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프로이트와 융 심리학이 학계에서 어느정도 인정을 받고 있나요?

마음 조회수 : 2,468
작성일 : 2013-05-12 19:16:15

좀 질문이 막연하지만..

심리학계에서는 비판적이라고 들은거 같은데 프로이트와 융심리학은 정설로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나요?

IP : 59.31.xxx.76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5.12 7:20 PM (121.160.xxx.45)

    정설이고 아니고를 떠나서
    이들의 이론은 '과학'이 아니예요.
    경험적 연구가 불가능하거든요.
    예를 들어 남근기에는 리비도가 남근에 집중된다는데, 과학적 데이터를 가지고 보여줄 수가 없죠.
    발달단계나 무의식, 아니마, 아니무스... 등등의 개념도 그렇구요.

  • 2. ㅡㅡ
    '13.5.12 7:20 PM (115.126.xxx.69)

    미술 영화 문학 등등...프로이트 이론이 뻗치지 않은
    영역이 있나여...융도 프로이트만큼은 아니지만...
    프로이트에서 한 발 나아간 ..라캉도 그렇고

  • 3.
    '13.5.12 7:22 PM (182.215.xxx.19)

    증명이 불가능하니 수준이하 취급을 받는 모앙이에요
    근데 전 갈수록 끌립디다

  • 4. ...
    '13.5.12 7:24 PM (121.160.xxx.45)

    스타노비치의 책 '심리학의 오해'라는 책을 보면 왜 프로이트 이론이 과학이 아닌지 잘 설명해 줍니다. 실제로 지난 십년간 미국의 주요 심리학술지에 발표된 논문들을 보면 정신분석학을 다룬 것은 다섯 손가락안에 든대요.

  • 5. dd
    '13.5.12 7:36 PM (125.179.xxx.138)

    프로이트는 애초에 '인정'을 받고 말고의 대상이 아니예요.
    심리학의 창시자인데..;;;;;;;;;

    프로이트의 가설로서 굉장히 많은 인간들의 행동관계를 설명할 수 있었습니다.
    물론 100프로 설명할 순 없고 그 안에서 끊임없는 논쟁이있지요.

    심리학또한 학문의 영역이니 다를것 없습니다.
    끊임없이 보강되고 대체되고. 뭐 그렇죠.

    하지만 이런건 있습니다 1960년대 한창 미국유럽등에서 정신분석이 유행했다가
    지금은 많이 주춤한 상태이지요.
    대신 요샌 영성? 뭐 이런게 뜬다는..
    조만간 우리나라에도 들어오겠죠.

  • 6. +++
    '13.5.12 7:54 PM (121.155.xxx.82)

    프로이트학회나 융학회는 존재하고 일부 정신과 의사들도 회원으로 가입이 되어 있어요.

    그리고 심리학의 창시자는 빌헬름 분트라는 학자입니다.
    분트 이전에는 심리학이 따로 존재하지 않았고 철학에 포함이 되어있었는데 심리학이 철학에서 떨어져 나온거죠.

    프로이트나 융이 사이비 취급을 받는건 인간의 마음에 대한 그들의 설명방식이 비과학적이기 때문입니다.
    무의식은 뇌가 덜발달하고 논리력이 떨어지는 유아기 아이들이 외부상황이나 정보를 즉흥적으로
    학습하면서 불안정하게 뇌에 저장이 되다가 그게 성인이 되어서도 유년기의 기억들이 이따금씩 튀어나오는데
    프로이트나 융은 무의식을 과학적으로 설명하는게 아니라 형이상학적으로 설명을 하는겁니다.
    프로이트나 융의 설명방식은 순전히 자의적입니다.
    특히 융의 설명은 형이상학적 설명을 초월해서 종교적이기까지 해요.
    융의 동시성개념도 완전히 공상과학 수준입니다.

  • 7. +++
    '13.5.12 8:14 PM (121.155.xxx.82)

    그리고 프로이트의 무의식도 비과학적이지만 융의 집단 무의식은 완전히 과학과 정반대의 주장입니다.
    프로이트나 융의 사상은 심리학에서는 사실상 사장된 학설입니다.
    프로이트와 융학설은 현대심리학이나 신경과학등의 뇌과학과 공통점이 없어요.
    대신에 문학이나 예술 종교에서는 여전히 인기가 많습니다.

  • 8. .
    '13.5.12 9:02 PM (193.83.xxx.77)

    프로이드가 유태인이니까 그나마 아직까지 근근이 맥락이 이어오고 있는거죠. 이 사람 많이 틀린 가설을 내세웠어요. 프로이드 자체가 약빨고 글 쓰던 사람인데요.
    정신분석은 뇌과학을 모를때나 그런갑다로 취급되었던거지, 요즘은 그냥 설입니다.

  • 9. 편견
    '13.5.12 10:04 PM (67.87.xxx.133)

    무의식을 다룬 심리학인데 물리학이랑 접점있습니다. 영혼의심리학이죠. 의식심리학에서 보는 거대한 편견입니다.
    인간의 정신을 과학이 '아직' 탐구하지 못한것뿐이죠.

  • 10. ..
    '13.5.12 10:20 PM (203.226.xxx.92)

    사이비과학의 피난처가 양자물리학인데 양자물리학은 무의식이나 정신과 아무 상관없습니다.

  • 11. ...
    '13.5.12 11:01 PM (211.32.xxx.239)

    명상이나 뉴에이지 과학하는 사람들이 인간의 정신이 물리학과 접점이 있다고 주장하긴 하죠.

