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이 뉴스를 보니 82 연령대가 대충 60대 이상 같네요.

82 연령대 조회수 : 2,562
작성일 : 2016-07-19 21:45:20

여기는 단골 레퍼토리가 스카이, 서성한 등 하교 서열 놀이죠. 그 만큼 학벌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근데 성공의 중요 요소를 묻는 여론조사의 답은 82와 좀 다르네요.

5060세대는 우리 사회에서 성공하기 위해 ‘열정과 노력’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반면 2030세대는 ‘경제력’과 ‘인맥’을 꼽았습니다. 반면에 학벌’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60대 이상만 10%를 간신히 넘겨 모든 세대가 그다지 중요하게 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요. 그러니 82는 대략 60대 이상이 주류라고 추론할 수 있겠네요. 

IP : 221.156.xxx.29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기사는
    '16.7.19 9:45 PM (221.156.xxx.29)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60719001011

  • 2. ....
    '16.7.19 10:04 PM (175.204.xxx.239) - 삭제된댓글

    댓글은 보수적인 50~60대 많고요...ㅠ
    개념 없는 원글 올리는 사람들은 젊은 층이 많아요 ~~

  • 3. 단골
    '16.7.19 10:13 PM (119.69.xxx.27) - 삭제된댓글

    82단골 레퍼토리는 연예인, 부동산, 경제력(연봉,사회적지위), 결혼(특히 시가 관련 하소연, 혼수,집마련),
    남편외도, 자녀입시 관련, 진상인지 감별하기 등입니다.
    주로 위의 글이 조회수, 댓글수가 많고요
    그외 여행후기(맛집 포함), 미용, 다이어트, 건강 관련 글에 이목이 집중됩니다.
    시간 있으시면 일주일만 최근 많이 읽은 글을 연구해보세요.

    학교 서열놀이는 30대도 해요.

  • 4. 학벌
    '16.7.19 10:15 PM (223.62.xxx.187) - 삭제된댓글

    학벌에 대한 가치관이

    솔직히 2~30대와 차이가 많이 나요

    82는 지혜로운 분들이 많아서 참 좋은곳인데

    학벌얘기에서는 좀 답답하고 지나치게 찬양하는

    경향이 있어요

  • 5. ...........
    '16.7.19 10:20 PM (182.230.xxx.104)

    근데 왜 나이를 나눠요? 초기 82는 나이드신 분들이 많았지만..제 기억으로 제가 삼십초쯤에 한번 왔을때 솔직히 오십대 느낌 낭낭했는데 지금은 시간없어서 그시절처럼 눈팅만 해도 젊은애들 개념없이 글 적은거 엄청나고 거기다 일베충과 국정충까지 들어와서 여기 나이드신 분들은 제대로 글도 못적고 있던데요...젊은애들 특징이 지들 맘대로 안되면 징징거리면서 편나누기.

  • 6. 나이가 늙은게 아니라
    '16.7.19 10:46 PM (221.156.xxx.29)

    라이프 스타일이 노년인거죠. 젊어도 늙은이 같은 사람있고, 늙어도 젊은 사람있고.
    근데 학벌이 알파요 오메가인 사람은 외관이 젊어도 머리는 늙은거죠.

  • 7. 참...
    '16.7.19 10:47 PM (61.83.xxx.59)

    남의 다리 긁고 계시네요;;;
    학벌 놀이하는 건 사회적으로 성공하길 바래서가 아니에요.
    그저 자식이 가난하지 않게 살 수 있는 길을 모색하는거죠.

    취업이라도 무난하게 하기를, 조금이라도 더 좋은 회사에 다니기를 바라는거죠.
    공부만 잘하면 가능한 의사, 판검사라도 되면 더 좋을 테구요.
    그걸 바라면서 사교육에 힘쓰고 더 좋은 학벌을 가질 수 있게 되길 원하는 거에요.

  • 8. 뭐래
    '16.7.19 10:55 PM (221.156.xxx.29)

    가난하게 살지 않고, 조금이라도 더 좋은 회사에 다니고, 전문직 되는게 보통 사람의 성공이죠.
    참님의 성공은 뭔가요? 자기 다리도 긁지 못하는 분인 듯 ㅋㅋ

  • 9. 범보
    '16.7.19 11:13 PM (1.227.xxx.184)

    일반적으로 집안이 풍족하지 못하면, 학벌순으로 무난한 삶을 살게 되죠. 학벌이 다는 아니지만 무시할 정도는 아닌데요. 어찌보면 어느정도는 베이스라 볼수 있어요.

  • 10. 그니까요
    '16.7.19 11:18 PM (221.156.xxx.29) - 삭제된댓글

    제 생각이 아니라 시민들 생각인거죠. 조사대상 어느 누구도 학벌이 성공에 별 중요치 않다고 생각한다고 조사에 나왔다는거죠.

  • 11. 그니까요
    '16.7.19 11:23 PM (221.156.xxx.29)

    제 생각이 아니라 시민들 생각인거죠. 조사대상 어느 누구도 학벌이 성공에 별 중요치 않다고 생각한다고 조사에 나왔다는거죠. 심지어 노오력 비아냥 거리는 젊은이들 조차 학벌보다는 열정과 노력이 중요하다잖아요.

