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항암치료시 발생하는 식욕부진, 육군자탕으로 치료

암행어사0985 조회수 : 1,394
작성일 : 2013-05-10 11:37:44

권 승 원
육군 한의군의관
한방내과 전문의

일본 한방은 의사들이 바라보는 한의학이어서인지 우리와 관점 차이가 있다. 암 치료에 있어 그 특징이 나타나는데, 일본 의사들은 한약을 사용하여 암을 직접 치료하려 하지 않는다. 엄밀히 말하자면 한약으로 암 세포를 사멸시키려 하지 않는 것이다.

대신, 항암제의 작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또는 항암제의 부작용 예방 또는 부작용 치료를 통한 항암제 순응도를 높이기 위해 한약을 주로 사용하고, 연구하고 있다. 이것은 국내 한의사들의 관심사가 몇몇 약재나 처방 구성의 항암효과에 집중되는 경향과는 좀 다른 방향이다.



하지만, 국내 암 치료 시장과 항암요법 적용 실태를 고려할 때, 좋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항암 서포트 치료로서 한의치료를 적용시킨다면, 이것은 매우 큰 시장이며, 우리에게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문제는 한의치료가 항암 치료 효과를 정말 극대화시킬 수 있는가와 한의치료와 항암제 치료간의 순상호작용 뿐 아니라 ‘역’상호작용이 없는지에 대한 데이터가 충분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실제 임상에서 암 환자에게 한의치료를 시행할 때 막연히 투약하기 보다는 명확한 목표를 잡아 투약하고 환자에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이런 생각을 하게 만들어 준 계기가 있었다.

병원 수련시절, 뇌종양 환자가 신경외과에서 전과된 적이 있었다. 한약치료를 하다가도 정기적인 항암치료 시기가 되면, 한약은 끊길 원했다. 보호자는 피부과 의사였는데, 상당히 고가인 항암제에 혹시나 한약이 상호작용을 일으켜 약효를 제대로 발휘할 수 없을까봐 환자 및 보호자가 전전긍긍했던 기억이 있다. 당시 이 피부과 의사는 상당히 한약에 호의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보호자 입장에서 혹시나 하는 우려를 지속했었다. 이러한 환자 및 보호자를 보며, 추후 축적된 효과 및 안전성에 대한 데이터를 통해 치료에 대한 순응도를 높여줘야 할 것으로 생각했다.



현재, 다양한 한약(십전대보탕, 반하사심탕, 우차신기환 등)에 대한 연구결과가 축적되어 있다. 오늘은 일단, 항암치료시 발생하는 부작용 증상에 대한 한의치료의 효과와 관련된 연구 중 하나인 항암치료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부작용인 식욕부진에 대한 육군자탕의 효과에 관한 연구결과이다. 이 내용은 2012년 10월 일본 요코하마에서 개최된 제50회 일본암치료학회 학술집회에서 소개된 내용이다.

「위암치료 가이드라인」(일본 위암학회편, 2010년)에서는 절제불능, 재발위암에 대한 항암요법으로 S-1+시스플라틴(CDDP) 병용요법을 제1선택으로 추천하고 있다. 하지만, CDDP에 의해 발생하는 식욕부진은 치료 유지를 매우 방해하므로 암 치료 시 큰 장애물이 된다.

오심·구토에 대해서는 「제토약 적정 사용 가이드라인」(일본암치료학회편, 2010년)에 기초한 제토요법으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생각되고 있으나, 식욕부진에 대한 표준적 치료법은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다.



