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시어머니 유품을 받으신 분들 있으신가요?

싱글이 조회수 : 3,960
작성일 : 2013-12-30 13:01:09

올케 언니가 얼마전에 올해 결혼 12주년이었더랬는데 약 4년전에 돌아가신 시어머니(저의 어머니)로 부터

받은 유품이 없습니다.

(여기서 유품이라고 하면 가구, 그릇, 보석등을 말하는 것으로서 어머니가 좀 유복하게 사신 편으로

가구, 그릇 등은 누구나 탐나할 정도로 수집을 하셨을것 같습니다.)

 

요는 제가 미혼이라 어머니 돌아가신 후에 아버지를 모시고 함께 사는 관계로 어머니 물건이 그대로 집에 있는데

언젠가는 어머니 유품이 조카에게 가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아버지, 사촌언니 모두 엄마 유품은 당연히 딸이 모두 갖는 거라고 하시는데 저도 별로 물욕도 없고 외국으로

다시 나갈 기회도 생길것 같아 미리 정리를 좀 하고 싶은 마음이 요즘 들어 커졌는데 혹시 경험 있으신 분들

공유부탁드립니다.

 

시어머니가 쓰시던 물건 중 값나가는 것들은 전부 딸 차지가 되었는지 아니면 어떠한 절차를 거쳐서 집에서

형제간에 분배했는지..

IP : 211.195.xxx.140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모시고 사는 사람이
    '13.12.30 1:07 PM (180.65.xxx.29)

    알아서 처분 하는거죠

  • 2. ..
    '13.12.30 1:12 PM (121.162.xxx.218)

    올케는 별로 받고 싶지 않을 수도 있어요.

    오빠와 올케한테 혹시 간직하거나 갖고 싶은 거 있는지 물어보고 가져가라 하고요.
    나머지는 딸들이나 다른 형제들이 알아서 처분하면 됩니다.

  • 3. 언제고 그 유품은
    '13.12.30 1:15 PM (58.143.xxx.49)

    매매되지 않을까요? 어머니를 기억할 한 두가지 진짜 중요한것은 빼고 님이 정리하셔서 그냥 쓰심이
    좋을것 같습니다. 전 올케겸 시누입니다. 딱 중간에서 의견이구요.
    조카에게 까지 물려질 이유는 없다고 봅니다. 그냥 할머니와 어려서 나눈 기억으로 충분하던데요.

  • 4. ..
    '13.12.30 1:25 PM (121.162.xxx.218)

    사실 그릇 같은 것은 비싸게 주고 샀더라도 좋은 가격 받고 팔기 힘들어요.
    가구도 마찬가지이구요.
    특별한 골동품이지 않는 이상 재산처럼 보관하기는 어려워요.

    딸인 원글님에게는 특별한 물품이겠지만 남들에게까지 의미있는 것은 아니니까요.
    조카도 별 감흥은 없을겁니다.

    좀 귀하거나 형제들이 선호하는 물품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아까워도 처분하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 5. 오픈
    '13.12.30 1:38 PM (1.229.xxx.168)

    새언니에게 엄마의 유품중 가지고 싶은 물품은 가지라고 말씀하세요.
    윗님들 말대로 가구와 그릇은 취향과 유행이 있으니 어쩔지 모르겠지만
    보석은....
    님과 새언니와 같이 나누셔도 좋을듯하네요.

  • 6. 흰둥이
    '13.12.30 2:27 PM (203.234.xxx.81)

    며느리로서 시어머니 돌아가신 뒤 유품은 모두 시누이 처분,, 전혀 서운하지 않아요
    다만 제가 딸이라면 원하는 거 가지라고 말한 뒤 어머니 보석류 중 괜찮은 반지나 목걸이 뭐 이런 거 하나쯤은 상징적으로 며느리에게 전해줄 것 같아요.
    그런데 며느리가 시어머니 모시고 살았을 경우는 잘 모르겠네요

