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3년후에 시어머니의 칠순과 친정부모님의 40년 결혼기념일이 있답니다. 그래서 목돈을 좀 마련해야겠기에 한달에 10만원정도라도 적금을 들어야겠다고 생각되는데 어느은행의 무슨 적금이 나을까요? 누가 새마을 금고나 농협쪽이 좀더 이자가 높다고 그러든데 적금도 종류가 너무 많고 해서...
금융관계에 대해 잘 아시는 분이 계시면 가르켜주세요.
이런글 저런질문
즐거운 수다, 이야기를 만드는 공간
적금을 들고 싶은데 추천좀 해주세요..
순둥엄마 |
조회수 : 1,339 |
추천수 : 9
작성일 : 2004-11-04 20:43:06
회원정보가 없습니다- [요리물음표] 맛있고 간단한 탕수소스.. 3 2009-03-24
- [요리물음표] 갈비찜과 사태찜의 맛이.. 3 2008-09-10
- [요리물음표] 냉동된 옥수수 맛있게 .. 2 2008-02-05
- [요리물음표] 갈치포조림 맛있게 하는.. 2 2007-08-27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핑구
'04.11.5 11:39 AM제가... 조금 알아서 말씀드립니다.
신랑은 은행에.. 저는 제 2금융권인 신협에 다녀요..
은행상품도 좋은것이 있지만, 요즘 금리가... 좀 거시기하잖아요..
신협이나 새마을금고, 단위농협은 2000만원까지 비과세가 됩니다..
즉 이자에 대해 세금을 농특세 1.5%만 공제를 해요..
은행같은경우는 이자에 대해 16.5% 세금을 공제하구요.. 상당히 차이가 있지요?
제 2금융권에는 좀 불안해 하시는 분이 있는데... 1인당 5000만원까지 예금자보호법에 의해 다 보장이 됩니다.
그리고 전 금융기관에서 할 수 있는 생계형저축 상품이 있는데 60세 이상, 장애우, 국가유공자... 등 에 대해 완전 비과세... 농특세 마저도 ....
가족중에 60세 이상인분이 계시면 , 그 분앞으로 명의로 하시면 좋을꺼예요...
아님 요즘 증권회사에서 "3억 만들기 펀드"라는거 있는데... 이것도 수익률 괜찮은것 같던데..
도움이 되실런지는 모르겠네요..2. 웃음보따리
'04.11.5 3:19 PM저 오늘 아침에 동네 새마을금고에서 적금하나 신청했습니다.
1년이고.. 이율은 4.3% 윗님 말씀대로 나중에 세금은 농특세 1.5%만 낸다하더군요
국민은행은 3.6%라는 것 같던데.. 도움될까해서 올렸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