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프랑스나 남유럽 음식도 손이 많이 가나요?

푸른 조회수 : 960
작성일 : 2016-05-31 15:36:41

  결혼해서 한식 집밥을 해 보니, 한식 나물반찬이나 김치 종류들이 손이 많이 간다는 걸

  몸으로 느끼게 되네요.

   가사일을 별로 안 해 본 대학 때 , 독일에서 생활해 본 페미니즘 여성이 쓴 책을 읽었는데

 (제목은 가물가물~기억 안나요~)독일에선 아침은 갓 구워낸 빵집 빵이고 식생활이 간단해서

   여성들이 가사일이 상대적으로 적다고 썼더라고요.

  

    그런데 프랑스나 이탈리아 남유럽 같은 곳은 음식문화가 발달해 있잖아요.

    집에서 만드는 음식이나 쨈, 소스들이 많을 것 같아요.

    외식도 별로 자주 안 할 것 같고....

    프랑스 여행 갔을 때, 거기서 국제결혼해서 오래 사신 한국여성분이(숙소 안주인셨음)

    프랑스 여자들이 한국여자들보다 더 대단하다는 뉘앙스로 말씀을 하셔서....

    집에서 요리나 음식 다 만들고 외모도 또 프랑스 여자들이 그렇게 가꾸더군요

    거기다 직장생활 하는 여자들도 많다고 하던데...


    남유럽에서 살아보신 분들, 음식 만드는 주부들 일이 많나요?

IP : 58.125.xxx.116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5.31 4:27 PM (95.232.xxx.177) - 삭제된댓글

    이탈리아 살고있어요. 여러 친척들 친구들 친구네 가족들 티비프로그램 등등 여태껏 보고 듣고 겪은 사실을 종합해 보자면 한국 주부들이 일이 더 많은거 같아요.

    이탈리아 아침은 워낙 간단해서 우유나 쥬스나 커피에 빵이나 비스켓 먹거든요. 아침에 요리하는 경우는 거의 없어요.

    아침이 간단하니 점심전에 간식시간 갖는 경우가 있고 점심도 간단히 먹어요. 직장인들은 회사식당에서 먹거나 주변 레스토랑에서 먹고 많은 사람들이 커다란 샐러드 하나로 한끼먹기도 해요. 집에서 준비해가는 경우도 각종 치즈랑 햄을 빵 사이에 끼워먹는 파니노 가져가니까 요리할 필요가 없죠.

    저녁은 대체로 집에서 먹는데 주부가 본격적으로 요리하는 시간이겠네요. 아주 전통적인 방법으로 요리를 하자면 두세시간 소스를 끓이고 밀가루 반죽을 해서 면을 만들고 고기나 생선도 오래 익혀서 변형시키고 각종 단 후식도 준비하고 오래 걸릴거예요. 요즘 사람들은 생파스타, 건파스타, 라비올리 등등 맛있고 신선하게 종류별로 나온거 사다먹고 고기나 생선 간단히 구워서 익힌 야채나 샐러드랑 먹으면 끝이에요.

    저희 시어머니도 상당히 전통조리방법 지키시는 분이지만 밀가루나 쌀가루 헤이즐넛 가루 등등 분량 맞게 넣으면 식사 빵도 빵만드는 기계가 구워주고, 토마토 소스 같은경우 우기농 토마토 수확철에 대량으로 끓여서 냉동해두시고 과일쨈도 한철 만들어 두세요. 결국 식사 전체-프리모-세콘도-과일-단 후식-커피 순서로 차리셔도 손이 별로 안가요. 손님 초대도 일주일에 한번씩은 하시는데 재료만 준비되어 있으면 한시간 전부터 시작하면 충분하고도 남더라구요.

    물론 아주 남부 시골에 제가 아는분 할머니는 아침 6시부터 점심에 먹을 파스타 소스 끓이시는데 흔한 경우는 아니에요.

    글이 길어졌는데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한국 주부보다 이탈리아 주부들이 식사준비는 훨씬 간단하게 짧은 시간에 한다고 생각해요. 아침 안하는 것만 해도 정말 편하잖아요.

  • 2. ...
    '16.5.31 4:29 PM (95.232.xxx.177)

    이탈리아 살고있어요. 여러 친척들 친구들 친구네 가족들 티비프로그램 등등 여태껏 보고 듣고 겪은 사실을 종합해 보자면 한국 주부들이 일이 더 많은거 같아요.

    이탈리아 아침은 워낙 간단해서 우유나 쥬스나 커피에 빵이나 비스켓 먹거든요. 아침에 요리하는 경우는 거의 없어요.

