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김치를 상온에서 푹 익히면 묵은지같은 신김치가 될까요?

초보 조회수 : 2,131
작성일 : 2025-07-23 07:47:47

김치를 사 먹는 집입니다

새로 만든 김치, 묵은지 김치  따로따로 주문해서 요리에 따라 사용해 왔는데요

묵은지가 더 비싸서ᆢ  일반 김치를 실온에 한참 놔두어 신김치가 되게 푹 익히면 어떨까 해서 언니들께 여쭤봅니다   그게 된다 치면 요즘 날씨에 며칠 정도 놔둘까요?

IP : 116.32.xxx.226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이 온도에
    '25.7.23 8:03 AM (106.101.xxx.29)

    밖에 두면 발효가 아니라 부패됩니다.
    실내에 3일 덩도 두면 새콤해지는데 그 이상 두면 썩어요.
    묵은지는 온도와 긴 시간이 필요.

  • 2. 신혼이신가요
    '25.7.23 8:10 AM (39.7.xxx.77) - 삭제된댓글

    김치는 새김치 담근거 밖에 벙치하면 신김치가 되는거고
    올해거 내년에 꺼내먹음 묵은지에요.
    예전엔 김장을 1년 먹을거 했잖아요
    올해 10월 말이나 11월에 김장하면 다음해
    열무갈아 새김치 먹을때쯤 그러니까 봄이죠.
    양력 4월경..
    이때까지 군둥내 나는 안먹는 묵은지 아까워 물에 담가 지져먹었어요.
    솔직히 묵은지를 비싸게 파는건 지들맘이래도 웃긴거에요
    버릴걸 돈주고 파는건데 ... 옛날엔 해바뀌면 다 버리고 항아리
    비웠은데 어찌보면 쓰레기를 돈받고 파는격이에요.
    김치찌개를 묵은거 ...짠기가 다 베버린 김치로 하니 얼나나 염분덩어린데요.
    아무튼 김치찌개 용이시면 대형마트 나가심 아무 표 김치
    저녁됨 세일도 하더군요. 푹시었어요. ㅜ 원래
    이렇게 푹신 김치도 버릴건데 쓰레기를 돈주고 팔던데 59% 밖에
    세일를 안하더군요. 아무리 양념값이래도 옛날엔 푹시어 꼬부라진
    김치는 자기나 먹지 욕먹을까 다 버리는거였어요.
    그런거 푹푹 익어서 신거 사다가 햄넣고 돼지고기 넣고
    끓여먹어도 맛있어요.

  • 3. 신혼이신가요
    '25.7.23 8:12 AM (39.7.xxx.77) - 삭제된댓글

    김치는 새김치 담근거 밖에 방치하면 신김치가 되는거고
    올해거 내년에 꺼내먹음 묵은지에요.
    예전엔 김장을 1년 먹을거 했잖아요
    올해 10월 말이나 11월에 김장하면 다음해
    열무갈아 새김치 먹을때쯤 그러니까 봄이죠.
    양력 4월경..
    이때까지 군둥내 나는 안먹는 묵은지 아까워 물에 담가 지져먹었어요.
    솔직히 묵은지를 비싸게 파는건 지들맘이래도 웃긴거에요
    버릴걸 돈주고 파는건데 ... 옛날엔 해바뀌면 다 버리고 항아리
    비웠은데 어찌보면 쓰레기를 돈받고 파는격이에요.
    김치찌개를 묵은거 ...짠기가 다 베버린 김치로 하니 얼나나 염분덩어린데요.
    아무튼 김치찌개 용이시면 대형마트 나가심 아무 표 김치
    저녁됨 세일도 하더군요. 푹시었어요. ㅜ 원래
    이렇게 푹신 김치은 버리는건데 쓰레기를 돈주고 팔던데
    30- 50% 밖에 세일를 안하더군요. 아무리 양념값이래도 옛날엔 푹시어 꼬부라진
    김치는 자기나 먹지 욕먹을까 다 버리는거였어요.
    그런거 푹푹 익어서 신거 사다가 햄넣고 돼지고기 넣고
    끓여먹어도 맛있어요.

  • 4. 플랜
    '25.7.23 8:30 AM (125.191.xxx.49)

    아니요
    신김치가 되죠
    발효되는 깊은 맛은 없어요

  • 5. ..
    '25.7.23 8:34 AM (211.36.xxx.182)

    묵은지랑 달라요
    김장배추가 아니라서
    신맛은 나지만
    김치찌개나 볶음을 하면 식감이 달라요
    맛도 다르고 질기답니다

  • 6. 발효는
    '25.7.23 8:38 AM (119.195.xxx.153) - 삭제된댓글

    낮은 온도에서 , 적정온도에서 해야 맛있게 되는데
    높은 온도에서 단기간 하면,,, 발효되는 미생물이 달라서 새콤은 해지는데 맛있지는 않아요

  • 7. 윤수
    '25.7.23 8:39 AM (183.101.xxx.104)

    어머 저도 몰랐던 사실 알아갑니다. 설명해 주신 분들 감사해요. 신김치랑 묵은지랑 여태까지 똑같은 건 줄 알았어요ㅠ

  • 8. 묵은지
    '25.7.23 8:41 AM (223.63.xxx.218) - 삭제된댓글

    쓰레기를 비싸게 판다는 분
    저장 값이죠.
    위에도 나왔잖아요.
    상온에 그냥 두면 묵은지가 아니라 상한다고요.

