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뽀얀 국물의 북어국 비결이 뭔가여?

설렁탕? 조회수 : 5,787
작성일 : 2018-05-19 23:17:11

설렁탕 육수에 북어 넣고 끓여서인가요?

아님 쌀뜨물 넣고 대량으로 끓여서 인가요?





IP : 122.36.xxx.122
2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ㅉㅈ
    '18.5.19 11:19 PM (1.246.xxx.142)

    황태를 물에 불려 헹궈짜고
    그물을 버리지않아요
    황태볶다가 불렸던 물을 자작하게 붓고
    팔팔 끓이면 뽀얗게 국물이 우러나는데
    거기에 물 더 넣고 끓이면 식당 북엇국맛나요

  • 2. ...
    '18.5.19 11:21 PM (112.214.xxx.168)

    물에 살짝 헹군 북어포 또는 황태포에 들기름 쪼로록 부어서 달달 볶다가 뜨거운 물 부어서 오래오래 끓이면 뽀얀 국물나와요.
    물 더할 때 찬물 부으면 덜 우러나서 끓는 물 더해줘요.
    결론은 볶기 시작하면서부터 온도 안 떨어트리는 것 같아요.

  • 3. mama89
    '18.5.19 11:21 PM (211.41.xxx.74)

    들기름에 볶는게 그렇게 되더라구요

  • 4. ㅇㅇ
    '18.5.19 11:22 PM (58.145.xxx.135)

    맞아요. 들기름에 볶으면 뽀얀 국물 나더라구요.
    황태국 맛집에서 소개한 레시피도 그렇게 들기름으로 볶으라 하더라구요

  • 5. ㅇㅇㅇㅇㅇ
    '18.5.19 11:23 PM (122.36.xxx.122)

    참기름에 볶으면여?

  • 6. ...
    '18.5.19 11:24 PM (211.177.xxx.63)

    참기름에 볶아도 뽀얀 국물 나와요

  • 7. 참기름에 볶아도
    '18.5.19 11:26 PM (125.181.xxx.136)

    뽀얀 국물 나여
    끓이다 보면 어느 순간 국물색이 뽀얘져요
    전 늘 참기름에 볶아서 끓이는데 늘 뽀얀 국물색이예요
    우러나도록 조금 시간 들이면 돼여

  • 8. mama89
    '18.5.19 11:27 PM (211.41.xxx.74)

    맛이 달라져요 ㅎㅎ 참기름으로 해도 맛있긴한데.. 김치찌개 들기름으로 볶아도 맛있는데 맛이 다른거처럼.. 달라져요

  • 9. ㅎㅎㅎㅎㅎ
    '18.5.19 11:27 PM (122.36.xxx.122)

    간은 소금간 하고용?

  • 10. 양을 늘리고 싶으면
    '18.5.19 11:38 PM (42.147.xxx.246)

    설렁탕도 그렇지만
    찹쌀을 가루를 내서 풀을 쑵니다.
    그걸 적당 것 타면 됩니다.
    소금 간하세요.

  • 11. wii
    '18.5.19 11:40 PM (220.127.xxx.36) - 삭제된댓글

    물을 자작한 정도로 붓고 들기름 여유있게 넣고 팔팔 끓이면 뽀얘져요. 거기에 물 반정도 보충 다시 팔팔 끓이고 다시 물 보충요. 무대신 감자 같이 넣어도 좋아요.

  • 12. 날팔이
    '18.5.19 11:50 PM (125.131.xxx.125)

    그렇게 북어곰을 하면 맛이 쓴데 이유가 뭘까요??

  • 13. 보라
    '18.5.19 11:52 PM (117.111.xxx.254)

    황태를 마~~~아아니 넣으세요
    들기름에 달달볶아서

  • 14. marco
    '18.5.20 12:32 AM (39.120.xxx.232)

    우유빛깔이 나면 더 진한 육수 같은가요?
    어떤 육수라도 펄펄 끓여서 기름이 녹아 들어가면 뽀얀 국물이 됩니다.
    황태도 황태만 가지고 끓이면
    설렁탕같은 국물이 안되지요.
    그러니까 들기름이던 참기름이던 같이 볶는겁니다.
    그리고 펄펄 끓이면 기름이 국물에 녹아 들어가면서
    우유빛깔이 됩니다...

  • 15. ..
    '18.5.20 12:44 AM (124.111.xxx.201)

    백선생은 뜨물 넣더군요.

  • 16.
    '18.5.20 1:24 AM (125.184.xxx.67)

    기름에 달달 볶으면 그리 돼요.
    황태 한 조각 안 들어가도요. 안 믿기면 해 보세요ㅎ

  • 17. ㅁㅁ
    '18.5.20 6:28 AM (121.130.xxx.31) - 삭제된댓글

    맛집 황태국 안볶아요
    들기름 왕창넣고 센불에 팍팍 끓이는게 비법이예요
    기름방울이 자잘하게 기포화?된게 뽀얗게 보이는거

    재미있는건 센불에 뽀얗다가
    그냥 두면 그 기름방울들이 다시 뭉쳐 둥둥 뜨기도한다는거

  • 18. 들기름
    '18.5.20 8:28 AM (1.240.xxx.42)

    들기름을 볶으면 뽀얗게 돼요.

