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이명박정부에 감사한다.

구름 조회수 : 1,078
작성일 : 2008-09-06 08:57:25
진보와 보수를 막라하여 언론학 관련 교수들이 모여서 이명박 정부에게 감사를 표하였다.
그동안 잊고 지냈던 언론자유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워 주었기 때문에...
공기가 없어져야 공기의 중요성을 사람들이 알게 되는 것 처럼....
이제 그 언론자유를 지키이 위해 이들이 이념을 넘어 힘을 합하여 함께 자리를 마련했다.
이번 정기국회에서 제출될 딴나라당의 수많은 방송 언론관련 악법들을 저지하기 위해...


http://www.pressian.com/Scripts/section/article.asp?article_num=4008090600324...

  
  "새 성찰의 기회를 준 MB정부에 감사한다"  
  보수ㆍ진보 언론학자 203명 '미디어공공성 포럼' 창립  

  2008-09-06 오전 8:31:11      
  
  진보와 보수를 아우르는 언론학자 203명이 이명박 정부의 '미디어 공공성' 훼손을 비판하며 '미디어 공공성 포럼'(운영위원장 강상현 교수) 창립을 선언했다.
  
  한국언론학회·한국방송학회·한국언론정보학회 소속 언론학자 200여 명이 하나의 정책 대안 연대체를 구성한 것은 이번이 처음. 정치적 성향과 관계 없이 이명박 정부의 언론장악과 미디어 사유화가 민주주의의 위기를 촉발시키고 있다는 문제의식에 언론학자 대부분이 공감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MB 정부 '권위주의적 시장주의'에 집착"
  
  '미디어 공공성 포럼'은 5일 서울 광화문 프레스센터에서 전국 65개대 미디어 전공 학자 등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창립대회를 열었다. 강명구(서울대), 고영철(제주대), 김영주(경남대), 김훈순(이화여대), 송정민(전남대), 이정춘(중앙대), 장낙인(우석대), 정걸진(경북대), 정재철(단국대), 차재영(충남대) 교수 등 10명이 공동대표를, 강상현 연세대 교수가 운영위원장을 맡기로 했다.
  
  이들은 창립선언문에서 "한국사회는 언론의 자유와 독립, 그리고 미디어 공공성의 훼손으로 민주주의의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다"며 공영방송 사장의 인사와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국가권력의 통제와 간섭이 심화되면서 방송이 다시 정권에 종속될지 모르는 위기에 직면해 있다. 우리 사회가 다시 과거 권위주의적 통제 시대로 되돌아가고 있다는 생각마저 들게 한다"고 우려했다.
  
  포럼은 "이명박 정부는 한편으로는 언론에 대한 국가 통제를 강화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미디어를 시장논리에 맡겨 놓으려는 '권위주의적 시장주의'에 집착하고 있다"며 "우리는 이러한 현실에 심각한 우려와 두려움을 느끼면서, 우리 사회와 국민 그리고 정부 모두에게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될 미디어 공공성의 위기, 나아가 민주주의의 위기에 귀 기울일 것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포럼은 "이론과 실증을 통해 확인된 성과를 바탕으로 현상 평가와 진단을 내리는 한편, 나아가 미디어 정책에 합리적 비판과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며 "우리는 포럼 활동을 통해 왜곡된 국내 미디어 상황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전 세계적으로 신자유주의 사조 아래 훼손되고 있는 미디어의 공공적 가치를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미디어공공성 포럼 창립대회 및 기자회견에서 강명구 교수가 발언하고 있다. ⓒ언론노보  

  이들은 신문·방송·통신 인터넷·광고 분과 등 4개 연구분과를 두는 한편 긴급 현안에 대해서는 별도의 연구팀에서 집중 분석해 시의적절하게 대처하기로 했다. 연구분과에서는 이명박 정부의 언론 정책 중 공영방송의 사유화, 신문과 방송의 교차소유, 방송심의제도, 광고거부운동, 인터넷과 표현의 자유, 신문시장과 신문법, 광고제도 등을 다루게 된다.
  
  이들은 9월 정기국회에서 논의될 언론법제 개편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목소리를 내기로 했다. 이들은 △신문관계법 연구팀 △공영방송 연구팀 △방송통신통합법 연구팀 △인터넷 및 정보통신망법 연구팀을 꾸려 다음달 초까지 연구보고서를 낸다는 계획이다.
  