  • 9. . . .
    '25.7.23 8:42 AM (175.193.xxx.138) - 삭제된댓글

    아니요.
    애들이 김치볶음밥, 김치찌개 좋아해서, 익히려고 상온에 둔 적있는데, 맛있는 묵은지 아니에요. 그냥 신김치.

  • 10. ㅇㅇ
    '25.7.23 8:42 AM (14.5.xxx.216)

    일반 김치를 김치냉장고에 오래 오래 보관 하세요
    김치찌개용 묵은지처럼 될거에요

  • 11. 그냥
    '25.7.23 8:47 AM (112.164.xxx.102)

    김치 사먹는 집입니다,
    일단 김장철에 김치를 많이 사는겁니다,
    그래서 김치 냉장고 3통정도를 묵혀요
    그리고 한통은 먹으면서 떨어지면 또사고 등등
    그렇게 하시면 여러번 사고사고 할걸 한번에 해결이 가능합니다.
    우리집에는 늘 묵은지가 있게 만들어요
    이제 김치 그렇게 많이 안먹어서 올해는 두통만 쟁일려고요

  • 12. ㅇㅇ
    '25.7.23 9:05 AM (14.5.xxx.216)

    저도 김장철에 김치를 많이 사요
    그때가 김치가 제일 싸고 맛있어요
    몇통 쟁여놓고 먹다가 시어지면 김치찌개 만들어 먹어요

    봄 여름엔 새김치 열무김치 가끔씩 사먹고
    김장김치로 일년내내 김치찌개로 먹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42154 노원역 인근 맛집 추천 부탁드려요 8 ㄱㄴㄷㄹ 2025/08/04 1,024
1742153 모임에서 대화중에 7 ... 2025/08/04 2,028
1742152 라인댄스 어때요? 3 라인댄스 2025/08/04 2,020
1742151 억센 채소 안먹으면 피부가 좋아지나요? 5 ff 2025/08/04 1,622
1742150 드라이크리닝 하고 옷이 낡고 보풀 생겼어요 3 ㅇㅇ 2025/08/04 1,228
1742149 미국 최연소 검사집이 방송에 나왔는데... 3 ........ 2025/08/04 3,977
1742148 '尹 계엄 정당성 홍보'…국방부, 국방홍보원장 직위해제·수사의뢰.. 4 ... 2025/08/04 2,042
1742147 퍼옴> 노인에게 안락사 권하는 국가. 괜찮겠습니까? 20 기사 2025/08/04 3,448
1742146 이번주 토요일 하루 풀로 자유시간인데 뭘 하면 좋을까요? 10 행복 2025/08/04 1,081
1742145 배달의 민족 마트 배달 어때요?*포장재 덜 쓰는 배달 추천바람 5 .. 2025/08/04 949
1742144 다른 집 부모님도 손주 혼내지 마라 하나요? 21 2025/08/04 3,701
1742143 저염식이 안좋나요? 12 2025/08/04 3,065
1742142 변영주 감독 잘생겼네요 ㅋ 20 2025/08/04 4,825
1742141 미국여행, 최소 어느정도는 가야할까요? 10 -- 2025/08/04 2,339
1742140 관절 영양제 추천 부탁드려요. 5 관절염 2025/08/04 1,117
1742139 부정선거타령...현수막도 금융치료 해줬으면... 7 .. 2025/08/04 832
1742138 윤석열 속옷차림 ᆢ이젠 변명하기 바쁘네요 14 2025/08/04 6,086
1742137 경희대 치과 병원 보존과 어느분께 보셨나요 2 ..... 2025/08/04 580
1742136 못 믿는 TV조선 기자..이 악문 강유정 대변인 "제대.. 5 한글못읽냐 2025/08/04 3,080
1742135 왜 한종목 10억 이상만 과세 하나요? 2 참나 2025/08/04 1,336
1742134 손방귀 고수 13 뿡뿡이 2025/08/04 2,815
1742133 캐나다가 안락사 허용국가 인가요? 2 나만 2025/08/04 1,249
1742132 간병인보험 1 간병인보험 2025/08/04 808
1742131 축의금이 신경이 쓰이네요 17 결혼 2025/08/04 3,515
1742130 명신아 너 낼 모레 특검 갈 때 영치금 30만원 넣고가 7 .. 2025/08/04 2,0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