S-1+CDDP 요법의 부작용인 식욕부진은 내인성 성장 호르몬 분비물질(GHS)인 그렐린 (ghrelin)의 혈중 농도 저하가 영향을 준다고 추측되고 있으며, 한방약인 육군자탕(六君子湯)을 통한 혈중 그렐린 농도 저하억제효과가 개선을 도울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었다. 이 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桑野博行 선생은 CDDP에 의해 유발되는 식욕부진에 대한 六君子湯 투여 효과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대상은 군마(群馬)대학병원에서 2009년부터 2010년에 걸쳐, S-1+CDDP 병용요법을 시행한 절제불능·재발 위암 증례 (10례)이었으며, 시험방법은 크로스 오버 시험으로 六君子湯 7.5g을 세 번 나누어 투여한 군 (A군 : n = 5)과, 비투여군 (B군 : n = 5)으로 나누어, 각 군의 효과를 집계하였다. 그 후, A군과 B군을 크로스 오버로 2코스를 비교했다 (六君子湯 투여 10례, 六君子湯 비투여군 10례).

S-1은 80mg/m2/일로 21일간 투여 후, 휴약기간 (14일)을 두었고, day 35에서부터 투약 8일, 휴약 14일의 스케줄을 반복하였다. CDDP는 S-1 투약 중 day 8에 정주 투여하였다. 그 외, 전 증례에 CDDP 정주 1시간 전에 덱사메타손 (Dexamethasone) (16mg) 투여, 제토제 (granisetron) 정주를 시행하였고, 덱사메타손 (8mg)은 day 9, day 10에도 추가 투여하였다.

평가항목은 CDDP 투여 전과 CDDP 투여 후 3시간의 혈중 세로토닌 농도, 혈중 그렐린 농도, 투여 후 5일간의 평균 식사섭취량 (%), NCI-CTC 가이드라인 (CTCAE v3.0)에 기초한 식욕부진 (grade 0-4), 오심 (grade 0-3), 구토(grade 0-4)였고, 이것을 양 군간 비교하였다.

시험 결과, 혈중 그렐린 농도는 六君子湯 비투여군 (B군)에서 저하 경향을 보였다. 六君子湯 투여군 (A군)에서는 혈중 그렐린 농도 저하가 나타나지 않았다.

식사 섭취량은 六君子湯군에서 유효하게 증가하였고 (62.9% vs 39.4%, p=0.0496), 식욕부진은 유의하게 호전되었다 (grade 2.2 vs 1.2, p=0.0441). 오심, 구토는 유의한 차를 보이지 않았으나, 六君子湯군에서 나은 경향을 보였다.



암 화학요법에 의한 식욕부진은 장벽 EC세포에서 5-HT가 분비되어, 위의 5-HT2b/2c 수용체를 자극하기 때문에 생긴다고 메커니즘이 보고되어 있다. 六君子湯은 위의 5-HT2b/2c 수용체에 길항하여 그렐린 분비저해를 억제하고, 식욕부진을 개선하여 식욕을 유지시킨다고 생각된다. 본 검토를 통해 六君子湯은 항암치료 환자의 혈중 그렐린 농도 저하를 억제시켜 식욕부진을 개선, 오심·구토를 억제하며, 암 화학요법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게 하여 환자분의 양호한 임상적 결과, 치료성공기간 (TTF)의 연장에 기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록 적은 수의 대상자를 가진 연구였지만, 이런 데이터의 축적을 통해 항암치료시 한약 투여에 대한 신뢰감이 올라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추가적인 연구 뿐 아니라 임상 현장에서의 항암제 부작용 한의 치료에 대한 관심을 통해 치료 영역을 확장해간다면 내과영역에서의 한의치료 진료 비중도 보다 더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권 승 원
육군 한의군의관
한방내과 전문의

일본 한방은 의사들이 바라보는 한의학이어서인지 우리와 관점 차이가 있다. 암 치료에 있어 그 특징이 나타나는데, 일본 의사들은 한약을 사용하여 암을 직접 치료하려 하지 않는다. 엄밀히 말하자면 한약으로 암 세포를 사멸시키려 하지 않는 것이다.

대신, 항암제의 작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또는 항암제의 부작용 예방 또는 부작용 치료를 통한 항암제 순응도를 높이기 위해 한약을 주로 사용하고, 연구하고 있다. 이것은 국내 한의사들의 관심사가 몇몇 약재나 처방 구성의 항암효과에 집중되는 경향과는 좀 다른 방향이다.



