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에 노령인구가 많이 없어서 막연히 70세쯤 돌아가시나보다 했는데
요즘 관심 갖고 물어보고 돌아다녀보니
70세면 완전 정정하신단계....완전 노인이라고 하기도 어색 ...
80세도 반은 정정
90세 인데 정정하신 분들도 많네요
주변에 노령인구가 많이 없어서 막연히 70세쯤 돌아가시나보다 했는데
요즘 관심 갖고 물어보고 돌아다녀보니
70세면 완전 정정하신단계....완전 노인이라고 하기도 어색 ...
80세도 반은 정정
90세 인데 정정하신 분들도 많네요
주변만 보고 통계를 내는 오류
선우용녀님 제주도 일본여행 당일치기하고
86세 전원주님 지방 행사다니시고~
많아진 듯 해요
전국노래자랑에서 91세 할아버지가 정정하신 모습으로
노래 부르시더라구요
응원하러 나오신 할머니도 아주 정정하시던데요
부부가 어쩜 그 연세까지 건강한 모습 유지하실까 싶었죠
우리나라는 이미 초고령화 사회 진입했잖아요
주변만 봐도 90세 넘게 사시는 분들 여러분 계세요
예전보다야 늘어난게 보여요
우리나라 평균수명도 늘어났잖아요
80대에 돌아가시면 아흔도 못살고 아쉽다는 이야기 하기도 해요. 생각보다 자주 들어요.
90살은 생각만해도 골치아프네요
평균연령이 남자 83세 여자 86세 이거든요. 그 전에 돌아가시는 분들이 꽤 있으니 살아계신분들은 90세 이상 살다가 돌아가시는 거에요
평균 연령 보세요
..님 맞아요
2024년 통계청자료라고 본것 같아요.
80세 생존 30%
85세는 15%
90세는 5%
시아버지 93세, 시어머니 86세 십니다.
하루라도 더 살아야 한다시고요.
건강수명 70대 까지고 우리가 보는 표본은 생존해서 살아계신 비교적 건강하게 신체활동하는 경우만 보이기 때문이예요. 아프고 거동 힘든 분들은 요양원과 요양병원에 계세요.
눈에 보이지 않지만 사는 거 같지 않은 삶은 살고 있는거죠.
성당에 장례미사 문자가 오는데 70~80대 가시는 분들이 많더라구요. 90대도 가끔 계시고요. 물론 50~60대도 있죠.
그거 보니까 통계가 맞더라구요
70세 생존확률 86%
75세 생존확률 54%
80세 생존확률 30%
85세 생존확률 15%
90세 생존확률 5%
평균연령이 엄청 높네요
80까지는 사는건 보통이군요
순식간에 돌아가세요
. 오늘 엄마 발인하고왔어요.. 너무 너무 슬프네요 ㅠㅠ
꼬장꼬장 팔팔해 보여도 노인은 노인이예요
저는 만보 못 걷겠던데 하루 만오천~이만보 걷던 저희 아빠 갑자기 떠나셨어요
80초에 가셨는데 아빤 90대까지 거뜬하게 사실거랬더니
그렇게 오래 사는 사람들 생각보다 흔하지 않다고
주변에 죄다 아프거나 죽었다고
아빠 지인분들 단체사진을 보시면서 여기 있는 사람 나랑 몇명 빼고 다 죽었다셨어요..
남자들 수명이 여자보다 더 짧은 거 감안하면 맞아요..
노인분들이 떠나세요..
꼬장꼬장 팔팔해 보여도 노인은 노인이예요
저는 만보 못 걷겠던데 하루 만오천~이만보 걷던 저희 아빠 갑자기 떠나셨어요
80초에 가셨는데 아빤 90대까지 거뜬하게 사실거랬더니
그렇게 오래 사는 사람들 생각보다 흔하지 않다고
주변에 죄다 아프거나 죽었다고
아빠 지인분들 단체사진을 보시면서 여기 있는 사람 나랑 몇명 빼고 다 죽었다셨어요..
남자들 수명이 여자보다 더 짧은 거 감안하면 맞아요..