  "정권이 바뀌니…이렇게 세상을 몰랐구나"
  
  운영위원장을 맡은 강상현 교수는 포럼이 창립되게 된 계기에 대해 "지난 7월 정부의 언론 탄압 조치에 대응해 '언론 공공성 수호 선언'을 했는데 그 뒤 개선은 커녕 상황은 오히려 더 악화됐고 이에 본질적인 문제를 더 깊게 알려야겠다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강 교수는 "일부 신문들은 '진보', '좌파' 용어를 사용하며 편가르기 식으로 보도하지만 언론학회에 속한 교수들이, 일반적인 상식선에서 '이건 아니다'라고 문제제기 했던 연구자들이 양심을 갖고 참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강명구 서울대 교수도 "우리는 특정 세력에 대한 당파적 입장을 드러내기 위해 모인 것이 아니다"며 "정파적으로 보수라 할지라도 미디어 공공성을 인정하지 않는 나라는 선진국 중 한 곳도 없다. (한국의) 보수 세력들이 미디어 공공성을 시장을 통한 공공성으로 규정한 것은 불행한 일"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정권이 바뀌면 이렇게 삶 곳곳에서 많은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처음 알게 됐다"며 "나름 공부를 많이 했다고 생각했는데 '이렇게 세상을 몰랐구나'하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해 좌중을 숙연케했다. 그는 "이를 계기 삼아 열심히 공부하겠다. 새로운 성찰의 계기가 되어준 이명박 정부에 감사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정연우 세명대 교수는 "오늘은 언론운동사, 시민운동사에서 의미있는 날로 기억될 것으로 생각한다"며 "학자나 연구자가 대거 전면에 나서 조직을 만들어 활동하는 것은 거의 처음일 것이다. 이렇게 보면 언론운동, 시민운동의 외연을 확대된 것"이라고 말했다.
  
▲ 미디어 공공성 포럼 창립대회 직후 기념촬영. ⓒ언론노보  

  '미디어 공공성 포럼' 창립 발기인 명단
  
  강길호(영남대), 강남준(서울대), 강명구(서울대), 강상현(연세대), 강익모(서울디지털대학), 강준만(전북대), 강진숙(중앙대), 강형철(숙명여대), 고영철(제주대), 권상희(성균관대), 권장원(대구가톨릭대), 권혁남(전북대), 김광우,김경호(제주대), 김경환(상지대), 김경희(한림대), 김관규(동국대), 김관상(평택대), 김광수(고려대), 김광호(서울산업대), 김균(서강대), 김기태(호남대), 김기태(세명대), 김남석(경남대), 김대식,김덕모(호남대), 김동규(건국대), 김동규(동명대), 김동민,김동률,김동윤(대구대), 김동준,김무곤(동국대), 김미라(서울여대), 김민기(숭실대), 김서중(성공회대), 김성길,김성재(조선대), 김성해,김승수(전북대), 김승현(고려대), 김연식(동의대), 김연종(단국대), 김영수,김영주(경남대), 김영주,김영찬(한국외대), 김영한,김영호(우석대), 김예란(광운대), 김용호(부경대), 김은규(우석대), 김재범(한양대), 김재화,김정기(한양대), 김진웅(선문대), 김창남(성공회대), 김창룡(인제대), 김철우,김평호(단국대), 김혁조(한림대), 김현주(광운대), 김형일(극동대), 김혜순(계명대), 김효규,김훈순(이화여대), 남궁영(동아방송예술대), 남궁협(동신대), 남재일(세명대), 류웅재(호남대), 류한호(광주대), 마정미(한남대), 목진자(단국대), 문상현(광운대), 문종대(동의대), 민영(고려대), 박경우(동아대), 박근서(대구가톨릭대), 박상건,박상호,박석철,박선희(조선대) 박용규(상지대), 박원기,박주연(한국외대), 박진규(서울여대), 박태순,박치형,박홍원(부산대), 설진아(방송대), 성동규(중앙대), 성미경,손석춘,손병우(충남대), 송정민(전남대), 송해룡(성균관대), 신순철(한동대), 신태섭(동의대), 신호창(서강대), 심두보(성신여대), 심석태,심재웅(숙명여대), 심훈(한림대), 안병규(인제대), 안영민,안임준,안정임(서울여대), 안차수(경남대), 양문석,양동복(나사렛대), 양성호(건국대), 염찬희(성공회대), 오동석,우지숙(서울대), 원용진(서강대), 유선영,유홍식(서울여대), 윤석년(광주대), 윤성옥,윤영태(동의대), 윤태일(한림대), 윤태진(연세대), 윤호진,이강형(경북대), 이경숙(한국디지털대학), 이기형(경희대), 이남표,이민규(중앙대), 이병섭(인제대), 이상기(부경대), 이상길(연세대), 이상훈(전북대), 이수범(인천대), 이승선(충남대), 이승조(중앙대), 이범수(동아대), 이영주,이오현(전남대), 이용성(한서대), 이용준(대진대), 이원섭(경원대), 이은주,이은택(방송대), 이재신(중앙대), 이정춘(중앙대), 이종선,이준웅(서울대), 이진로(영산대), 이창현(국민대), 이효성(성균관대), 이흥주,이희랑,임동욱(광주대), 임성호,임순혜,임종수(세종대), 장낙인(우석대), 장은미,장하용(동국대), 장호순(순천향대), 전규찬(한국예술종합학교), 전범수(한양대), 전영우(인천대), 전희락(동아방송예술대), 정걸진(경북대), 정길화,정동훈(광운대), 정두남,정미정,정상윤(경남대), 정성호(동명대), 정수연,정수영,정연구(한림대), 정연우(세명대), 정용준(전북대), 정의철(상지대), 정인숙(경원대), 정일권(광운대), 정재민(서울여대), 정재철(단국대), 조맹기(서강대), 조항제(부산대), 주동황(광운대), 주창윤(서울여대), 차영란(수원대), 차재영(충남대), 채백(부산대), 최경진(대구가톨릭대), 최낙진(제주대), 최영묵(성공회대), 최영재(한림대), 최용준(전북대), 최준호(광운대), 최현철(고려대), 하종원(선문대), 한동섭(한양대), 한진만(강원대), 홍성구(강원대), 홍용락(동아방송예술대), 황용석(건국대), 황인성(서강대)
  
