cm 되게 썰어야 양념이 알맞게 배들며 쩡한 맛이 난다.

지나치게 얄팍하고 잘게 썰면 김치로서의 신선한 맛이 나지 않는다. 


---------


방신영 레시피 " 보통때 김치담그는 법"이 끝났고요,  김장김치 담그는 법 올리기 전에 북한식 김치를  마저 올려보겠습니다. 

쓸데없는 검색에 걸리고 싶지  않아서  이북식으로 수정하고 출처는 년월호만  표기할께요. 

1990년대 대기근(고난의 행군기)를  거치면서 배급제가 사실상 붕괴되어 공장 대신  가정에서 김치를 만들도록 레시피를 보급한 것 같아요. 

그대로 따라하면 웬만큼  맛이   난다고 합니다.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40989 부산 방문과 복국 13 방구석요정 2025.04.06 8,331 2
    40988 친구를 위한 열무김치+ 파김치 10 해피바이러스 2025.04.06 6,930 5
    40987 캠핑갔어요(미나리삼겹살_ 5 두아이엄마 2025.04.04 8,096 2
    40986 오늘은 잔치국수먹는날~ 10 초보파이 2025.04.04 7,697 3
    40985 182차 봉사후기 ) 2025년 3월 삼겹살수육, 어묵볶음, 계.. 4 행복나눔미소 2025.04.01 6,144 4
    40984 서른살 먹은 아들녀석에게 차려준 첫 생일상 15 skemfdl 2025.03.27 13,817 4
    40983 초대 음식들 (개사진 있음) 16 미스유 2025.03.18 18,993 4
    40982 외식과 고양이 일기 20 방구석요정 2025.03.14 14,344 5
    40981 명왕성은 지금 봄방학 10 소년공원 2025.03.14 12,438 4
    40980 [글 재등록] 밀린 집밥과 직딩 도시락 12 고독은 나의 힘 2025.03.13 9,117 3
    40979 작성자 수정이 안되어 재등록 했어요. 윗글을 클릭해주세요.---.. 8 jyroot 2025.03.13 4,473 5
    40978 재수생 도시락 일기 70 미니유니 2025.03.11 12,165 5
    40977 열무김치 9 berngirl 2025.03.09 8,365 3
    40976 오래될수록 더 좋은 쟈스민님 요리책 13 희주 2025.03.07 9,165 2
    40975 유미에게 뭔가를 해준것 같아 기뻐요. 이쁜봄 이네요- 21 챌시 2025.03.06 9,307 2
    40974 181차 봉사후기 ) 2025년 2월 또띠아피자, 지코바치킨, .. 5 행복나눔미소 2025.03.04 6,009 5
    40973 3월 봄 27 메이그린 2025.03.02 9,588 5
    40972 장담그기, 요알못 남편과 음식 만들기 12 진현 2025.02.25 10,710 5
    40971 에프에 구운 아몬드빵과 통밀빵 28 젬마맘 2025.02.23 11,597 5
    40970 아들이 차려 준 한참 지난 생일상. 13 진현 2025.02.22 9,002 3
    40969 발렌타인스 데이 다음 날 22 소년공원 2025.02.17 11,525 6
    40968 떡국 이야기 (닭장 떡국) 27 주니엄마 2025.02.03 13,451 4
    40967 2025년 첫 게시글.. 그저 사(?)먹기만했습니다 20 andyqueen 2025.02.02 14,579 5
    40966 식단하면서 명절준비하기 마지막 12 ryumin 2025.01.31 7,801 6
    40965 식단하면서 명절맞이 d-3 d-2 d-1 12 ryumin 2025.01.29 7,192 5
    40964 만두빚기, 월남국수 13 ilovemath 2025.01.26 12,838 4
    40963 식단하면서 명절준비하기 (워밍업 단계) 4 ryumin 2025.01.25 5,991 6
    40962 사소한 일상의 이야기로 돌아왔어요. 38 챌시 2025.01.22 14,054 5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