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부자아빠 가난한 아빠책중에

ㅇㅇ 조회수 : 1,842
작성일 : 2015-12-30 11:30:36

꽤 오래전에 유행했지만

그때 읽은거 중에 기억에 남는게


부자아버지는 학력이 별로인데

회계사,변호사등 정말 잘배운 사람들이

자기 아버지 밑에서 일하는거 보면서

아버지의 어떤 능력때문에 저런 상황이 가능한가


아버지는 남들은 차마 감수할수 없는

어마어마한 리스크와 그에 따른 스트레스를

견디는 능력이 탁월했다고..

모험에 따르는 정신적 부담을 견디는 능력

그걸 책임지는 정신력..


그리고 또하나

자신이 35세가 넘어서면서

세상의 변화를 더이상 쫓아가지 못하고

뒤쳐지기 시작했다고 느끼기 시작했다고..


근데 저 두개는

제가 그후 10여년간 개인사업과 직장생활등을 하면서

깊이 공감하는 말이 되었네요..


35세이후 정말 새로운 것에 대한 호기심이 줄고

늘 알던길 익숙한 것만 찾게 되고...

IP : 58.123.xxx.9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5.12.30 11:39 A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맞아요..
    당장에는 월급 통장에 돈 모이고, 안정적이라 결혼도 하고 아이도 낳지만,
    35 되면 이제 자기는 쓸만큼 쓴 오래된 가전이나 비슷해요.
    반짝반짝 예쁘고 교육도 자신보다 많이 받고, 열정도 만땅으로 충전받은 신상품 가전이 줄 서 있거든요.

    하지만, 도전하는 사람들은
    35 이 되도록 도전과 고난의 연속이에요.
    그런데, 어느 순간 빛을 발하기 시작하고, 그 이후는 용암 같아요.
    안에 뭐가 들었는지 모르지만 끝없이 뭐가 나오는 것 같아요.
    능력도 폭발하게 되고, 물론 돈이 직장인 10년 일해 모을 거 1년 만에 모으고요.
    이 사람들 확실한 특징은 리스크, 스트레스.. 에 강하다는 점은 있어요.

  • 2. 리스크,스트레스에 강한 사람이라...
    '15.12.30 11:46 AM (222.101.xxx.223)

    생각이 많아지네요

  • 3. 저는
    '15.12.30 12:00 PM (125.182.xxx.27)

    그말이기억나요
    시스템을만들어라
    내가기계의부속품이되지말고자유인이되고
    돈을만드는시스템 ....

  • 4. ..
    '15.12.30 12:08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그외 들어가는 인건비 등 자기가 가격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 5. ..
    '15.12.30 12:10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그외 들어가는 인건비 등 자기가 가격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라고 하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된 구조라는 얘기가 되죠.

  • 6. ..
    '15.12.30 12:11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상품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그외 들어가는 인건비 등 자기가 비용가격 마저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라고 하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된 구조라는 얘기가 되죠.

  • 7. ..
    '15.12.30 12:12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상품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지출로 들어가는 인건비 비용가격 마저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라고 하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된 구조라는 얘기가 되죠.

  • 8. ..
    '15.12.30 12:13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상품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지출로 들어가는 인건비 비용가격 마저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라고 하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된 구조인 거죠.

  • 9. ..
    '15.12.30 12:14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상품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지출로 들어가는 인건비 준 비용가격 마저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라고 하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된 구조인 거죠.

  • 10. ..
    '15.12.30 12:16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상품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지출로 들어가는 인건비 준 비용가격 마저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라고 하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되는 구조인 거죠.
    재벌과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에서,
    재별, 재벌2, 3세,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로 변하면서,
    재별 2,3세들이 막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자영업의 파이를 갉아먹고 있어요.
    재벌 개혁이 왜 필요한지 보여주는 거죠.

  • 11. 그냥
    '15.12.30 12:18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상품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지출로 들어가는 인건비 준 비용가격 마저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라고 하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되는 구조인 거죠.
    재벌과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에서,
    점차로 재별, 재벌2, 3세,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로 변하면서,
    재별 2,3세들이 막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자영업의 파이를 갉아먹고 있어요.
    재벌 개혁이 왜 필요한지 보여주는 거죠.

  • 12. 그냥
    '15.12.30 12:25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상품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지출로 들어가는 인건비 준 비용가격 마저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점점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로 변해가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되는 구조인 거죠.
    재벌과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에서,
    점차로 재별, 재벌2, 3세,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로 변하면서,
    재별 2,3세들이 막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자영업의 파이를 갉아먹고 있어요.
    재벌 개혁이 왜 필요한지 보여주는 거죠.

  • 13. 그냥
    '15.12.30 12:26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상품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지출로 들어가는 인건비 준 비용가격 마저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점점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로 변해가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되는 구조인 거죠.
    재벌과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에서,
    점차로 재별, 재벌2, 3세,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로 변하면서,
    재별 2,3세들이 막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자영업의 파이를 갉아먹고 있어요.

  • 14. ..
    '15.12.30 12:35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상품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지출로 들어가는 인건비 준 비용가격 마저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점점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로 변해가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되는 구조인 거죠.
    재벌과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에서,
    점차로 재별, 재벌2, 3세,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로 변하면서,
    재별 2,3세들이 막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자영업의 파이를 갉아먹고 있어요.