  • 12. 원글님이
    '16.7.20 1:21 AM (68.80.xxx.202)

    직접 쓰신 본문 글을 다시 읽어보세요.
    20,30대는 경제력과 인맥이라면서요.
    그 인맥이 뭔가요?
    소위 사람들이 부러워하는 직업군에 어느 학교출신들이 많습니까?
    인맥이란게 학연과 지연과 혈연이잖아요.
    사회생활 초년들인 2,30대가 인맥과 경제력이 중요하다고 한게 비정상적인 사회구조임을 나타내는거고 학력을 선택한 60대나, 인맥 경제력을 고른 2,30대나 그게 그건거죠.
    그리고 60대 이상이 학력을 고른건 그 시절엔 요즘처럼 너도나도 다 대학교육까지 받았던 시절이 아니므로 살아오면서 학력의 장벽을 많이 느꼈던 것도 한 이유인 듯합니다.

  • 13. 잘 모르시는구나
    '16.7.20 2:25 AM (221.156.xxx.29)

    질문의 제 1원칙이 뭔지 아세요. 질문은 상호배타적이어야 한다.
    경제력, 인맥, 학벌, 노력 모두 상호배타적으로 질문 설정된겁니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네트워킹이란 것도 자신이 어느 정도 위치에 있어야 가능한거고, 네트워킹에도 학벌 외에 수많은 요소가 있어요. 그 자체가 전략입니다. 단순히 학벌, 동문으로 비벼볼라는 것 자체가 웃기는거죠.
    역설적이지만 이미 어느 정도 사회적으로 성공한 사람에게나 학벌 네트워킹이 필요한거지,, 백수나, 비실거리는 사회적 위치의 학벌은 아무런 도움이 안됩니다.

    요약,, 질문의 가장 중요한 원칙은 상호배타성이다. 학벌 네트워킹은 성공의 필수 또는 중요 요건이 아니라 성공 유지의 중요 요건 중 하나일뿐이다.

  • 14. 82가
    '16.7.20 1:12 PM (117.123.xxx.19)

    60대가 주류라고요?
    여기에 글 올라오는 거 보면
    나이 어리니 이해하지...
    도무지 이해가 안되는 글이 너무 많던데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76586 달거리가 왔다리 갔다리 해요. 갱년기 06:23:06 9
1776585 그 한의사는 왜그랬을까 3 이상해 06:11:08 259
1776584 건방지고책임전가 하는데 잘나가는 직원 1 ㄹㄹ 05:43:39 331
1776583 중국인이 사라진...일본 시부야 거리 2 ㅇㅇ 05:38:31 700
1776582 “‘생선 얼마예요?’ 물으니 다짜고짜 손질”…전통시장 강매 의혹.. 2 ㅇㅇ 05:14:34 1,177
1776581 베카 무쇠 후라이팬 전골팬 00 05:04:07 154
1776580 언니들 도와주세요 5 로라 04:53:57 1,049
1776579 김부장은 꽤나 정확한 사회 반영이네요 4 공감간다 04:52:55 853
1776578 오래된 뚜껑식 김냉.. 김치통 뚜껑이 없어졌어요 1 ㅇㅇ 04:21:19 364
1776577 경찰, 여객선 좌초 사고 '악성 댓글' 수사 ㅇㅇ 04:18:15 245
1776576 통계청 나이별 생존확율 생존확율 03:48:57 513
1776575 백종원이 남극가서 만든 음식 6 헐~~ 03:26:45 1,876
1776574 성추행 동국대 교수 누구냐 03:11:13 821
1776573 요즘 구글 올라가는거보면요 진짜 절대강자 없네요 4 주식 02:46:46 1,628
1776572 푸바오 한국 오는 건가요? 4 푸바오 02:27:11 1,620
1776571 남편의 이런점 다른남편들도 이러나요? 2 남편 02:23:53 894
1776570 학생 허벅지 만진 동국대 교수…"반성하지만 수업 왜 빼.. 3 ㅇㅇ 02:10:38 1,403
1776569 메니에르병 걸렸는데 외근직 공무원입니다. 8 고민 01:18:38 1,558
1776568 아니 알베르토가 미쳤나 19 김상연 01:15:38 4,876
1776567 한국에서 태어난 것은 금수저 국가에서 태어난 것이다 14 01:00:41 2,719
1776566 백신 맞았는데 독감환자 14배 급증? 1 00:56:18 1,951
1776565 23년 기사) 이재명 '대의원-권리당원 비중 1대 1로 가야' 8 투데이 기사.. 00:54:28 446
1776564 생강청 이젠 사먹으려구요 8 나는나 00:48:00 2,418
1776563 24살아들 취업으로 부산역주변 오피스텔이나 원룸추천 2 언제나긍정 00:47:39 741
1776562 침팬지도 10년 전쟁... 흥미로운 기사 2 ㅇㅇ 00:29:14 1,0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