  • 19. 볶지마세요..
    '18.5.20 9:24 AM (73.13.xxx.192) - 삭제된댓글

    들기름이나 참기름 맹물이나 다시마나 멸치육수 넣고 푹 끓여요.
    뽀얀 국물이 될때까지 처음엔 센불에 끓으면 약불로 30분이상 끓이세요.
    볶은거나 맹물에 한꺼번에 다 넣고 그냥 끓인거나 맛차이가 전혀 없어요.
    기름에 볶을때 나오는 미세연기 몸에도 좋지않은데 들이마시지말고 그냥 물 북어 참기름이나 들기름 마늘 국간장 조금 넣고 푹푹 끓이세요.

  • 20. 친일매국조선일보
    '18.5.20 10:02 AM (192.0.xxx.141)

    제가 아는 질문이에요! 제가 알려드릴게요.
    센불에 물 많이 넉넉히 넣고 팔팔 오래 끓이시면 돼요. 팔팔 끓는 상태로 계속 센불 10분 정도 더 끓이시면 뽀얀국물이 나오기 시작합니다.
    저도 이걸 몰라서 센불에 올려놓고 끓기 시작하면 늘 약한 불로 낮춰서 오랫동안 고았어요. 그렇게 하면 뽀얗게 안돼요. 약한 불에 아무리 오래 고아도 맑은 국 ㅠㅠ
    첨부터 뚜껑열고 끓고난후 계속 센불에 10분 더 끓여보세요. 성공하시길 빕니다 ^^

  • 21. 친일매국조선일보
    '18.5.20 10:09 AM (192.0.xxx.141)

    제 레시피 요약 ^^
    참기름으로 황태 볶기 (30초?)
    물 왕창 붓고 센불에 끓이기 (넘칠수 있으니 뚜껑 열고)
    물이 끓으면 센불에 계속 더 끓이기
    뽀얀 국물이 되면 끝.
    소금간 (국간장도 쫌)은 이중 아무때나 해도 상관없어요

  • 22.
    '18.5.20 10:50 AM (58.233.xxx.188)

    참기름에 볶아도 뽀얗게 되던데요. 저는 늘 참기름만 씀.
    대신 센 불에서 팔팔 끓여야 됩니다. 북어국은 물론 미역국도 마찬가지.
    무조건 팔팔 끓이세요.

  • 23. 동네에
    '18.5.20 1:38 PM (58.234.xxx.77)

    엄청 잘되고 맛있는 북엇국 전문점이 있는데 국물은 사골 양지 육수라고 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40652 아들에게 사과해야 할까요? 5 사과 06:18:36 796
1740651 아침부터 찌네요 3 여름 06:16:04 589
1740650 한동훈 “민주당 ‘내수용 국뽕외교’…우리 국민들 ‘피눈물’ 돌아.. 17 ㅇㅇ 06:15:27 505
1740649 이런 날씨에는 1 ... 06:11:19 404
1740648 아무래도 암인거 같은데.. 9 .. 03:17:37 3,445
1740647 구준엽씨 근황 10 aa 01:52:36 5,062
1740646 에어컨을 24시간 가동해도 되나요? 10 .... 01:29:36 3,091
1740645 장례에 남편부부동반 질문이요 13 경조사 01:12:26 1,373
1740644 단골 카페 아는체 하면 부담스럽나요? 42 혹시 01:08:02 2,756
1740643 신축 아파트 벽 갈라진거요 6 01:06:31 2,145
1740642 김건희 모조품 ㅡ 일부러 짭을 인척네집에 숨겨 놓았을 수도 있죠.. 5 ㅇㅇㅇ 01:03:38 2,725
1740641 경희대 중간 공대와 한양대 높은 공대 15 차이 00:57:15 1,666
1740640 한심한 인간 8 한심 00:41:01 1,836
1740639 세계에서 가장 빠른 21주만에 태어난 아이 ㅇㅇㅇ 00:39:59 1,257
1740638 최강욱 - 아버님을 푸른 나무 아래 잘 모셨습니다 4 ... 00:35:42 1,886
1740637 저녁에 만든 스파게티 상할까요? 4 ㆍㆍ 00:24:05 814
1740636 도와주세요 우버 카드등록!!! ........ 00:12:32 414
1740635 시어머니 요양병원 계시니 자식들이 빈집에 더 자주 가네요 11 마지막주 00:09:56 5,108
1740634 네이버페이 줍줍 1 ........ 00:09:52 773
1740633 성인아들 독립 6 결정 00:08:40 1,687
1740632 SPC가 대통령이 나설 '수준'의 일이 아니라는 사람에게 20 800 00:06:05 3,260
1740631 농협·신협·새마을금고 비과세 혜택 단계적 축소 7 ... 00:02:51 1,598
1740630 파프리카 한박스 들어왔는데 6 ㅇㅇ 00:02:00 1,200
1740629 연예인 요리 진짜 잘 하는걸까요? 4 차*련 00:00:23 2,548
1740628 말티푸를 가족으로 맞이했어요 13 ㅎㅎ 2025/07/27 2,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