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박정희때 도입된 ‘전기요금 누진제’, 야당들 "손보겠다”

전기누진제 조회수 : 1,132
작성일 : 2016-07-31 17:54:10
http://facttv.kr/facttvnews/detail.php?number=15540&thread=21r02

그러나 자영업자에게 적용되는 일반용(㎾h당 105.7원)과, 전체 사용전력의 55%를 차지하고 있는 산업계에 적용되는 산업용(㎾h당 81원) 요금은 누진제가 적용되지 않는다. 특히 기업에게는 오히려 전기를 많이 쓸수록 요금을 깎아주는 역누진 제도다. 사실상 재벌들이 펑펑 쓰는 전기요금을 서민들이 대신 내주는 것이다.

2011년 기준으로 한국의 산업용 전력소비량은 국민 1인당 4617㎾h로, OECD 평균(2445㎾h)의 두 배에 가깝다. 주택용 전력소비량은 1240㎾h로 평균(2448㎾h)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누진단계(6단계)와 누진율(11.7)은 한국이 세계적으로 비교해도 독보적으로 높다. 대만은 누진단계 6단계에 누진율 2.5배, 중국은 3단계에 1.5배, 일본은 3단계에 1.3~1.6배, 미국은 2~4단계 1.1~4배, 캐나다는 2~3단계에 1.1~1.5배, 호주는 2~5단계에 1.1~1.5배이고, 프랑스와 독일은 누진제가 없다.

“누진제 때문에, 억압적 비소비를 하고 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사위이기도 한 곽 변호사는 “실제 주택용 전기 사용량은 우리나라 전체 소비량의 13%밖에 안 된다. 소비량 자체가 지금 적다. 보통의 국가 같은 경우에는 주택용, 산업용, 일반용의 사용 비율이 대략 3:3:3가량인데, 우리는 주택용이 13.6%, 산업용은 55% 이상, 그다음 나머지 일반용은 39%다. 즉 이 요금이 지나치게 과도하기 때문에 억압적 비소비를 하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누진제 전기요금 규정이 정당한 것이라면 전기뿐만 아니라 가스, 물, 교통 심지어는 백화점 소비까지 전부 다 제한해야 되는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IP : 1.243.xxx.25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이게 현실이죠
    '16.7.31 7:39 PM (218.52.xxx.86)

    서민들 쥐어짜서 기업 먹여살리고 있는거.
    실상은 이러한데 마치 국민들이 전기 많이 써서 문제인 것처럼 호도해왔죠.

  • 2. 그래도
    '16.7.31 7:46 PM (119.200.xxx.230)

    막걸리 마시며 서민 쇼라도 했다는데, 이건 대놓고 서민들을 쥐어짜니...

  • 3. 누진세도 좋다구요
    '16.8.1 7:32 AM (210.222.xxx.124)

    할려면 식구수대로 나눠서라도 하면 됩니다
    식구많으면 어쩔수 없이 누진세 낼 수 밖에 없어요
    미친 계산법입니다
    국회의원들은 지금까지 뭘 한 건지
    후쿠시마 폐자제 수입도 이참에 금지해주길
    일본고철로 부엌에서 쓰는 팬이나 냄비를 만들게 하지는 않는지 궁금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82726 시누이 딸 결혼식 축의금 얼마 해야 하나요?? (펑했어요~) 35 정말 궁금!.. 2016/08/02 7,542
582725 이런 고부간도 있어요~~^^ 9 000 2016/08/02 2,107
582724 동작구-비옵니다 22 거기는? 2016/08/02 1,652
582723 같이 밥비벼 먹는거 싫어요 20 비벼비벼요 2016/08/02 5,126
582722 일산은 2005년만 해도 신도시 느낌났는데 21 ㅇㅇ 2016/08/02 6,248
582721 30대 남자 캐주얼 옷 이쁜 쇼핑몰 아시나요? 1 남자옷 2016/08/02 1,266
582720 박그네 부모잃은거랑 사드랑 뭔상관 4 짜증유발 2016/08/02 1,193
582719 서울 천둥소리 들리죠 5 9 2016/08/02 1,274
582718 세입자가 붙박이 책장을 부순 경우.. 17 불리토 2016/08/02 4,017
582717 이직으로 인한 퇴사 시.. 2 2016/08/02 1,786
582716 명동성당 성물 판매소 평일도 하나요? 5 성물 2016/08/02 3,102
582715 짜게된얼갈이김치어땋게하면 좋을까요 7 ㅇㅇ 2016/08/02 798
582714 황상민 들으시는분~ 3 팟빵 2016/08/02 1,363
582713 이런 아이 성공하기 어렵다. 부모의 영향 4 물방울돌맹이.. 2016/08/02 3,869
582712 저도 힘들때마다 밤중에도 저 부르던 친구 있었어요 매번 자기얘기.. 3 .... 2016/08/02 1,621
582711 우체국 보험 5 ㅜㅜ 2016/08/02 1,669
582710 인천공항 사람 어마어마해요 12 .... 2016/08/02 5,934
582709 100만 원으로 위안부 피해자 치유 사업? 재단출범 2016/08/02 480
582708 7년의 밤.같은 소설 추천해주세요~~ 11 독서로휴가 2016/08/02 2,571
582707 그릇 어떻게 처분하나요? 10 버리자 2016/08/02 2,185
582706 드라마 W 질문이요 4 ^^ 2016/08/02 1,830
582705 특정 IP가 쓴 글 찾기 12 .... 2016/08/02 2,198
582704 식기세척기 쓰다 못 쓰시는 분들 어떻게 하세요? 4 힘들다 2016/08/02 1,367
582703 디지털 피아노 vs 키보드 잘 아시는 분 1 .. 2016/08/02 750
582702 스타벅스의 프라푸치노와 블렌디드 무슨차이인가요? 1 ^^* 2016/08/02 8,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