  (이상 총 203명)

  
  채은하



IP : 147.47.xxx.131
1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도..
    '08.9.6 9:06 AM (125.137.xxx.245)

    정치와 경제에 관심 갖게해 준 mb정부에 감사~

  • 2. 그런것같아요
    '08.9.6 9:07 AM (121.151.xxx.149)

    우리는 그동안 너무 편하게 세상을 살아온것같아요 그러다보니 중요한것을 잊어버리고 말이죠
    이젠 알앗으니 더욱더 열심히 살아야할것같아요
    이렇게 나서준 교수님들에게 너무 감사합니다

  • 3. gondre
    '08.9.6 9:08 AM (220.70.xxx.114)

    개념 교수님들께서 나서주시니 고맙습니다.
    이메가가 왕따가 되는 그날을 위하여..

  • 4. 아꼬
    '08.9.6 9:11 AM (221.140.xxx.106)

    무관심이 죄악이 될수있다는 걸 가르쳐 준것에 대해서는 감사하지요

  • 5. 칼라
    '08.9.6 9:15 AM (210.0.xxx.242)

    저도 예전에는 정치나 정치인 경제에 대해 잘몰랐어요....
    이명박 정부 덕분에 누가 어떤사람인지 어떻게 변했는지 다 알게 되고
    경제 상식도 풍부해지니 이놈의 정부가 국민을 열심히 공부 시키고 있단 생각이 드네요...
    .......참내 웃어야 할지 울어야 할지.....
    다음에는 무턱대고 표를 찍는 일이 없을 거라 생각하고 그거하나 위안삼네요...

  • 6. 전 공부를
    '08.9.6 9:19 AM (61.83.xxx.123)

    다 한다니까요. 정말 공부 안해서 학교 친구들이 저를 운동선수로 기억하는데 그런 저를 공부하게 만들었다니까요 "모르면 당한다" '무지가 얼마나 큰 죄인가 ' 저를 벌떡 일어나게 하는 역사를 일으키셨다니까요. 감사하지요. 잠 못 드는 불멸의 밤을 만들어 주시니

  • 7. ...
    '08.9.6 9:23 AM (218.238.xxx.76)

    저도 공부합니다.
    소설과 인문학 책을 들썩이다가.
    여기 와서 듣고 보고 알아가면서
    무지할 권리를 만끽했던 날들을 반성하며
    정치와 언론,경제가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요.

    밤 새워 공부 그만하고 싶은데 이제는...그럴 수 있을런지요.

  • 8.
    '08.9.6 9:25 AM (58.142.xxx.244)

    명단에 시아주머님도 계시네요.^^

  • 9. 파란노트
    '08.9.6 9:30 AM (96.250.xxx.75)

    학습하게 해주고, 선전하게 해주더니, 이제는 조직까지 해주는 군요.....

  • 10. 에헤라디어
    '08.9.6 9:52 AM (220.65.xxx.2)

    이 교수님들께 감사 메일 하농씩 보내도 실례가 아니겠지요?
    전 명단 인쇄했습니다.

  • 11. 그래도
    '08.9.6 9:55 AM (59.22.xxx.201)

    그래도 감사만 하기에는 남은 시간이 너무 길고 그들이 너무나 악착같아서 걱정입니다.

