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크리틱] 망언은 어떻게 생산되는가 / 문강형준

한겨레 조회수 : 1,282
작성일 : 2014-06-16 09:53:25

세월호 참사를 거치며 한국에 망언을 일삼는 이들이 많음이 드러났다. 
국회의원, 장관, 목사, 교수에서부터 서울시장 후보의 막내아들에 이르기까지 
망언을 하는 이들의 범위는 넓고 깊었다. 

이번엔 고르고 골랐을 국무총리 후보자까지도 망언 대열에 합류했다.
사회에서 일정한 권위를 가진 이들의 망언 역시 그 수준에서 결코 ‘일베’에 뒤지지 않음이 증명되었다.

‘상식에서 벗어난 말’이라고 다 망언은 아니다. 
상식은 진리가 아니며 허상일 때가 많다. 
상식에서 벗어나는 사고나 말은 오히려 창조적인 사유를 위한 디딤돌이기도 하다. 
니체의 독백이나 데이비드 허버트 로런스의 에세이에는 비상식적 발언이 넘쳐나지만, 
깊은 공부와 독창적 시각이 낳은 이들의 비상식적 사유는 상식을 넘어서는 새로움으로 우리를 안내한다.


최근 문제가 된 이들의 망언에서 인식의 새로움을 거론하기란 낯뜨거운 일이며, 느껴지는 것은 인식의 천박성뿐이다. 세월호 참사에 대고 ‘왜 제주도로 수학여행을 갔느냐’거나 ‘시체장사에 한두 번 당해 보았느냐’는 말을 지껄이고, 한국 현대사를 하나님의 섭리로 파악하는 국무총리 후보자 앞에서는 분석이나 고민을 할 만한 ‘깊이’ 자체를 찾기가 힘들다.

망언을 한 이들은 대개 ‘사석에서 튀어나온 말’이었지 진심은 아니었다고 변명한다. 

프로이트에 따르면, 그렇게 갑자기 튀어나온 말이야말로 진심임을 증명해준다. 
오히려 망언은 이를 가능케 한 어떤 세계관 속에 존재하며, 
이 세계관을 공유하는 담론의 공동체가 있음을 드러낸다. 

일본 정치인들의 망언은 제국주의적 세계관을 공유한 일본인들이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망언을 하는 목사의 설교를 듣는 신자들, 망언의 교과서가 된 극우논객을 따르는 네티즌들의 존재가 있다. 이 담론의 공동체 속에서 망언은 꾸준히 생산될 수밖에 없다.

문제는 이들의 가치관, 세계관, 역사관 등이 일종의 ‘표현의 자유’로 수용된다는 데 있다. 
광주학살의 북한 개입설을 주장하는 극우논객은 ‘내가 그렇게 생각한다는데 뭐가 문제냐’고 언성을 높인다. 역사를 해석에 따른 복수적 서사로 보는 포스트모더니즘도 한국에 오면 이렇게 일차원적인 ‘자유론’으로 둔갑한다. 

공통의 역사적 인식을 정립하지 못한 채 역사 자체가 자유와 표현의 문제로 변질될 때, 
그 사회는 영원히 역사의 유령에 사로잡힐 수밖에 없다.


한국의 보수적 ‘망언가’들이 그토록 좋아하는 미국이야말로 갈등을 통한 진보의 역사를 소중히 간직한다. 가령 아무리 보수적인 공화당 국회의원도 마틴 루서 킹에 대해 함부로 말할 수 없으며, 
그의 생일은 국경일이기까지 하다. 

우리의 광주항쟁은 어떤 대접을 받는가? 

최근 애인과의 전화통화에서 인종차별 발언을 했음이 드러난 엘에이 클리퍼스 농구단의 구단주 도널드 스털링은 미국프로농구협회에서 영구제명을 당하고 고액의 벌금까지 물었다. 

아예 트위터와 페이스북, 교회에서 대놓고 하는 한국의 ‘공적인’ 망언들은 어떠한 처벌도 받지 않는다. 

반면, 한 진보당 국회의원이 당원모임에서 했다는 발언은 순식간에 무리하게 사법처리되는 중이다. 

망언은 사실 ‘자유’가 아니라 ‘권력관계’에 불과함을 여기서 알 수 있다. 

그러면서도 망언자들, 나아가 일부 진보 지식인들조차 망언에 대해 ‘표현의 자유’를 들먹인다. 
자유의 역설은 그것이 보장되기 위해서라도 자유의 규제를 요청한다는 데 있다. 
실제로는 권력관계임에도 불구하고 자유로 포장되어 팔리는 망언 앞에서, 진짜 자유를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따져볼 때가 되었다.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642266.html
IP : 14.47.xxx.165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조작이 난무하는 나라
    '14.6.16 9:55 AM (14.47.xxx.165)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642266.html

  • 2. 청명하늘
    '14.6.16 10:03 AM (112.158.xxx.40)

    요즘들어 인문교육의 참필요성을 뼈저리게 느낍니다.
    좋은 글 안내 감사드립니다.

