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다정한 양육은 어떻게 아이를 망치는가

스트 조회수 : 2,814
작성일 : 2025-04-27 10:36:35

“제이미, 충분히 다 울었어? 이제 엄마랑 소통할 수 있겠어?”

개그우먼 이수지가 최근 우리 사회 조기 교육 열풍을 패러디해 화제가 된 유튜브 영상에서, 엄마는 물건을 던지며 떼를 쓰는 아이에게 온화한 목소리로 이렇게 말한다. 말썽 부리는 아이를 혼내기보다는 마음을 읽어주는 ‘감정 존중 양육’은 2000년대 후반부터 유행한 육아법. 아이의 자존감을 키워 정서적으로 건강한 인격체로 길러내는 것이 목표다.

그러나 ‘부서지는 아이들’(원제 The Bad Therapy)을 쓴 미국 탐사 저널리스트 애비게일 슈라이어(47)는 말한다. “우리는 과거 부모 세대의 엄격한 양육법 때문에 받은 상처를 과잉 보상하려 했던 건지도 모른다. 왜 온화한 양육 방식으로 키운 아이들이 어린 시절에 트라우마를 겪었다고 생각하게 되었을까? 과거 어느 세대보다 더 많은 심리 치료를 받은 아이들이 어째서 끝없는 절망의 동굴에 빠지게 되었을까?”

미국의 경우 1990년대 중반~2010년대 초반 태어난 Z세대의 40%가 정신 건강 전문가에게 치료받았다. X세대의 경우 26%인 것과 대조되는 수치다. 미국 아이들 중 10% 이상이 ADHD 진단을 받았고, 아이들의 약 10%가 불안장애 진단을 받았다. 요즘 10대는 이런 진단명과 자신을 동일시해 소셜미디어 프로필에 올리기도 한다.

감정 조절 못 하는 학생들로 난장판이 된 교실. 저자가 인터뷰한 교사들은 하나같이 “폭력적인 학생을 ‘처벌하지 말고 치료하자’는 접근법이 실패했다”고 입을 모았다. /게티이미지코리아

10년 전 미국 웹진 ‘슬레이트’의 필자 중 한 명은 교육 수준 높은 부모들이 아이의 잘못된 행동을 설명할 때 ‘도덕적 언어’ 대신 ‘치료적 언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고 지적했다. ‘편식하는’ 아이를 혼내지 않고 ‘음식회피증’이라는 진단명을 받아들이고, 아이가 옷에 붙은 태그가 따갑다고 불평하면 ‘괜찮아. 곧 익숙해져’ 하는 대신 태그 없는 부드러운 옷을 사 주고 아이의 ‘감각처리장애’를 해결하기 위해 애를 쓴다는 것이다. 저자는 트라우마 없이 아이를 키우겠다며 “쇼핑하듯 진단명을 찾아다니면서” 심리 전문가에게 양육을 외주 주는 부모들이 결국 부서지기 쉬운 ‘유리 멘털’을 가진 성인을 양산한다고 주장한다.

‘트라우마’란 원래 참전 군인들의 정신적 상처를 치료하기 위해 쓰인 개념이지만, 어느 순간 모든 아이를 ‘트라우마의 피해자’로 보는 문화가 자리 잡으면서 아이의 회복력을 질식시킨다는 것. 2021년 미국 공립학교에서 도입한 ‘사회 정서 학습(Social-Emotional Learning)’이 이를 부추긴다. 학생들의 ‘감정 체크인’으로 수업을 시작하고, 과제를 늦게 내도 감정에 상처를 입힐까 봐 성적을 깎는 것을 허용하지 않으며, ‘회복적 정의(restorative justice)’를 실현한다며 학교 폭력 가해자를 ‘고통을 겪는 아이’로 보고 징계하지 않는다…. 이 결과 최근 10년 새 교실에서 소리 지르고, 물건을 집어던지며 교사에게 욕설하는 등 자기 절제를 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급격하게 늘어났다는 것이다.

 

저자는 여러 심리학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감정을 돌보는 행위는 그 감정을 더 강화하는 경우가 많다. 감정에 집중하라고 가르치면 아이들은 ‘더’ 감정에 휩싸일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린다. 정서적으로 건강한 삶을 사는 사람은 날마다 어느 정도는 감정을 억누른다는 것을 아이들에게 알려주는 것이 어른의 의무라고 말한다.

아동 심리 치료 유행에도 우려를 표한다. 심리 치료는 내담자가 적극적일 때 효과가 있고, 상담자와 내담자 간 힘의 균형이 맞지 않으면 역효과를 내기 때문이다. 고통을 반추하는 행위가 오히려 회복을 방해하기도 한다. 무엇보다 심리 치료사에게 맡겨진 아이는 이렇게 믿게 된다. ‘부모는 나를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 문제 해결은 부모 역량 밖의 일이다’.

