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부자들의 돈을 빼앗아 가난한 사람들을 결코 부자로 만들 수는 없다

..... 조회수 : 1,942
작성일 : 2025-09-14 11:37:46

미국 아이비리그에 속한 코넬대학교에 한 노교수님이 계셨습니다. 

경제학을 오랫동안 가르쳐 오신 이 교수님은 학생들에게 학점을 후하게 주는 분으로 잘 알려져 있었습니다. 심지어 단 한 명에게도 F 학점을 준 적이 없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번 학기에는 믿을 수 없는 일이 일어났습니다. 그 교수님이 수강생 전원에게 F 학점을 주셨던 것입니다.

 

그 이유를 듣고 나면, 누구나 고개를 끄덕일 수밖에 없습니다.

 

학기 초 수업 중, 교수님은 당시 오바마 대통령이 추진했던 복지정책을 비판하셨습니다. 

 

당시 정책의 핵심은, 누구도 가난하거나 과도하게 부유해서는 안 되며, 모두가 평등하게 부를 누려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이 말을 들은 학생들이 교수님의 의견에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모두 그 정책은 정의롭고 모두를 행복하게 해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때 교수님께서 흥미로운 제안을 하셨습니다. 실제로 시험을 통해 누구의 말이 옳은지를 확인해보자는 것이었습니다.

 

교수님은 학생들에게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이번 학기 모든 시험의 점수를 평균 내어, 그 점수를 모든 학생들에게 똑같이 주겠습니다. 

마치 평등하게 부를 나누듯, 점수도 나누어봅시다.”

 

학생들은 호기심과 자신감에 찬 모습으로 그 제안에 모두 동의했습니다.

 

얼마 후 첫 번째 시험을 치렀습니다. 전체 평균이 B가 나와 모든 학생이 B 학점을 받았습니다. 

열심히 공부한 학생들은 불평했지만, 공부하지 않은 학생들은 손뼉을 치며 좋아했습니다.

 

그런데 두 번째 시험에서는 상황이 달라졌습니다. 

공부하지 않던 학생들은 여전히 놀았고, 열심히 공부하던 학생들마저 “내가 아무리 열심히 해도 결국 다 같이 평균을 받는다면 의미가 없다”는 생각에 공부를 게을리하기 시작했습니다.

 

결국 전체 평균은 D가 되었고, 모든 학생이 D 학점을 받았습니다.

 

마지막 시험에서는 전체 평균이 F로 떨어졌고, 모든 학생이 F 학점을 받게 되었습니다. 

 

학생들은 불평하고 서로를 원망했지만, 결국 누구도 열심히 공부하려 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 결과를 피할 수 없었습니다.

 

학기 마지막 시간, 교수님께서 실험 결과를 이렇게 정리하셨습니다.

 

“여러분이 F 학점을 받은 것처럼, 이런 종류의 무상복지 정책은 결국 실패할 수밖에 없습니다. 

열심히 일하는 사람의 결실을 빼앗아 일하지 않는 이들에게 나누어준다면, 누가 열심히 일하려 하겠습니까? 

결국 모두가 나태해지고, 사회 전체가 무너질 것입니다.”

 

그 교수님은 다음의 다섯 가지 교훈을 남기셨습니다.

1. 부자들의 돈을 빼앗아 가난한 사람들을 결코 부자로 만들 수는 없습니다.

 

2. 한 사람이 공짜로 혜택을 누린다면, 누군가는 반드시 그만큼 보상 없이 일해야 합니다.

 

3. 무상복지를 위해 정부는 누군가의 부를 강제로 빼앗아야만 합니다.

 

4. 부를 분배하는 것으로는 새로운 부를 창출할 수 없습니다.

 

5. 국민의 절반이 일하지 않고도 나머지가 먹여 살릴 것이라는 생각은 국가 쇠망의 지름길입니다.

IP : 223.38.xxx.125
2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맞말
    '25.9.14 11:47 AM (121.190.xxx.190)

    일안하고 애만 낳아 세금받아 먹고 노는 인간들보면 열심히 새벽부터 나가 일해서 세금 절반씩 내고 싶을까요?

  • 2. 글쎄요
    '25.9.14 11:47 AM (110.15.xxx.45)

    복지정책은
    부자들의 돈을 빼앗아 가난한 사람들을 부자로 만드는게 아니라
    빈곤을 줄여주려고 하는겁니다
    그리고 지식인라는 사람이 부가 마치 대학 학점처럼 온전히스스로의 노력만으로 이뤄진거라고 생각하는게 충격이네요

  • 3. 오늘을열심히
    '25.9.14 11:50 AM (106.101.xxx.224)

    똑같이 나누는 건 불공평하다
    그렇다고 힘 있는자가 다 가져거면 나머지는 살기 힘들다
    그러니 분배비율이 중요하다
    투표권이 있으니 아몰랑 내놔가 요즘 생각인듯
    성장 그런거 나 몰라 당장이 중요
    이재명이 다 알고도 소고기 사 드시라고 쿠폰 풀었다고 봅니다

  • 4. 맞아요
    '25.9.14 11:50 AM (116.33.xxx.48)

    이 글 맞아요 적당한 복지야 환영 합니다
    그런데 전체 나누는건 결국 저런일이
    발생한다 생각해요 프랑스 꼴 보세요

  • 5. ㅎㅎ
    '25.9.14 11:50 AM (192.169.xxx.36)

    빈곤층을 부자로 만들어줄 만큼 지원해주는게 아닌데.....
    사회안전망을 만들어주는거잖아요.
    그래야 부자들도 안심하고 살면서 더 부자가 될 수 있어요.

