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서양인들도 쉽게 이혼 하는거

아니던데요 조회수 : 5,693
작성일 : 2011-09-25 22:36:30

국제 재혼에 관련된 글 보다가 생각나 적는데요

서양인들이 결혼 생활 하면서 사랑이 식으면 바이바이가

쉽다고들 하는데 저도 그런 줄 알았거든요?

그런데 아니던데요

제 주위 국제결혼한 커플 몇 있어요

한커플은 남자 미국인

한 커플은 남자 이태리

한커플은 남자 독일인

한커플은 남자 호주인

한커플만 빼고 나머지 친구들 유학하다 현지서 만났어요

4커플 모두 제 친구 혹은 후배.물론 제가 한국여자이니 제 지인도 여자한국인이죠

제 가족중 하나도 미국형부랑 결혼했죠

그래서 제가 살아보진 않고 대화로만 이런저런 말해보면

그들도 가정을 지킨다는 생각이 있다고해요

우리가 생각하는 사랑이 식으면 바이바이 아니래요

우리처럼 부모님와 자식에 대한 개념이 조금 다르지만

결혼시에 배우자 직업 학벌 다 보고 결혼 후에도 사랑이 식어도  살기도 하고

(물론 케이스바이 케이스겠지만) 특히 여자가 능력이 없으면

어떠한 계산 아래 참고 사는 경우도 많대요

단지 잘 드러내진 않는다고 하더라구요

뭐 어딜가나 경제적 능력이 권력으로 작용하는 구나 생각을 했는데.

어느 곳이나 인간사나 별반 다르지 않더라구요

IP : 222.116.xxx.226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1.9.25 10:43 PM (121.167.xxx.142)

    인간의 고통을 지수화하면 자식 죽는 거 - 배우자 죽는 거, 그 다음이 이혼하는 거라면서요.
    연애하다 헤어져도 죽네사네 하는데 결혼해서 한 몸으로 살다 헤어지는 건 그 만큼 힘들죠.
    문화가 달라도 인간의 기본적 심성은 크게 다르지 않은 것 같아요.
    단 이혼하고 혼자되는 직업없는 여자의 경우 이혼연금이란 게 있는 나라에서는 폭력이나 도박 같은 최악의 상황에서 쉽게 빠져나오는 것 같아요.

  • ㅎㅎ
    '11.9.26 7:00 AM (14.37.xxx.18)

    배우자죽음이 첫번째인데...잘못아셨네요..

  • '11.9.26 9:45 AM (121.167.xxx.142)

    저도 배우자죽음이 첫번째인 경우의 기사를 먼저 읽었는대요... 그게 서양인 기준이고 우리나라 특성상 자식의 죽음이 더 크게 느껴진대요.
    상명지통(喪明之痛)이라고 해서 자식의 죽음은 배우자 상실에서 오는 후유증보다 강도가 훨씬 커 자식을 잃은 부모는 오래 살지 못하고 특히 자녀가 급사한 경우 부모의 사망 위험이 훨씬 높아진다는 연구보고서가 나중에 나왔어요.

  • 2. 이혼 연금
    '11.9.26 5:02 AM (121.136.xxx.227)

    첨 듣네요

  • 3. 저는
    '11.9.26 6:34 AM (188.99.xxx.49)

    고통지수 배우자 죽음이 1위인거로 알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8609 큰애가 너무 미워요ㅣ. 50 이러지말자 2011/09/26 25,339
18608 오늘 아침에 경제불안에 대한 기사가 많네요. 4 aa 2011/09/26 3,219
18607 아파트구입관련 세금문의요. 아파트 매매.. 2011/09/26 2,153
18606 18년 된 세탁기 2 .. 2011/09/26 2,770
18605 (사진) 모래 파낸 4대강에 똑같은 모래톱이 다시 쌓여 2 베리떼 2011/09/26 2,951
18604 가계대출 은행을 바꿔야 할지... 3 궁금 2011/09/26 2,555
18603 화장 눈 근처엔 하지도 않았는데 눈은 왜 아픈걸까요? 3 sesera.. 2011/09/26 2,801
18602 돌쟁이 아기 꼬멘실밥 풀러 어느병원 가는게 좋을까요? 2 예쁜홍이 2011/09/26 2,270
18601 몰래카메라나 도청이요. ..... 2011/09/26 2,536
18600 민둥산 억새 ... 3 가을 2011/09/26 2,510
18599 사람을찾습니다3-잠실,롯데월드,석촌호수근처 사시는분들~ 3 꼭 봐주세요.. 2011/09/26 3,759
18598 만 5세(7세) 보육비 지원 받는 거에 대해 궁금해요.. 4 dd 2011/09/26 2,660
18597 학력고사 부활 아고라 청원방 17 naru 2011/09/26 3,808
18596 9월 26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서울신문 만평 세우실 2011/09/26 2,070
18595 아이폰에서 82쿡 아직 못보나요? 2 알사탕 2011/09/26 2,270
18594 빰때리고 개망신준 이정희... 49 개망신 2011/09/26 15,486
18593 아이들 등교후 오전시간 어떻게 보내세요? 4 ... 2011/09/26 3,310
18592 mb정부 부자감세정책의 위엄..jpg 8 엠팍링크 2011/09/26 2,707
18591 팔자주름 ,뭐가 가장 정답일까요? 2 ... 2011/09/26 4,325
18590 애정만만세 5 코스모스 2011/09/26 4,389
18589 금정역에서 수원역으로 가는 1호선 출퇴근시 많이 붐비나요? 2 아시는분! 2011/09/26 2,912
18588 부동산에 집 내놓을때 여러군데에 내놓아야 하나요? 3 .. 2011/09/26 6,926
18587 10월초에 혼자서 제주 올레길을 갈려고 하는데.. 4 청명한 하늘.. 2011/09/26 3,481
18586 옷장속에 작은벌레들이 기어다녀요.. 8 싫다 2011/09/26 22,664
18585 호칭질문이요 2 호칭 2011/09/26 2,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