    아침이 간단하니 점심전에 간식시간 갖는 경우가 있고 점심도 간단히 먹어요. 직장인들은 회사식당에서 먹거나 주변 레스토랑에서 먹고 많은 사람들이 커다란 샐러드 하나로 한끼먹기도 해요. 집에서 준비해가는 경우도 각종 치즈랑 햄을 빵 사이에 끼워먹는 파니노 가져가니까 요리할 필요가 없죠.

    저녁은 대체로 집에서 먹는데 주부가 본격적으로 요리하는 시간이겠네요. 아주 전통적인 방법으로 요리를 하자면 두세시간 소스를 끓이고 밀가루 반죽을 해서 면을 만들고 고기나 생선도 오래 익혀서 변형시키고 각종 단 후식도 준비하고 오래 걸릴거예요. 요즘 사람들은 생파스타, 건파스타, 라비올리 등등 맛있고 신선하게 종류별로 나온거 사다먹고 고기나 생선 간단히 구워서 익힌 야채나 샐러드랑 먹으면 끝이에요.

    저희 시어머니도 상당히 전통조리방법 지키시는 분이지만 밀가루나 쌀가루 헤이즐넛 가루 등등 분량 맞게 넣으면 식사 빵도 빵만드는 기계가 구워주고, 토마토 소스 같은경우 우기농 토마토 수확철에 대량으로 끓여서 냉동해두시고 과일쨈도 한철 만들어 두세요. 결국 식사 전채-프리모-세콘도-과일-단 후식-커피 순서로 차리셔도 손이 별로 안가요. 손님 초대도 일주일에 한번씩은 하시는데 재료만 준비되어 있으면 한시간 전부터 시작하면 충분하고도 남더라구요.

    물론 아주 남부 시골에 제가 아는분 할머니는 아침 6시부터 점심에 먹을 파스타 소스 끓이시는데 흔한 경우는 아니에요.

    글이 길어졌는데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한국 주부보다 이탈리아 주부들이 식사준비는 훨씬 간단하게 짧은 시간에 한다고 생각해요. 아침 안하는 것만 해도 정말 편하잖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67179 아이 올림피아드 공부시켜보신 분... 20 ... 2016/06/14 3,314
567178 어딜가나 나이많은 입장인데요 어른답게 생각하고 지혜롭고싶어요 2 ..... 2016/06/14 1,557
567177 폐암 수술 잘하는 병원과 의사선생님 좀 알려주실래요? 6 절실합니다... 2016/06/14 7,039
567176 눈만 뜨면 나오는 유명인 성폭행 기사 지겹다 박U천은 11 카라 2016/06/14 3,202
567175 2016년 6월 14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만평 1 세우실 2016/06/14 645
567174 하루에 소변 얼마나 자주보세요? 11 천개의바람 2016/06/14 3,465
567173 님들은 왜 결혼 하셨나요? 16 질문 2016/06/14 4,647
567172 여자밝히는 싱글친구가 남편한테 단둘이 해외로 여행가자고 했다는데.. 5 열받아 2016/06/14 4,178
567171 워킹맘.. 슬럼프인거 같아요.. 6 ㅇㅇ 2016/06/14 1,602
567170 "노랑 우산을 들어주세요" 5 노랑 2016/06/14 1,618
567169 82에 날선글, 댓글 왤케 많나요 22 00 2016/06/14 2,307
567168 (영상) 단식 8일차..이재명 시장님 많이 핼쓱해지셨어요 9 ㅜㅜ 2016/06/14 1,269
567167 헬스 트레이너가 자꾸 생각나요 17 2016/06/14 24,416
567166 또오해영 작가가 3 해영해영 2016/06/14 3,619
567165 중딩들 내신대비 토나오네요. 여기 프로강사님들께 좀 여쭤봐요 11 강사 2016/06/14 3,941
567164 보건소가면 수의사(의사) 출신학교와 자격증알수있나요? 1 보건소 2016/06/14 1,854
567163 강아지 결막염에 대해 아시는 분 계신가요? 4 .. 2016/06/14 1,022
567162 외국은 경단녀에게도 기회가 많나요? 4 .. 2016/06/14 2,673
567161 전기모기채 불꽃 튀어도 안죽나요? 1 2016/06/14 1,293
567160 노란우산으로 세월호 진실 찾는 서영석씨 4 ........ 2016/06/14 916
567159 초2아들 친구들이 다 자기를 싫어한다고 우네요 22 ㄷㄱㄹ 2016/06/14 7,331
567158 아가씨 원작 핑거스미스 보신분요.. 18 고전사랑 2016/06/14 5,944
567157 중등 교과서 어디 출판사? 어느 저자 책이 좋을까요? 1 교과서 2016/06/14 632
567156 저도 인간관계 질문 11 자유인 2016/06/14 3,437
567155 잇몸 부어 치료한건데 또 붓네요 5 2016/06/14 2,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