  • 6. 공산주의
    '25.9.14 11:52 AM (1.176.xxx.174)

    옛날 중국이 이런 문제로 경제가 나아지지 않아서 자본주의 도입했잖아요.
    민생지원금은 얼마되지도 않으니 상관 없지만 복지도 과하게 시행되면 놀면서 기본생활만 하는데 만족하는 사람이 다수 생김

  • 7. 오20
    '25.9.14 11:53 AM (182.222.xxx.16)

    저런게 교수라고....

  • 8. ..
    '25.9.14 11:54 AM (223.38.xxx.125) - 삭제된댓글

    가난한 사람을 진짜 부자로 만들겠다는게 아니라 (제목만 보긴게 아니고 문맥상 읽어보시면 당연히 알겠지만) 비유적인 표현입니다.

  • 9. ..
    '25.9.14 11:56 AM (223.38.xxx.125)

    가난한 사람을 진짜 부자로 만들겠다는게 아니라 (제목만 본게 아니고 문맥상 읽어보시면 당연히 알겠지만) 비유적인 표현입니다.

  • 10. . .
    '25.9.14 11:57 AM (221.143.xxx.118)

    하향 평준화 근로의욕 상실. 경쟁이 필요한 이유

  • 11. ...
    '25.9.14 11:59 AM (223.38.xxx.145)

    결국 하향평준화 되는거고
    일 열심히 하던 사람들도 근로의욕 상실되는거죠

  • 12. 댓글반박
    '25.9.14 12:07 PM (110.15.xxx.45)

    비유적 표현일뿐이라니요
    기레기의 자극적인 제목뽑기
    유튜버의 원색적 썸네일도 비유적 표현인가요?
    분명 잘못된 표현입니다

  • 13. 제목이
    '25.9.14 12:10 PM (223.38.xxx.125)

    사실이기도 하죠

  • 14. ㅇㅇ
    '25.9.14 12:18 PM (211.241.xxx.251) - 삭제된댓글

    그래서 과도한복지는 오히려 나라를 망치죠

    지금 유럽등 휘청이는거 봐요

    진보들이 유럽유럽 거렸는데 딱 망하게 생김

  • 15. ㅡㅡ
    '25.9.14 12:18 PM (58.120.xxx.112)

    말하기도 입 아프다
    제목 꼬라지 참

  • 16. 늘 논란거리
    '25.9.14 12:23 PM (59.7.xxx.113)

    경제이론에도 좌우파가 있고 상황에 따라 이쪽 저쪽 치우침이 있어요. 이쪽이 옳을 때도 있고 저쪽이 옳을 때도 있고요. 그렇기 때문에 어느쪽 의견이 나오면 무조건 틀렸다고 몰아부치는건 적절하지 않아요. 그런 의견이 나오고 일부에서 지지까지 얻는다면 분명 그렇게 된 이유가 있을테니까요.

    수요를 일으켜야 하는 총수요확대 중심의 경제이론에서 공급자쪽 경제이론도 어느정도 먹히고 있는게 지금 상황이죠. 그렇다면 양쪽 모두를 따져볼만해요.

    그러는 과정에서 균형점을 찾아가겠죠. 물론 그 균형점은 영영 못찾을 수도 있고요.

    지금과 같은 양극화는.. 돈 좀 벌기위해 도시에서 거주하려면 주거비만으로도 번돈을 다 갖다바쳐야해서 아예 돈벌 기회조차 누리기 어려운 심각한 상황을 만들고 있죠.

    또.. 좋은 직원을 뽑으려면 회사 사옥이 부동산가치가 있는 지역이어야한다는 딜레마도 있어요.

    이런 문제는 그냥 놔둬서는 안되고 해결이 필요한건 맞죠

  • 17. 완전
    '25.9.14 12:27 PM (180.211.xxx.201)

    공감합니다..
    가난한자들은 남에게 받는것을
    너무 당연히 여겨요.
    열심히 일해도 가난한 사람은 제외하구요.

  • 18. ㅇㅇ
    '25.9.14 1:04 PM (125.141.xxx.15)

    결국 하향평준화 되는거고
    일 열심히 하던 사람들도 근로의욕 상실되는거죠

    딱 이렇게 만드는게 민주당 목표인가봐요.
    무분별한 기초수급자 만발로 이미 이렇게 느끼고 있음.