하지만, 국내 암 치료 시장과 항암요법 적용 실태를 고려할 때, 좋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항암 서포트 치료로서 한의치료를 적용시킨다면, 이것은 매우 큰 시장이며, 우리에게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문제는 한의치료가 항암 치료 효과를 정말 극대화시킬 수 있는가와 한의치료와 항암제 치료간의 순상호작용 뿐 아니라 ‘역’상호작용이 없는지에 대한 데이터가 충분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실제 임상에서 암 환자에게 한의치료를 시행할 때 막연히 투약하기 보다는 명확한 목표를 잡아 투약하고 환자에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이런 생각을 하게 만들어 준 계기가 있었다.

병원 수련시절, 뇌종양 환자가 신경외과에서 전과된 적이 있었다. 한약치료를 하다가도 정기적인 항암치료 시기가 되면, 한약은 끊길 원했다. 보호자는 피부과 의사였는데, 상당히 고가인 항암제에 혹시나 한약이 상호작용을 일으켜 약효를 제대로 발휘할 수 없을까봐 환자 및 보호자가 전전긍긍했던 기억이 있다. 당시 이 피부과 의사는 상당히 한약에 호의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보호자 입장에서 혹시나 하는 우려를 지속했었다. 이러한 환자 및 보호자를 보며, 추후 축적된 효과 및 안전성에 대한 데이터를 통해 치료에 대한 순응도를 높여줘야 할 것으로 생각했다.



현재, 다양한 한약(십전대보탕, 반하사심탕, 우차신기환 등)에 대한 연구결과가 축적되어 있다. 오늘은 일단, 항암치료시 발생하는 부작용 증상에 대한 한의치료의 효과와 관련된 연구 중 하나인 항암치료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부작용인 식욕부진에 대한 육군자탕의 효과에 관한 연구결과이다. 이 내용은 2012년 10월 일본 요코하마에서 개최된 제50회 일본암치료학회 학술집회에서 소개된 내용이다.

「위암치료 가이드라인」(일본 위암학회편, 2010년)에서는 절제불능, 재발위암에 대한 항암요법으로 S-1+시스플라틴(CDDP) 병용요법을 제1선택으로 추천하고 있다. 하지만, CDDP에 의해 발생하는 식욕부진은 치료 유지를 매우 방해하므로 암 치료 시 큰 장애물이 된다.

오심·구토에 대해서는 「제토약 적정 사용 가이드라인」(일본암치료학회편, 2010년)에 기초한 제토요법으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생각되고 있으나, 식욕부진에 대한 표준적 치료법은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다.



S-1+CDDP 요법의 부작용인 식욕부진은 내인성 성장 호르몬 분비물질(GHS)인 그렐린 (ghrelin)의 혈중 농도 저하가 영향을 준다고 추측되고 있으며, 한방약인 육군자탕(六君子湯)을 통한 혈중 그렐린 농도 저하억제효과가 개선을 도울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었다. 이 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桑野博行 선생은 CDDP에 의해 유발되는 식욕부진에 대한 六君子湯 투여 효과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대상은 군마(群馬)대학병원에서 2009년부터 2010년에 걸쳐, S-1+CDDP 병용요법을 시행한 절제불능·재발 위암 증례 (10례)이었으며, 시험방법은 크로스 오버 시험으로 六君子湯 7.5g을 세 번 나누어 투여한 군 (A군 : n = 5)과, 비투여군 (B군 : n = 5)으로 나누어, 각 군의 효과를 집계하였다. 그 후, A군과 B군을 크로스 오버로 2코스를 비교했다 (六君子湯 투여 10례, 六君子湯 비투여군 10례).

