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저희 양가의 명절비는...

ㅎㅎ 조회수 : 2,458
작성일 : 2011-09-15 13:18:34
시댁은 제사, 차례를 일절 안지내는 집입니다.
그래서 제사 음식이나 생선을 하지 않죠.
그냥 음식 만들고 명절 당일에 상차려서 밥 먹어요.

제사,차례가 없다고 간소한 것도 아니에요.

시조부모님이 다 살아계셔서 그곳으로 다 모여서
먹을 음식을 하는데 다 먹지도 못하고 잘 먹지도 않는 것
무지 합니다.
매해 죽어라 일하면서 생각한게 제사,차례도 안지내는데
그냥 간단히 마련하고 먹으면 좋으련만 왜이렇게
많이 하나.
아마도 상위에 가득 가득 올려져야 안심이 되는 모양이에요.
그렇게 올려진 거 반에 반도 못먹는데...

시어머니나 작은어머니들이 장 봐오고 비용 분담을 똑같이 
하는 거 같구요.

저는 나중에 시어머니한테 그냥 명절비라고 조금 드립니다.
내려갈때 시댁이며 시조부모님 댁에 과일이나 이런 선물 따로 챙기고요.

결혼한 시누이나,  미혼인 시동생은 따로 명절비 같은 거 안줍니다.
시어머니는 제가 명절비 드리면 이런걸 뭐하러 하냐고 하시면서
많이 줄거면 하고 그렇지 않으면 하지 말라고 하시죠.   
그냥 생각해서 하는 말씀인 줄 알지만 이왕지사 형편 어렵게 시작해서
어떻게든 잘 살아보려고 맞벌이하면서 애쓰는 저희가 명절이라고
얼마라도 챙겨드리려 하는 거면
말씀이라도 고생 많은데 생각해줘서 고맙다..라고 해주시면 좋겠어요.


저희 친정은 제사, 차례를 지내는 집이지만
간소하게 해요.  
저 어렸을때는 많이 했었는데  며느리 들어오면서
엄마는 많이 간소화를 했고  음식 준비할게 많지 않아요.

엄마가 90% 다 해놓으시고
올케 언니들은 내려가서 전 정도 부칩니다.

저흰 모든 경조사는 똑같이 분담해요.
저희가 제일 형편이 안좋고 힘들지만 전 한번도 열외락 생각한 적 없이
똑같이 하고 당연히 똑같이 해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제가 결혼 전에는 제사, 명절비 모두 똑같이 나눠서 냈고
결혼하고 나서는 제사때는 똑같이 비용을 나눠 내고
명절때는 제가 빠지다 보니 나머지 형제들이 나눠 내는데
저는 명절때 따로 엄마에게 명절비 드려요.

형제들..그러니까 오빠들이 셋인데 한집당 명절비 15만원씩 내더군요.
다 모아야 45만원이지만  어찌보면 이건 각자 식구들 먹는 비용이나
마찬가지 같더라구요.

엄마가 제사 음식 장본거나 자식들, 손주들 먹인다고 반찬 하고
고기며 뭐며 다 사다 해주고 챙겨주고 하는 비용에 비하면 엄청 모자라는
비용일거에요.

그런데도 엄마는 그런 명절 비용 받으면서도 좀 미안해 하시고 고마워하시죠
명절비 건네면 올케 언니들한테 고맙다 하시고
안받았으면 좋은데 이거 잘 받아서 가을 농사 비용 해야겠다..하시고요.
뭐 자식들 온갖 먹거리 농사 지어서 다 대주시거든요.

저도 따로 명절비 드리면 엄마는 그러시죠
형편도 어려운데 이렇게 챙겨줘서 어쩌냐고. 고맙다고...


금액이 똑같은 명절비라도 느낌은 참 달라요.ㅎㅎ
IP : 112.168.xxx.63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1.9.15 1:27 PM (121.165.xxx.195) - 삭제된댓글

    며느리입장과 딸 입장은 다른듯..

  • 2. 저흰
    '11.9.15 5:42 PM (118.40.xxx.126)

    이런 얘기 너무 재밌어요.. 저도 죽음이 (그리고 삶이)몰까 궁금해서 많이 연구해봤는데. 암튼. 결론은 삶과 죽음은 일종의 사이클이고 그냥 생긴대로 사는게 결론이더군요. 이 모든 상황은 내가 초래한 것이다라는 전제하에.. 가볍게 소풍나온 것처럼.. 단, 착하게, 그리고 남한테 나쁜짓하지 않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9511 박용길 장로님(故 문익환 목사님 부인) 소천 8 하늘하늘 2011/09/25 3,706
19510 곽노현 교육감에게 희망 편지를.... 27 사랑이여 2011/09/25 2,969
19509 급질) 외국손님 대접할 일이 생겼는데 이태원 한정식집 추천 부탁.. 5 *** 2011/09/25 4,470
19508 연금을 가입하려는데 남편명의로해야하나요? 1 아점마 2011/09/25 2,881
19507 메리케이 화장품 어떤가요? 3 berngi.. 2011/09/25 5,973
19506 연산군의부인과자녀들은 역사에서 어떻게되었는지요 8 궁금해서요 2011/09/25 14,105
19505 보스킨 사용해보신분 계신가요? 얼굴미용기 2011/09/25 3,085
19504 韓 부도위험 급격히 악화…`위기국가' 프랑스 추월 18 참맛 2011/09/25 13,315
19503 초6여아 수학 어떻게 해야 할까요? 7 wlqwnd.. 2011/09/25 3,657
19502 급질!! 영어소문자가 안써져요.. 3 ?? 2011/09/25 3,749
19501 형제를 바라보며... 엄마 2011/09/25 2,548
19500 고등학교 국어요.. 2 엄마 2011/09/25 2,998
19499 쉰 두 번째 생일~ 15 가을 햇살을.. 2011/09/25 3,687
19498 여행가방 4 .... 2011/09/25 3,189
19497 손정완 옷 사보신분.. 9 블루 2011/09/25 6,524
19496 82 CSI님들~ 이 부츠는 어느 브랜드인가요? 4 부츠부츠 2011/09/25 3,512
19495 샤넬카피 반지는 어디서 살수 있나요?? 6 병다리 2011/09/25 5,045
19494 허재감독 중국기자들 말같지도 않은 질문하니 5 2011/09/25 4,268
19493 2억정도로 전세끼고 살수 있는 아파트 있을까요 3 잔디 2011/09/25 4,047
19492 코스트코에 밀레청소기 있나요? 3 이클립스74.. 2011/09/25 4,538
19491 유기농 우유맛이 이상했던적은 없으신가요? 4 .. 2011/09/25 3,514
19490 갤럭시S2 음악리스트..수정이나 삭제..정렬어떻게하는건가요? 2 갸우뚱~ 2011/09/25 3,761
19489 예단으로 보낼 어머님 명품백(500만원 내외) 추천부탁드려요 13 음음 2011/09/25 13,336
19488 영유에 대해서 조언부탁드려요~ 4 호반아줌마 2011/09/25 2,854
19487 예식장에서 당한 망신...어떻게 처리해야좋을까요? 6 나만이래 2011/09/25 9,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