  • 12. ㅊㅊ
    '13.5.13 5:33 AM (125.181.xxx.204) - 삭제된댓글

    이미 죽어 증명 안돼는 남이 해놓은 없적 가지고 이러니 저러니 전세계의 학자인 지들도 철학하고 심리하며 그들거 가지고 공부헤 박사되고 교수 됐으면서 원 그리 잘났으면 융. 프로이트 뛰어넘는 실력이나 되던가...
    그시절 그때에 그만큼의 실력과 생각....지금도 못뛰어 넘는 주제들이 ...남거 비판과 비아냥들은 잘해요. 그리 할일 없음 지들도 융. 프로이트
    처럼 과학적 시대에 그들 뛰어넘는 연구하여 발표나 하던가.

  • 13. 이름도
    '13.5.13 5:38 AM (125.181.xxx.204) - 삭제된댓글

    융. 프로이드 참 잘지었어요. 중학생만 되도 교과서에 저 두이름 실리기 시작해서 전세계 어디서든 꼭 짚고 넘어가는 사람들이잖아요.

  • 14. mn
    '13.5.13 8:41 AM (59.31.xxx.37)

    프로이트(융도 마찬가지 일테고..)는 경제/정치학에서 칼 막스 같은 위치입니다.
    유명하기는 유명한데 그냥 이름 값밖에 없는거죠.
    그나마 막스는 정치분야니까 좀 상황이 이해가 되지만 심리학이론은 과학적으로 설명해야하는데
    프로이트와 융은 이 기준에 부합하지 못하는 수준미달의 설명을 한겁니다.
    프로이트는 막스처럼 지금도 연구하는 학자들은 많을겁니다만 이들이 정치, 역사, 예술, 문학등에 많은
    영향을 끼쳤기 때문에 연구할 가치가 있는거지.
    현대심리학자들이 프로이트나 융보다 실력이 못하다는건 대단한 착각이죠.
    프로이트와 융의 학설이 가당키나 한가요?
    정작 자신의 전공분야학계에서는 찬밥신세입니다.

  • 15. mn
    '13.5.13 8:50 AM (59.31.xxx.37)

    프로이트와 융이 인간의 마음에 대해 밝혀낸건 아무것도 없습니다.
    상상력이 기발하기는 하지만 그러면 뭐하나요?
    비과학적인데..

    그리고 현대심리학은 프로이트와 융을 뛰어넘는 연구를 진행하고 발표한지 이미 오래되었습니다.
    인간의 마음에 대한 수많은 미스테리와 수수께끼가 풀렸죠.
    이 미스테리와 수수께끼를 푸는데 프로이트와 융의 학설은 아무런 역활도 하지 못했고
    심리학과 뇌과학이 발전할수록 프로이트와 융의 학설은 과학적 연구결과와 점점 멀어지게 되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69617 사십대이신분들 조언주세요ㅠ 2 그냥가지마시.. 2013/06/26 1,401
269616 주식 요즘 어떠세요? 10 지금은 내수.. 2013/06/26 2,370
269615 명탐정코난 - 신란커플 좋아하시는 분 안계세요..?? ㅋㅋ 12 수니 2013/06/26 2,711
269614 유럽 휴양지 추천 32 어디가지.... 2013/06/26 4,728
269613 스페인에 사시는 분 계세요 스페인 2013/06/26 1,022
269612 염증 자궁 2013/06/26 527
269611 국내여행 패키지 소개해주세요 2 한국이좋아 2013/06/26 902
269610 밥물 하시는 분들 계셔요? 3 floral.. 2013/06/26 2,434
269609 2주가 지난 상추가 너무 싱싱해요 17 마트에서 산.. 2013/06/26 2,534
269608 아이의 수학 수준이 궁금합니다 6 어떤지요 2013/06/26 1,116
269607 유럽 가셨던 분들께 질문 24 ///// 2013/06/26 3,106
269606 돈 씀씀이가 헤픈 남자 어떻게 생각하세요? 8 ㅇㅇ 2013/06/26 2,851
269605 영어문제해석좀해주세요ㅠ 5 힐링이필요해.. 2013/06/26 577
269604 대선때 정치글 지겹다던 박그네 지지자들 14 박그네꺼져 2013/06/26 1,363
269603 이럴 때 어떻게 해야 될까요?(전세금 문제) 2 내집은언제 2013/06/26 638
269602 미국에서 반지의 의미 5 궁금이 2013/06/26 1,830
269601 5살 막내 어금니가 썩었어요~ 어떻해야 되나요?? 3 치아 2013/06/26 932
269600 페이스북 창업자와 그의 부인.. 7 때아닌촌티논.. 2013/06/26 2,549
269599 기아자동차 레이 타시는 분들 꼭 봐주세요. 1 지나치지마시.. 2013/06/26 1,178
269598 전국, 각계 시국선언, 고교생도 시국선언 참가 1 손전등 2013/06/26 663
269597 각질제거팩 두시간 했는데 3 2013/06/26 2,210
269596 노무현님과 NLL에 대해 설명,요약본 없을까요? 7 아빠에게설명.. 2013/06/26 901
269595 과자나 빵 쿠키 이런거 좋아하는분 계세요? 7 ... 2013/06/26 1,254
269594 pc방 운영해보신분 계실까요? 창업하고 싶어서요 1 궁금 2013/06/26 713
269593 오후에 시간나시면 글 일베나 국정원 댓글요원인가 봐요 15 조작조작 2013/06/26 6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