S-1은 80mg/m2/일로 21일간 투여 후, 휴약기간 (14일)을 두었고, day 35에서부터 투약 8일, 휴약 14일의 스케줄을 반복하였다. CDDP는 S-1 투약 중 day 8에 정주 투여하였다. 그 외, 전 증례에 CDDP 정주 1시간 전에 덱사메타손 (Dexamethasone) (16mg) 투여, 제토제 (granisetron) 정주를 시행하였고, 덱사메타손 (8mg)은 day 9, day 10에도 추가 투여하였다.

평가항목은 CDDP 투여 전과 CDDP 투여 후 3시간의 혈중 세로토닌 농도, 혈중 그렐린 농도, 투여 후 5일간의 평균 식사섭취량 (%), NCI-CTC 가이드라인 (CTCAE v3.0)에 기초한 식욕부진 (grade 0-4), 오심 (grade 0-3), 구토(grade 0-4)였고, 이것을 양 군간 비교하였다.

시험 결과, 혈중 그렐린 농도는 六君子湯 비투여군 (B군)에서 저하 경향을 보였다. 六君子湯 투여군 (A군)에서는 혈중 그렐린 농도 저하가 나타나지 않았다.

식사 섭취량은 六君子湯군에서 유효하게 증가하였고 (62.9% vs 39.4%, p=0.0496), 식욕부진은 유의하게 호전되었다 (grade 2.2 vs 1.2, p=0.0441). 오심, 구토는 유의한 차를 보이지 않았으나, 六君子湯군에서 나은 경향을 보였다.



암 화학요법에 의한 식욕부진은 장벽 EC세포에서 5-HT가 분비되어, 위의 5-HT2b/2c 수용체를 자극하기 때문에 생긴다고 메커니즘이 보고되어 있다. 六君子湯은 위의 5-HT2b/2c 수용체에 길항하여 그렐린 분비저해를 억제하고, 식욕부진을 개선하여 식욕을 유지시킨다고 생각된다. 본 검토를 통해 六君子湯은 항암치료 환자의 혈중 그렐린 농도 저하를 억제시켜 식욕부진을 개선, 오심·구토를 억제하며, 암 화학요법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게 하여 환자분의 양호한 임상적 결과, 치료성공기간 (TTF)의 연장에 기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록 적은 수의 대상자를 가진 연구였지만, 이런 데이터의 축적을 통해 항암치료시 한약 투여에 대한 신뢰감이 올라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추가적인 연구 뿐 아니라 임상 현장에서의 항암제 부작용 한의 치료에 대한 관심을 통해 치료 영역을 확장해간다면 내과영역에서의 한의치료 진료 비중도 보다 더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권 승 원
육군 한의군의관
한방내과 전문의

일본 한방은 의사들이 바라보는 한의학이어서인지 우리와 관점 차이가 있다. 암 치료에 있어 그 특징이 나타나는데, 일본 의사들은 한약을 사용하여 암을 직접 치료하려 하지 않는다. 엄밀히 말하자면 한약으로 암 세포를 사멸시키려 하지 않는 것이다.

대신, 항암제의 작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또는 항암제의 부작용 예방 또는 부작용 치료를 통한 항암제 순응도를 높이기 위해 한약을 주로 사용하고, 연구하고 있다. 이것은 국내 한의사들의 관심사가 몇몇 약재나 처방 구성의 항암효과에 집중되는 경향과는 좀 다른 방향이다.



하지만, 국내 암 치료 시장과 항암요법 적용 실태를 고려할 때, 좋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항암 서포트 치료로서 한의치료를 적용시킨다면, 이것은 매우 큰 시장이며, 우리에게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문제는 한의치료가 항암 치료 효과를 정말 극대화시킬 수 있는가와 한의치료와 항암제 치료간의 순상호작용 뿐 아니라 ‘역’상호작용이 없는지에 대한 데이터가 충분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실제 임상에서 암 환자에게 한의치료를 시행할 때 막연히 투약하기 보다는 명확한 목표를 잡아 투약하고 환자에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이런 생각을 하게 만들어 준 계기가 있었다.