  • 19. ...
    '25.9.14 1:39 PM (1.237.xxx.38) - 삭제된댓글

    아니 민생쿠폰 주는게 부자 돈 뺏어 복지한다는건거요
    상권 활성화가 일차 목적이고 어려운 사람들만 좀 더 주는거잖아요
    욜로처럼 다 써버리고 기초수급 받음 된다는 자들은 나중에 죽거나 말거나 한톨도 주면 안되고 걸러야한다고 생각하고
    부정수급 받는 자들 착출하는건 철저히 가려야한다고 생극하지만요

  • 20. ...
    '25.9.14 1:41 PM (1.237.xxx.38)

    아니 민생쿠폰 주는게 부자 돈 뺏어 복지한다는건거요
    상권 활성화가 일차 목적이고 어려운 사람들만 좀 더 주는거잖아요
    욜로처럼 다 써버리고 기초수급 받음 된다는 자들은 나중에 죽거나 말거나 한톨도 주면 안되고 걸러야한다고 생각하고
    부정수급 받는 자들 철저히 착출하고 가려야한다고 생각하지만요

  • 21. 어려운 사람들만?
    '25.9.14 1:54 PM (223.38.xxx.194)

    상위 10%는 세금 더 내고도 2차 못받으니까
    상위권 세금이 더 들어가는건 맞는거죠

    어려운 사람들만 좀 더 주는거잖아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그건 아니죠
    상위 11%도 포함되는건데 그들이 어려운 사람들인가요
    어려운 사람들만 주려면 하위 50% 이하로만 줬어야죠

  • 22. ...
    '25.9.14 2:04 PM (1.237.xxx.38)

    좀 더 준다는건 50만원씩 받는 사람들 말하는거잖아요
    10만원 추가금을 말하는게 아니라

  • 23. 민생쿠폰
    '25.9.14 2:12 PM (223.38.xxx.197)

    위에서 민생쿠폰 언급하셨잖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53482 김고은 은중이 캐릭터 짜증나요. 7 . . 2025/09/14 5,515
1753481 은중과 상연 내 이야기 같네요 1 추억 2025/09/14 3,876
1753480 아낀다고 안 입고 안 들고 안 쓰고 벌벌 떨면서 사용할 필요가 .. 4 깨닫긴했음 2025/09/14 4,239
1753479 통돌이 V 드럼, 드럼이 더블스코어로 압승 13 세탁기 2025/09/14 2,266
1753478 서영교, 조희대 발언 공개 "이재명 사건 대법에 올라.. 5 기억하자정상.. 2025/09/14 2,892
1753477 사마귀 고구마 드라마네 6 2025/09/14 3,002
1753476 김치전실패했어요 17 ㅜㅜ 2025/09/14 2,978
1753475 정장이나 원피스에 어울리는 운동화는 뭘까요 12 운동화 2025/09/14 2,971
1753474 옷 샀다가 취소 했다가 ㅎ 3 oo 2025/09/14 2,752
1753473 요양원에 계신 엄마가 집에 가겠다고….ㅠ 44 2025/09/14 19,999
1753472 그돈으로 차라리 한국 기업 도우라고 5 ㅁㅈㅅㅈ 2025/09/14 1,929
1753471 문프사진에대한 글을 읽고 드는 생각 32 꽃수레 2025/09/14 3,279
1753470 은중과 상연... 뒤로 갈수록 아쉬워요 12 은중 2025/09/14 4,624
1753469 미국,조지아 상황 궁금 11 한국인 2025/09/14 2,724
1753468 제 사주가 올해 하반기부터 내년이 아주 안 좋대요 20 oo 2025/09/14 2,186
1753467 우리도 이참에 국회의원들 혜택과 정치인들 부동산현황 공개했음하네.. 3 .. 2025/09/14 804
1753466 남편이랑 냉전하느라 하루가 다 갔네요 20 ... 2025/09/14 6,157
1753465 나무도마 곰팡이 12 ..... 2025/09/14 2,703
1753464 원화가치가 많이 떨어졌다는게 나가보니 알겠네요. 5 ... 2025/09/14 4,140
1753463 치과의사 vs 수의사 vs 약사 11 ㅇㅇ 2025/09/14 3,058
1753462 재래시장을 꼭 살려야 하나요? 27 .. 2025/09/14 4,403
1753461 추석 ktx예매 본인이 안타도 가능한가요? 7 ㅡㅡ 2025/09/14 1,650
1753460 중딩 아이가 정신과 진료 받아보고 싶대요. 14 ... 2025/09/14 3,311
1753459 세워 놓고 옷 거는 옷걸이 2 나무로 된 .. 2025/09/14 1,295
1753458 문프 모르게 사진을 찍었나요? 32 실맘 2025/09/14 5,4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