연구에 따르면 백인 우월주의, 네오나치 등 극단적 우월주의 집단에 빠져드는 젊은이 대다수는 진보 성향 가정에서 자랐다. 권위를 포기하고 끝없는 선택권을 주는 부모 아래서 자랐기 때문에 ‘가이드라인’과 ‘권위’에 대한 갈망을 채우기 위해 ‘대본’과 ‘방향성’을 제시하는 극단주의 단체에 매혹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저자는 “전문가의 조언에 귀를 닫고 당신 가치관에 따른 규칙을 정한 후 자녀에게 따를 것을 요구하라”고 말한다. 감정을 곱씹는 대신 ‘훌훌 털어버리는’ 법을 가르치라 제안한다. 평범한 행동을 질환이라 진단하지 말고 꼭 필요하다는 확신이 들지 않는 정신과 약을 먹이지 말라고도 말한다.

 

미국 사례를 중심으로 한 논픽션이지만 ‘내 아이 마음을 다치게 했다’며 학부모가 교사를 신고해 극단적 선택으로 몰아간 일이 연달아 일어난 우리 사회에 대한 경고로도 읽힌다. 심리학자 조너선 하이트 뉴욕대 교수가 쓴 ‘나쁜 교육’ ‘불안 세대’ 등과 함께 읽어도 좋겠다. 세 아이의 엄마인 저자는 취재 과정에서 깨닫는다. “우리는 온화하고 부드럽게 양육하면 아이들이 잘 자랄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았다. 꽃이 달콤한 설탕 가루 속에서 핀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아니었다. 꽃은 흙에서 가장 잘 자란다.”

 

https://www.chosun.com/culture-life/book/2025/04/26/CM4OHN3UXFBQ3PVSEEFV3Z3NHI

IP : 106.101.xxx.55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동의
    '25.4.27 10:52 AM (14.37.xxx.238)

    많은부분 동의합니다
    지금은 많은 부모들이 다정함으로 포장해서 아이는 자신이 항상 이해받는 존재로 키워지고있다 생각해요

    다른 얘기지만 제가 초등학생 상대로 놀이 교육했었는데 져 본 경험이 없는 아이들이 생각보다 많았고 그 아이들은 놀이에서 지는걸 못견뎌하더라고요

    커가면서 넘어지는 고통과 좌절도 어느정도필요해보여오

  • 2. ㅁㅁ
    '25.4.27 11:14 AM (1.240.xxx.21)

    꽃은 설탕 속에서 피는 것이 아니라
    꽃은 흙속에서 핀다.
    아이의 감정을 읽되 부모의 가치관을 확고히 하고
    따라줄 것을 요구하라.

  • 3. mm
    '25.4.27 11:45 AM (218.155.xxx.132)

    제 아이(초3일 때)가 가끔 집에 와서 얘기했는데
    친구들중에 태어나서 부모한테 한번도 혼난적이 없다고 얘기하는 애들이 있대요. 누군지 알고 보면 학교에서 문제가 좀 있는 애들이고요. 저 아는 여자중에도 자기애가 어린이집 선생님 한 명 그만두게 했다고 자랑스럽게 얘기하는데(본인딴엔 애가 똑똑해서) 그 애도 초등가면서 심리치료 받으러 다녀요. 모든 것에 허용적인 부모가 선을 모르는 애를 만드는거죠.

  • 4. 흙의영양소
    '25.4.27 12:43 PM (116.32.xxx.155)

    정서적으로 건강한 삶을 사는 사람은 날마다 어느 정도는 감정을 억누른다는 것을 아이들에게 알려주는 것이 어른의 의무22

  • 5. ㅇㅇ
    '25.4.27 12:50 PM (24.12.xxx.205) - 삭제된댓글

    당연한 거 아닌가...
    난 처음부터 저런 양육법을 받아들일 수가 없던데요.
    아이들은 강해보이는 어른의 보호막 안에서 안정감을 느껴요.
    강해보이는 어른에게 반항하면서 도전하는 힘도 기르며 성장하고...

    그리고 무엇보다 인간은 동물의 한 종이에요.
    극소수만이 강강약약한 천성을 가졌을 뿐
    대부분은 강약약강한 자연의 법칙에 따라 움직여요.
    그 어떤 양육법이건 개인차를 봐가면서 유연하게 해야...

  • 6. ㅇㅇ
    '25.4.27 12:51 PM (24.12.xxx.205)

    당연한 거 아닌가...
    난 처음부터 저런 양육법을 받아들일 수가 없던데요.
    아이들은 강해보이는 어른의 보호막 안에서 안정감을 느껴요.
    강해보이는 어른에게 반항하면서 도전하는 힘도 기르며 성장하고...