병원 수련시절, 뇌종양 환자가 신경외과에서 전과된 적이 있었다. 한약치료를 하다가도 정기적인 항암치료 시기가 되면, 한약은 끊길 원했다. 보호자는 피부과 의사였는데, 상당히 고가인 항암제에 혹시나 한약이 상호작용을 일으켜 약효를 제대로 발휘할 수 없을까봐 환자 및 보호자가 전전긍긍했던 기억이 있다. 당시 이 피부과 의사는 상당히 한약에 호의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보호자 입장에서 혹시나 하는 우려를 지속했었다. 이러한 환자 및 보호자를 보며, 추후 축적된 효과 및 안전성에 대한 데이터를 통해 치료에 대한 순응도를 높여줘야 할 것으로 생각했다.



현재, 다양한 한약(십전대보탕, 반하사심탕, 우차신기환 등)에 대한 연구결과가 축적되어 있다. 오늘은 일단, 항암치료시 발생하는 부작용 증상에 대한 한의치료의 효과와 관련된 연구 중 하나인 항암치료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부작용인 식욕부진에 대한 육군자탕의 효과에 관한 연구결과이다. 이 내용은 2012년 10월 일본 요코하마에서 개최된 제50회 일본암치료학회 학술집회에서 소개된 내용이다.

「위암치료 가이드라인」(일본 위암학회편, 2010년)에서는 절제불능, 재발위암에 대한 항암요법으로 S-1+시스플라틴(CDDP) 병용요법을 제1선택으로 추천하고 있다. 하지만, CDDP에 의해 발생하는 식욕부진은 치료 유지를 매우 방해하므로 암 치료 시 큰 장애물이 된다.

오심·구토에 대해서는 「제토약 적정 사용 가이드라인」(일본암치료학회편, 2010년)에 기초한 제토요법으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생각되고 있으나, 식욕부진에 대한 표준적 치료법은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다.



S-1+CDDP 요법의 부작용인 식욕부진은 내인성 성장 호르몬 분비물질(GHS)인 그렐린 (ghrelin)의 혈중 농도 저하가 영향을 준다고 추측되고 있으며, 한방약인 육군자탕(六君子湯)을 통한 혈중 그렐린 농도 저하억제효과가 개선을 도울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었다. 이 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桑野博行 선생은 CDDP에 의해 유발되는 식욕부진에 대한 六君子湯 투여 효과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대상은 군마(群馬)대학병원에서 2009년부터 2010년에 걸쳐, S-1+CDDP 병용요법을 시행한 절제불능·재발 위암 증례 (10례)이었으며, 시험방법은 크로스 오버 시험으로 六君子湯 7.5g을 세 번 나누어 투여한 군 (A군 : n = 5)과, 비투여군 (B군 : n = 5)으로 나누어, 각 군의 효과를 집계하였다. 그 후, A군과 B군을 크로스 오버로 2코스를 비교했다 (六君子湯 투여 10례, 六君子湯 비투여군 10례).

S-1은 80mg/m2/일로 21일간 투여 후, 휴약기간 (14일)을 두었고, day 35에서부터 투약 8일, 휴약 14일의 스케줄을 반복하였다. CDDP는 S-1 투약 중 day 8에 정주 투여하였다. 그 외, 전 증례에 CDDP 정주 1시간 전에 덱사메타손 (Dexamethasone) (16mg) 투여, 제토제 (granisetron) 정주를 시행하였고, 덱사메타손 (8mg)은 day 9, day 10에도 추가 투여하였다.

평가항목은 CDDP 투여 전과 CDDP 투여 후 3시간의 혈중 세로토닌 농도, 혈중 그렐린 농도, 투여 후 5일간의 평균 식사섭취량 (%), NCI-CTC 가이드라인 (CTCAE v3.0)에 기초한 식욕부진 (grade 0-4), 오심 (grade 0-3), 구토(grade 0-4)였고, 이것을 양 군간 비교하였다.