노인분들은 떠나세요..
저 통계보고 놀랬어요 75세 생존률이 54%라니
90세는 5%생존
의외네요
꼬장꼬장 팔팔해 보여도 노인은 노인이예요
저는 만보 못 걷겠던데 하루 만오천~이만보 걷던 저희 아빠 갑자기 떠나셨어요
80초에 가셨는데 아빤 90대까지 거뜬하게 사실거랬더니
그렇게 오래 사는 사람들 생각보다 흔하지 않다고
주변에 죄다 아프거나 죽었다고
아빠 지인분들 단체사진을 보시면서 여기 있는 사람 나랑 몇명 빼고 다 죽었다셨어요..
남자들 수명이 여자보다 더 짧은 거 감안하면 맞아요..
노인분들은 갑자기 떠나세요..
평균 수명이 높잖아요
90세까지 살면 상위 10프로죠.
챗 지피티 답변
2020년 이후 대한민국에서 90세 이상 노인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초고령사회 진입과 관련된 주요 지표 중 하나로, 향후 사회적·경제적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 90세 이상 노인 수 추이 (2020~2023년)
정확한 연도별 통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연도 90세 이상 노인 수 (명)
2020년 약 78만 명
2021년 약 83만 명
2022년 약 88만 명
2023년 약 93만 명
이는 통계청의 고령자 통계와 보건복지부의 노인 실태조사 등을 기반으로 한 추정치입니다.
???? 향후 전망
대한민국은 2025년을 기점으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며, 90세 이상 노인의 수는 더욱 가파르게 증가할 전망입니다. 특히 2030년대 중반에는 90세 이상 노인 인구가 15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보입니다.
챗 지피티 답변
2020년 이후 대한민국에서 90세 이상 노인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초고령사회 진입과 관련된 주요 지표 중 하나로, 향후 사회적·경제적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90세 이상 노인 수 추이 (2020~2023년)
정확한 연도별 통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연도 90세 이상 노인 수 (명)
2020년 약 78만 명
2021년 약 83만 명
2022년 약 88만 명
2023년 약 93만 명
이는 통계청의 고령자 통계와 보건복지부의 노인 실태조사 등을 기반으로 한 추정치입니다.
향후 전망
대한민국은 2025년을 기점으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며, 90세 이상 노인의 수는 더욱 가파르게 증가할 전망입니다. 특히 2030년대 중반에는 90세 이상 노인 인구가 15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보입니다.
90세이상 인구가 93만명임 태어나는 인구가 34만이라는데
심각하네요.
ㅠㅠㅠㅠ광역시급 인구네요. 징글
80엔 가는게 복같음
여기 댓글 다신분들도 95세 이상 사실겁니다.
그렇게 생각하셔야 할것 같아요
80 넘기는건 그냥 보통이죠
양가 부모님, 주변 부모님들 80가까이 되거나 넘으셨은데 80퍼 이상 정정하세요. 활동하시고.
그래도 그 연세엔 이젠 자식이든 누구든 도움을 필요로 하니 자식 입장에서 부담스럽기도 해요. 안쓰럽기도 하고.
39년생입니다.
마르고 작은 편이셨던 외활머니가 1986년 86세 돌아가셨어요.
그때만 해도 장수 하셨다 생각들 했었구요.
근데 저희 엄마는 젊어서도 퉁퉁한 편이시고 해서 할머니보다 오래 못 사실 줄 알았어요.
지금 보면 90은 충분히 넘기실 것 같아요.
친구들 어머니도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다 생존해 계세요.
맞다 맞어
못 걷고 아픈 분들은 죄다 요양원 요양병원에 계시니 건강한 노인만 보게 되는 거
너무 오래사는것도 힘들어요
누구 손을 빌어서 사는건 .
친정부친은 93세에 돌아가셨고요
모친은 올해 90세 이신데 운동을 안하시니 기력이 달려요
식사도 적게 하시고 입맛도 없으시네요
너무 좋아졌죠.
치아 관절 시력..
거의 인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