  • 12. 그런데
    '08.9.6 10:26 AM (220.127.xxx.17)

    손석희님은 안보이네요.

  • 13. 노을빵
    '08.9.6 10:44 AM (211.173.xxx.198)

    저도 그점에서 이 정부에 감사합니다. 이 정부가 아니었다면 저는 아직도 살림만하고,
    아무것도 모르고... 그렇게 살았을겁니다.

  • 14. ..
    '08.9.6 10:46 AM (211.111.xxx.8)

    저도 무관심이 이렇게 큰 죄악인줄 이번에 알았습니다. 깊이 반성하면서 다시는 이런세상이 되지 않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윗분중 시아주버님 계신다는 분 왕 부럽삼~~~

  • 15. phua
    '08.9.6 11:54 AM (218.52.xxx.102)

    개념주부들을 알게 해 준 것에,,,이 정부에 감사하고 있지요,

  • 16. 저도감사
    '08.9.6 12:24 PM (125.187.xxx.16)

    종교엔 대한 성찰을 일깨워준 것에 감사. 주부가 깨어나냐 한다는 사실을 뼈아프도록 가르쳐 준거에 감사. 어떻게 살아야 하나를 무쟈게 고민하게 해 준거에 감사...

  • 17. 개념녀
    '08.9.6 7:33 PM (219.248.xxx.173)

    정치에 무심했던 제가 - 대한민국 선거이야기- 라는 정치책을 사서 읽기도 한다는..
    그런데 맘 편히 살림만 하고 싶네요..ㅠㅠ

  • 18. 구름
    '08.9.7 12:46 AM (222.115.xxx.141)

    저두 감사해요 이날까지 나라살림엔 관심없던제가 나랏일을 걱정하고 있으니,,,,,,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30490 송편을 가정에서 만들고 싶어요 3 로라 2008/09/06 442
230489 영어주소 3 영맹 2008/09/06 177
230488 시어머님이 저희 추석선물을 많이 사놓으셨다는데.. 5 어떻게.. 2008/09/06 1,134
230487 영화 제목 혹시 아시는분..?? 6 궁금,, 2008/09/06 525
230486 정말 고맙습니다...... 12 힘내자 2008/09/06 1,117
230485 어린이집 시간연장 보육료 관련 궁금해요 3 어린이집 2008/09/06 331
230484 상가에서요.. 상가 2008/09/06 184
230483 이명박정부에 감사한다. 18 구름 2008/09/06 1,078
230482 사과 따러 가요 7 장수사과 2008/09/06 470
230481 네이버 블로그 사용하시는분 질문 드려요~ 1 급질요 2008/09/06 256
230480 전세 계약 연장할때요.. 2 비니다솜 2008/09/06 281
230479 기독교인들은 한번 빠지면 푹빠지던데 이유가 잇나요?? 14 무교인 나... 2008/09/06 1,128
230478 탤런트이응경 33 여담이지만,.. 2008/09/06 15,339
230477 개독교란말 싫어요 35 기독교인 2008/09/06 1,580
230476 당신 생각은 뭥미 ? 1 트럭조수 2008/09/06 223
230475 추기경, 수구에 둘러써여 있다 10 추기경 2008/09/06 571
230474 다시 회원가입했습니다, 46 제시켜 알바.. 2008/09/06 1,175
230473 임신했는데 약과가 먹고싶네요 6 약과 2008/09/06 588
230472 ‘盧 허리수술’ 우리들병원 세무조사 14 리치코바 2008/09/06 1,039
230471 한우갈비 어디서 사야할까요? 5 추석 2008/09/06 379
230470 [제안] 82쿡닷컴에서 "서민은행"을 운영함이... 6 리치코바 2008/09/06 516
230469 ◈ 알려 드립니다. ◈ 11 deligh.. 2008/09/06 739
230468 잘못은 큰머슴이 했는데 애먼 잔챙이 때려잡으려는 한나라당 2 리치코바 2008/09/06 187
230467 외국에 사시는 82님들 컴퓨터 구입 어떻게 하셨어요? 4 baysid.. 2008/09/06 390
230466 5년전 내블로그에 썻던 글... 3 5년전 &#.. 2008/09/06 702
230465 우리가 아끼고 사랑해야할 제도 3 2008/09/06 245
230464 32살짜리 신입도 받아줄까요???(취직) 12 휴.. 2008/09/06 6,299
230463 쌀뜨물 발효액이요-궁금해요. 1 em 2008/09/06 184
230462 촛불에 얽힌 오해와 우정 12 아꼬 2008/09/06 408
230461 돈 안 쓰고 살아남기 10 살아남기 2008/09/06 2,6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