시험 결과, 혈중 그렐린 농도는 六君子湯 비투여군 (B군)에서 저하 경향을 보였다. 六君子湯 투여군 (A군)에서는 혈중 그렐린 농도 저하가 나타나지 않았다.

식사 섭취량은 六君子湯군에서 유효하게 증가하였고 (62.9% vs 39.4%, p=0.0496), 식욕부진은 유의하게 호전되었다 (grade 2.2 vs 1.2, p=0.0441). 오심, 구토는 유의한 차를 보이지 않았으나, 六君子湯군에서 나은 경향을 보였다.



암 화학요법에 의한 식욕부진은 장벽 EC세포에서 5-HT가 분비되어, 위의 5-HT2b/2c 수용체를 자극하기 때문에 생긴다고 메커니즘이 보고되어 있다. 六君子湯은 위의 5-HT2b/2c 수용체에 길항하여 그렐린 분비저해를 억제하고, 식욕부진을 개선하여 식욕을 유지시킨다고 생각된다. 본 검토를 통해 六君子湯은 항암치료 환자의 혈중 그렐린 농도 저하를 억제시켜 식욕부진을 개선, 오심·구토를 억제하며, 암 화학요법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게 하여 환자분의 양호한 임상적 결과, 치료성공기간 (TTF)의 연장에 기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록 적은 수의 대상자를 가진 연구였지만, 이런 데이터의 축적을 통해 항암치료시 한약 투여에 대한 신뢰감이 올라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추가적인 연구 뿐 아니라 임상 현장에서의 항암제 부작용 한의 치료에 대한 관심을 통해 치료 영역을 확장해간다면 내과영역에서의 한의치료 진료 비중도 보다 더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권 승 원
육군 한의군의관
한방내과 전문의

일본 한방은 의사들이 바라보는 한의학이어서인지 우리와 관점 차이가 있다. 암 치료에 있어 그 특징이 나타나는데, 일본 의사들은 한약을 사용하여 암을 직접 치료하려 하지 않는다. 엄밀히 말하자면 한약으로 암 세포를 사멸시키려 하지 않는 것이다.

대신, 항암제의 작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또는 항암제의 부작용 예방 또는 부작용 치료를 통한 항암제 순응도를 높이기 위해 한약을 주로 사용하고, 연구하고 있다. 이것은 국내 한의사들의 관심사가 몇몇 약재나 처방 구성의 항암효과에 집중되는 경향과는 좀 다른 방향이다.



하지만, 국내 암 치료 시장과 항암요법 적용 실태를 고려할 때, 좋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항암 서포트 치료로서 한의치료를 적용시킨다면, 이것은 매우 큰 시장이며, 우리에게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문제는 한의치료가 항암 치료 효과를 정말 극대화시킬 수 있는가와 한의치료와 항암제 치료간의 순상호작용 뿐 아니라 ‘역’상호작용이 없는지에 대한 데이터가 충분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실제 임상에서 암 환자에게 한의치료를 시행할 때 막연히 투약하기 보다는 명확한 목표를 잡아 투약하고 환자에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이런 생각을 하게 만들어 준 계기가 있었다.

병원 수련시절, 뇌종양 환자가 신경외과에서 전과된 적이 있었다. 한약치료를 하다가도 정기적인 항암치료 시기가 되면, 한약은 끊길 원했다. 보호자는 피부과 의사였는데, 상당히 고가인 항암제에 혹시나 한약이 상호작용을 일으켜 약효를 제대로 발휘할 수 없을까봐 환자 및 보호자가 전전긍긍했던 기억이 있다. 당시 이 피부과 의사는 상당히 한약에 호의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보호자 입장에서 혹시나 하는 우려를 지속했었다. 이러한 환자 및 보호자를 보며, 추후 축적된 효과 및 안전성에 대한 데이터를 통해 치료에 대한 순응도를 높여줘야 할 것으로 생각했다.