  • 3. 공감해요..
    '14.6.16 10:10 AM (223.62.xxx.197)

    그래서 지금 이 땅엔 공부나 학습이 아닌
    교육이 필요한겁니다..

  • 4. 가을
    '14.6.16 10:12 AM (125.176.xxx.179)

    표현의 자유에는 언제나 책임이 따르죠..

  • 5. ..
    '14.6.16 10:29 AM (14.47.xxx.165)

    인문학 중요하죠.
    문창극 논문에 드러난 논리전개가 얼마나 허술한 비약에 의존하는지... 코웃음 칠 일입니다.
    오죽하면 인천교육청에서 나쁜 칼럼의 예로 간택되는 영광을 누렸겠습니까.

    "국제사회에서 제 몫을 하려면 책임의식이 높아져야 한다"며
    "약소국인 우리가 강대국 때문에, 제국주의 야욕 때문에, 자본주의 지배체제 때문에 잘못될 수밖에 없었다는 식의 논리는 핑곗거리는 되겠지만 나라를 바로세우지는 못한다"고 강조했다.
    --------------------------------------------------------------------------------------
    출처 : http://news1.kr/articles/1722220

    문창극 "70년대 이후 반미감정, 한국인 잘못된 시각 탓"
    서울대 박사논문서 "美 국제관계 대상 아닌 감정적으로 봐"
    "도움은 받으면서 간섭 등 대가에는 반발…천진난만한 생각"

  • 6. 루핀
    '14.6.16 10:51 AM (223.62.xxx.86)

    일베는 어느날 갑자기 튀어나온 별종이 아니네요. 저런 인간들에 의해 길러진 우리 시대 추한 모습들...
    저런 괴물들에 의해 지배되고 있는 우리 미래가 두렵네요.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94935 이회사 다녀야할까요?? 10 고민중 2014/07/02 2,415
394934 돌아가신 엄마가 꿈에 나왔는데요.. 2 +-x 2014/07/02 2,172
394933 이준석 ”내가 같이 일했던 분이 맞나 싶다” 박근혜 대통령 직격.. 21 세우실 2014/07/02 4,377
394932 43세인데 팔에서 열이 나는 느낌 4 경상도가시나.. 2014/07/02 1,982
394931 코스트코에 평일 저녁때 가도 사람 많나요?? 3 코스트코 2014/07/02 1,822
394930 디자인 관련된 일을 하시는 분 3 디자인 2014/07/02 1,660
394929 비만세? 수인선 2014/07/02 1,076
394928 문방구 용품 기증할곳이 없나요?? 2 문방구 2014/07/02 1,416
394927 그릇 닦는 수세미로 배수구 까지 닦나요? 25 오~ 놀라워.. 2014/07/02 4,804
394926 대학생이 해외에서 엄마 신용카드 쓰려면?? 11 해외 신용카.. 2014/07/02 3,640
394925 남편한테 생일 선물 뭐 받을까요??? 19 새댁 2014/07/02 2,713
394924 오이잎사귀가 낙엽처럼 말라버리는 이유가 뭔지 아시는분 계신가요?.. 4 주말농장 2014/07/02 1,483
394923 유튜브 보다가 그냥 절로 눈물이 나오네요. 3 아!장국영 2014/07/02 1,454
394922 종아리알 어떻게 라인 정리하나요? 6 하비 2014/07/02 3,416
394921 사람이 평생 사기만 안당하고 살아도 성공한 인생 10 사기 2014/07/02 3,034
394920 고딩 기말 에서 예체능이요~ 4 고딩엄마 2014/07/02 1,661
394919 기말 시험 ᆢ범위가 너무많아요 1 무계획 2014/07/02 1,204
394918 세탁기 물이 하수구로 바로 안 들어가고 베란다로 다 나와요 4 물바다 2014/07/02 5,760
394917 '청와대, 세월호 사고직후 해수부장관에 아무 연락 없었다' 12 국정조사 2014/07/02 1,770
394916 이래서 다들 집을 사는군요... 4 집구하자! 2014/07/02 4,220
394915 인물론으로 승부한다더니 인물이 없다 세우실 2014/07/02 974
394914 이곳에서 본거같은데 아시는분 꼭 좀 도와주세요. 4 재활용 2014/07/02 1,162
394913 mbn쓰레기네요 3 쓰레기 2014/07/02 1,680
394912 상해 한나절 시내 구경 추천해주세요. 2 여행 2014/07/02 1,397
394911 ‘제2의 길환영’ 만들기로 가는 KBS 1 샬랄라 2014/07/02 1,6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