    그리고 무엇보다 인간은 동물의 한 종이에요.
    극소수만이 강강약약한 천성을 가졌을 뿐
    대부분은 강약약강한 자연의 법칙에 따라 움직여요.
    그 어떤 양육법이건 개인차를 봐가면서 유연하게 해야...

  • 7.
    '25.4.27 1:15 PM (221.138.xxx.139)

    다정하냐 아니냐가 중요한게 아니라
    아이를 제대로 존중하는게 중요합니다.

    부모의 가치관을 확고히 하고 따르게 하라니,
    아이가 자신의 건강한 가치관을 가지도록 하는 성장의 과정을 부모는
    보살피고 보조하는 겁니다.

  • 8.
    '25.4.27 1:49 PM (115.138.xxx.1)

    이 시대에 꼭 필요한 책이네요

  • 9. 동감
    '25.4.27 2:30 PM (14.63.xxx.106)

    공감육아가 대유행한지 20년이 다 되어가는데 그 육아법으로 큰 아이들은 공감능력이 떨어지고 자기위주 생각만하게 된 시대의 아이러니.
    완전 동감.

  • 10. 애둘맘
    '25.4.27 3:17 PM (121.200.xxx.6)

    참 좋은 원글과 댓글들.
    엄부자모嚴父慈母나 자부엄모나
    잘못된 언행에 대한 엄격한 훈육이 필요해요.
    끝없는 관용과 감싸줌이 이이들이 커나가는데
    오히려 독이 되는 예를 많이 봐요.
    애 기 죽이면 안된다고 벌벌 떠는 주위 엄마들 있지만
    그 아이들 하는 행동은 남에 대한 배려 전혀 없고
    제멋대로라 ㅡ눈쌀 찌푸려지거든요.
    아이 사랑으로 품고 다독이는 것 중요하지만
    마냥 너그럽게 다 들어주고 받아주고
    포용만 하는건 잘못된 가정교육이라고 생각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05492 여신거래안심차단+계좌개설안심차단 가입 11 일단 2025/04/28 5,627
1705491 유플러스 알뜰폰 쓰시는 분, 앱 확인부탁드려요. 4 유알모 2025/04/28 1,286
1705490 면역성자가질환은 어떻게 고치나요? 6 2025/04/28 1,502
1705489 Sk.. 번호는 그대로 통신사만 바꾸는 것도 되나요? 8 SK극혐 2025/04/28 2,258
1705488 베스트슬립 어떤가요? 5 침대 2025/04/28 1,051
1705487 냉무)시엄니말씀 은근부아가,,,, 17 2025/04/28 4,475
1705486 빠르게 25분만에 김밥싸는법 23 ㅇㅇ 2025/04/28 5,339
1705485 비상구 손잡이 커버 손댄 에어부산 탑승객 검거 ........ 2025/04/28 895
1705484 SKT7 알뜰폰 유심변경 상담원 빠른 연결루트 2 0011 2025/04/28 1,659
1705483 오늘 혼자인데 저녁에 물회랑 뭐먹을까요? 11 자유부인 2025/04/28 1,388
1705482 알뜰요금제 저렴한통신사좀 추천해주세요 10 ㅇㅇㅇ 2025/04/28 1,155
1705481 5월 3일 택배 배달될까요? 2 .. 2025/04/28 636
1705480 Skt 국민들한테 번 돈은 여자들한테 다 퍼주고.. 1 망할회사 2025/04/28 1,568
1705479 지난 21대 국회에서 검찰개혁을 거의 할 뻔 했답니다 7 ㅇㅇ 2025/04/28 1,263
1705478 부자얘기 나와서 그런데 어떤분야에 성공한 사람도 5 .. 2025/04/28 1,455
1705477 이거 보셨어요? 이번 skt사건에도 윤의 영향이 묻어있는듯 3 2025/04/28 2,346
1705476 김포공항 유심 교체 대기 중 5 SKT털렸콤.. 2025/04/28 1,523
1705475 르노 영업사원 어이 없네요 6 ㅡㅡ 2025/04/28 1,551
1705474 sk 번호이동 안되요 6 큰일 2025/04/28 3,006
1705473 윤석열이 서판교 보리밥집에서 밥을 먹고 다닌다는데요?? 31 계엄이장난 2025/04/28 10,209
1705472 업무상 Excel이 최고라고 생각했는데 요즘은 챗지피티가 너무 .. 6 컴퓨터 2025/04/28 2,165
1705471 이해민의원실, [최고위원회의] 해킹보다 더 무서운 무능한 정부 1 ../.. 2025/04/28 992
1705470 불면증 ㄱㄴ 2025/04/28 510
1705469 림프암에 대해 잘 아시는 분 계신가요 4 쪼요 2025/04/28 1,619
1705468 백내장 수술은 왜, 언제 해야하나요? 7 잘될꺼 2025/04/28 1,8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