    40대, 50대에 회사에서 잘리고 상처입으니 퇴직금으로 돈벌리는 시스템 갖기 위해
    자영업을 시작하지만 10에 9명이 망하고 있어요.
    리스크, 스트레스를 감당하는 것은 20, 30대가 더 강하므로
    시작하려면 애초에 젊어서 시작하는 게 맞다고 봐요.
    장사하려면 30살 이전에 해라.. 이런 말이 리스크나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이 있는 나이에 시작해야 한다는 말이기도 하죠.

  • 15. ..
    '15.12.30 12:38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상품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지출로 들어가는 인건비 준 비용가격 마저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점점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로 변해가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되는 구조인 거죠.
    재벌과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에서,
    점차로 재별, 재벌2, 3세,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로 변하면서,
    재별 2,3세들이 막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자영업의 파이를 갉아먹고 있어요.

    40대, 50대에 회사에서 잘리고 상처입으니 퇴직금으로 돈벌리는 시스템 갖기 위해
    자영업을 시작하지만 10에 9명이 망하고 있어요.
    작은 규모로 시작해서 리스크와 스트레스를 감당하는 시간과 도전을 거쳐야 하는데
    목돈으로 한방에 돈을 벌려는 과욕이 부른 참사.
    리스크, 스트레스를 감당하는 것은 20, 30대가 더 강하므로
    시작하려면 애초에 젊어서 시작하는 게 맞다고 봐요.
    장사하려면 30살 이전에 해라.. 이런 말이 리스크나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이 있는 나이에 시작해야 한다는 말이기도 하죠.

  • 16. 그냥
    '15.12.30 12:52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상품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지출로 들어가는 인건비 준 비용가격 마저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점점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로 변해가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되는 구조인 거죠.
    재벌과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에서,
    점차로 재별, 재벌2, 3세,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로 변하면서,
    재별 2,3세들이 막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자영업의 파이를 갉아먹고 있어요.

    40대, 50대에 회사에서 잘리고 상처입으니 퇴직금으로 돈벌리는 시스템 갖기 위해
    자영업을 시작하지만 10에 9명이 망하고 있어요.
    작은 규모로 시작해서 리스크와 스트레스를 감당하는 시간과 도전을 거쳐야 하는데
    목돈으로 한방에 돈을 벌려는 과욕이 부른 참사. 사실 에너지가 딸려서 2번 도전하기도 힘든 나이.
    리스크, 스트레스를 감당하는 것은 20, 30대가 더 강하므로
    시작하려면 애초에 젊어서 시작하는 게 맞다고 봐요.
    장사하려면 30살 이전에 해라.. 이런 말이 리스크나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이 있는 나이에 시작해야 한다는 말이기도 하죠.

  • 17.
    '15.12.30 1:43 PM (183.101.xxx.9)

    스트레스에 강하다기보다 견디는거 아닐까요
    스트레스가 엄청날거 빤히 아는데도 덤비고
    죽을거같아도 도망안가고 포기안하고 버티기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15833 공대에서 '기계공학과'과 비교적 유사한 전공은 뭘까요... 3 교육 2016/01/04 1,785
515832 전기장판 전자파가 몸에 어떻게 나쁜가요? 4 2016/01/04 3,592
515831 자소서 관련 영어 문항 예시 가이드 글이었는데 글좀찾아주세.. 2016/01/04 534
515830 성능좋은 공기청정기 추천요! ㅇㅇㅇ 2016/01/04 731
515829 태동이 심한 아기들은 태어나면 어떤가요? 27 아가놀자 2016/01/04 42,649
515828 저아래 전기장판 전자파걱정 글을 보고.. 3 물주머니 2016/01/04 2,185
515827 2016.01.04. 퇴근 전에 갈무리했던 기사들 모아서 올립니.. 1 세우실 2016/01/04 629
515826 대학등록금 소득공제 6 대학등록금 .. 2016/01/04 2,148
515825 어깨 &등 ..통증에 도움이 되는 운동 or 운동동작 5 부디 2016/01/04 2,092
515824 파운데이션 많이하얗고 화사한거 뭐있나요? 8 .... 2016/01/04 3,386
515823 우엉차를 마시면서 생기는 증상일까요? 2 ㅠㅠ 2016/01/04 3,679
515822 82쿡님들은 몇살때부터 건강검진 하셨어요..?? 1 ... 2016/01/04 950
515821 한생연 6살 유아 프로그램 등록했는데 취소할까요? 6 나나 2016/01/04 3,075
515820 순대국만드는데 뭘 더 넣을까요? 6 방학중 2016/01/04 1,259
515819 은행에 넣어 놓는 대신 삼성전자를 적금식으로 사 놓는다면? 10 .... 2016/01/04 4,628
515818 만 15세 아이 만성변비도 실비보험 적용되나요? 4 건강하자 2016/01/04 1,510
515817 방산초/오금초/세륜초/오륜초 7 다솔맘 2016/01/04 4,348
515816 아이 영어채널만 보고있는데 도움이되는지? 5 아이맘 2016/01/04 1,181
515815 초등 예비소집일에요 11 고민 2016/01/04 1,235
515814 82하시는분들 스맛폰으로 하시나요? 아님 컴퓨터로? 6 눈버릴라 2016/01/04 951
515813 일렉트로룩스 무선청소기 배터리 교환이요.. 5 청소기 배터.. 2016/01/04 4,251
515812 층간소음의 강자 4 층간소음 2016/01/04 2,365
515811 엄마부대, 아베 사과 받았으니 남은 여생 편하게 사세요?[포토].. 24 세우실 2016/01/04 2,429
515810 월급의 기준 월급 2016/01/04 882
515809 딸의 남친에 관한 .. 17 happyw.. 2016/01/04 5,6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