  • 7. 저희
    '13.12.30 3:58 PM (121.134.xxx.30) - 삭제된댓글

    시누이는 오빠는 아무것도 손도 못대게 하더군요.
    어머니,아버지 유품 다 자기꺼라고.
    며느리인 저..시엄머니한테 뭐하나 물려받은것 없네요.
    코렐 냄비하나 가져가 쓸거냐고 묻긴하더군요
    큰 인심쓰듯. 어머니 유품에는 돌아가신 아버지 유품도 다 포함된건데,다 자기가 갖겠다고하네요.
    아들은 돈만 해준 은행이었고,

  • 8. 그냥
    '13.12.30 6:55 PM (121.134.xxx.201)

    시부모와 십여년을 같이 살았었는데도 돌아가시고 나니 싹 챙겨갔어요. 심지어 결혼 할때 제가 해왔던 이불,

    은수저, 패물까지 챙겨가더라구요. 정떨어져서 안봅니다. 남편한테도 통보했어요. 니네 누나들 그거 먹고

    떨어지라고. 난 이제 안 볼거라구요.

  • 9. ,,,
    '13.12.30 8:26 PM (203.229.xxx.62)

    정리 하기전에 올케나 오빠에게 물려 받고 싶은것 없냐고 물어 보고
    정리 하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47268 살림 좋아하시는 주부님들, 도와주세요 1 밥먹자 2014/01/27 1,324
347267 요지경이네요. 내 주변에는 부모한테 되려 받는 10 부모 용돈 .. 2014/01/27 2,723
347266 저는 허리띠입니다 15 우연의 일치.. 2014/01/27 4,168
347265 명동역에서 명동성당까지 걸어 가는데 오래 걸리나요? 9 ... 2014/01/27 3,010
347264 고3 수학학원 안 다니고 혼자 공부하는거 어떤가요 12 수학 2014/01/27 6,341
347263 피임약복용후 폭풍같은 ㅅㄹ 를해요. 4 고민 2014/01/27 3,383
347262 이사할때 붙박이장은 어떻게 하나요? 3 이사 2014/01/27 3,744
347261 손가락을~푹,,,,,ㅜ 2 미싱 하다가.. 2014/01/27 1,106
347260 영화 변호인 까려고 똥을 싸는 TV조선 강적들 3 손전등 2014/01/27 1,657
347259 초등입학선물로 간단한거 뭐 있을까요? + 현금 12 랄라 2014/01/27 1,904
347258 AI나 구제역 이동금지요 그거 축산업자만 해당인가요?정육점은 2014/01/27 659
347257 남편과 사이가 좋지 못한데 5 노스텔쟈 2014/01/27 2,939
347256 지방사는 서울분들한테 궁금합니다. 4 히야신스 2014/01/27 1,588
347255 숫자쓰기... 6 .. 2014/01/27 1,883
347254 거위털이불 이불 2014/01/27 1,070
347253 '별그대' 30일 결방, SBS "명절 분위기 맞춰 특.. 8 아놔~!! 2014/01/27 2,617
347252 닭 키우는 시댁에 설에 다들 가시나요? 29 걱정 2014/01/27 4,051
347251 나이들어 취직하기 8 50 대 취.. 2014/01/27 2,605
347250 30대 초반 미혼여성 위한 처세술?자기계발서? 추천 좀해주세요 2 내 인생은 .. 2014/01/27 1,847
347249 오랫만의 대화...피곤함을 느꼈어요.. 61 /// 2014/01/27 14,720
347248 이러면 재수 없나요? 4 칭찬 2014/01/27 1,484
347247 며칠전 다음 메인에 현미가 몸에 안좋다는 기사 보신분 계세요?.. 44 어렵다 2014/01/27 18,424
347246 30넘은 미혼 조카들 6 세배돈 2014/01/27 3,278
347245 자연드림우리밀피자 드셔보신분? 6 피자땡겨 2014/01/27 1,996
347244 홈쇼핑 쓰레기 과일 26 도와주세요 2014/01/27 8,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