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체내 미세 플라스틱 있으면 뇌졸중·심장병 위험 4배 이상

조회수 : 1,195
작성일 : 2025-07-10 22:50:01

성인 10명 중 9명꼴로 혈액에 미세플라스틱이 포함돼 있으며, 미세플라스틱이 혈액 응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에 게재됐다.

이동욱 인하대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교수와 정재학 한국분석과학연구소 소장 등 연구진은 건강한 성인 36명에서 채혈한 피에서 미세플라스틱을 검사한 결과 참여자의 88.9%(32명)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논문을 보면 혈액 속 미세플라스틱의 평균 농도는 1㎖당 4.2개 수준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검출된 플라스틱 유형은 폴리스티렌(PS)과 폴리프로필렌(PP)이었다. PP는 일회용기와 합성섬유 등에 많이 사용되는 재질이며 PS는 식품 용기나 컵 등을 제조하는 데 쓰이는 성분이다.

 

입자 크기별로는 참여자의 75%에서 20~50μm가 검출됐고, 10~20μm 크기 입자는 52.8%에서, 50~100μm는 19.4%에서 확인됐다. 100μm 이상 크기의 입자는 참여자의 16.7%에서 검출됐다.

 

연구진은 특히 냉장고 내에 플라스틱으로 된 식품용기가 50% 이상이라고 응답한 참여자에서 혈액 내 미세플라스틱이 유의하게 높게 검출됐다고 밝혔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용기에 밥을 담아 냉동실 보관했다가 전자렌지로 녹여서 먹고, 세척해서 다시 이를 반복할 경우 다량의 미세플라스틱을 계속해서 섭취하게 되는 것이다.

 

연구진은 또 혈액 내 미세플라스틱이 높은 사람들에서 염증 및 혈액 응고와 관련된 지표가 증가하는 것을 관찰했다고 밝혔다. 미세플라스틱이 염증 관련 단백질 수치를 높이고, 혈액의 응고에까지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이다.

 

지난 2월 중국 저장대, 미국 버지니아공대 등 연구진은 국제학술지 ‘유해물질 저널’에 물이 든 플라스틱 용기를 영하의 온도에서 동결한 후 해동시킬 때 용출되는 미세플라스틱 등 유해물질의 양이 60도로 가열했을 때 나오는 양과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분석 결과를 게재했다. 인하대병원 등 연구진과 중국 등 연구진의 연구 결과는 모두 플라스틱 용기를 얼렸다 녹이는 것이 미세플라스틱을 다량으로 발생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교수는 “인간을 대상으로 한 최근 연구들에서는 미세플라스틱이 심근경색, 뇌졸중 같은 질환의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이번 연구는 생활 속에서의 플라스틱 이용과 혈액 속 미세플라스틱 사이 관련성을 제시함으로써 잠재적 노출을 줄일 수 있는 중요한 근거를 제시했다는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https://www.khan.co.kr/article/202412101301001

IP : 125.183.xxx.168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5.7.11 8:52 AM (175.209.xxx.12)

    정보 감사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43684 오늘 전우용 교수가 알려준 창피의 의미 5 국민어휘력증.. 2025/08/08 2,150
1743683 윤석열, 김명신 동시 사형은 기본입니다. 11 사형 2025/08/08 1,118
1743682 냉동시킨 파 한단 국물이라도 낼까요? 버릴까요? 9 .. 2025/08/08 1,338
1743681 김태희 대문글 보고 8 ㄱㄴ 2025/08/08 2,727
1743680 냉장고 키친핏 - 유색으로 해보신 분 어떠세요? 10 뽀로로 2025/08/08 888
1743679 리쌍 뮤비 보고있는데 염정아가 이렇게나 예뻤었나요 6 .... 2025/08/08 1,794
1743678 다리에 쥐가 잘 나요 12 야옹야옹 2025/08/08 2,056
1743677 나이 조금 든 여배우들 얼굴보면 뭔가 퉁퉁한거 그거 왜 그래요 5 궁금 2025/08/08 3,305
1743676 치과선택 11 .. 2025/08/08 895
1743675 현대중공업 vs 사무관 36 고민 2025/08/08 3,503
1743674 의료관련 궁금한게 있어요 2 보호자 2025/08/08 415
1743673 윤석열이 65세 노인이라구요? 9 입벌구 2025/08/08 2,944
1743672 알래스카 큐브 비누 어떤가요 2 비누 2025/08/08 676
1743671 역시 빠지지 않는 이준석 8 신천지각시탈.. 2025/08/08 2,399
1743670 전세 묵시적 갱신시 기간 문의 5 4년차 2025/08/08 746
1743669 삼성폰인데요 전에쓰던거에있는거 새폰에 옮기고싶어요 7 폰복사? 2025/08/08 788
1743668 수면장애-L 테아닌 4 ㅇㅇ 2025/08/08 1,036
1743667 금 투자? 하고싶은데 2 어려움 2025/08/08 1,333
1743666 도수치료 효과 있을까요? 8 .. 2025/08/08 886
1743665 요즘 유튜브에서 레나홈 5 행복해 2025/08/08 1,465
1743664 8시 10분 전 35 .. 2025/08/08 3,782
1743663 전대통령 관련 욕설들 19 막말싫다 2025/08/08 1,968
1743662 나솔사계 이번 기수는 모두 호감이네요 9 .. 2025/08/08 2,267
1743661 93.94학번쯤.. 경희대 단국대 15 ... 2025/08/08 2,394
1743660 청소년 새치는 답없나요? 8 L음 2025/08/08 1,4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