현재, 다양한 한약(십전대보탕, 반하사심탕, 우차신기환 등)에 대한 연구결과가 축적되어 있다. 오늘은 일단, 항암치료시 발생하는 부작용 증상에 대한 한의치료의 효과와 관련된 연구 중 하나인 항암치료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부작용인 식욕부진에 대한 육군자탕의 효과에 관한 연구결과이다. 이 내용은 2012년 10월 일본 요코하마에서 개최된 제50회 일본암치료학회 학술집회에서 소개된 내용이다.

「위암치료 가이드라인」(일본 위암학회편, 2010년)에서는 절제불능, 재발위암에 대한 항암요법으로 S-1+시스플라틴(CDDP) 병용요법을 제1선택으로 추천하고 있다. 하지만, CDDP에 의해 발생하는 식욕부진은 치료 유지를 매우 방해하므로 암 치료 시 큰 장애물이 된다.

오심·구토에 대해서는 「제토약 적정 사용 가이드라인」(일본암치료학회편, 2010년)에 기초한 제토요법으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생각되고 있으나, 식욕부진에 대한 표준적 치료법은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다.



S-1+CDDP 요법의 부작용인 식욕부진은 내인성 성장 호르몬 분비물질(GHS)인 그렐린 (ghrelin)의 혈중 농도 저하가 영향을 준다고 추측되고 있으며, 한방약인 육군자탕(六君子湯)을 통한 혈중 그렐린 농도 저하억제효과가 개선을 도울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었다. 이 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桑野博行 선생은 CDDP에 의해 유발되는 식욕부진에 대한 六君子湯 투여 효과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대상은 군마(群馬)대학병원에서 2009년부터 2010년에 걸쳐, S-1+CDDP 병용요법을 시행한 절제불능·재발 위암 증례 (10례)이었으며, 시험방법은 크로스 오버 시험으로 六君子湯 7.5g을 세 번 나누어 투여한 군 (A군 : n = 5)과, 비투여군 (B군 : n = 5)으로 나누어, 각 군의 효과를 집계하였다. 그 후, A군과 B군을 크로스 오버로 2코스를 비교했다 (六君子湯 투여 10례, 六君子湯 비투여군 10례).

S-1은 80mg/m2/일로 21일간 투여 후, 휴약기간 (14일)을 두었고, day 35에서부터 투약 8일, 휴약 14일의 스케줄을 반복하였다. CDDP는 S-1 투약 중 day 8에 정주 투여하였다. 그 외, 전 증례에 CDDP 정주 1시간 전에 덱사메타손 (Dexamethasone) (16mg) 투여, 제토제 (granisetron) 정주를 시행하였고, 덱사메타손 (8mg)은 day 9, day 10에도 추가 투여하였다.

평가항목은 CDDP 투여 전과 CDDP 투여 후 3시간의 혈중 세로토닌 농도, 혈중 그렐린 농도, 투여 후 5일간의 평균 식사섭취량 (%), NCI-CTC 가이드라인 (CTCAE v3.0)에 기초한 식욕부진 (grade 0-4), 오심 (grade 0-3), 구토(grade 0-4)였고, 이것을 양 군간 비교하였다.

시험 결과, 혈중 그렐린 농도는 六君子湯 비투여군 (B군)에서 저하 경향을 보였다. 六君子湯 투여군 (A군)에서는 혈중 그렐린 농도 저하가 나타나지 않았다.

식사 섭취량은 六君子湯군에서 유효하게 증가하였고 (62.9% vs 39.4%, p=0.0496), 식욕부진은 유의하게 호전되었다 (grade 2.2 vs 1.2, p=0.0441). 오심, 구토는 유의한 차를 보이지 않았으나, 六君子湯군에서 나은 경향을 보였다.



암 화학요법에 의한 식욕부진은 장벽 EC세포에서 5-HT가 분비되어, 위의 5-HT2b/2c 수용체를 자극하기 때문에 생긴다고 메커니즘이 보고되어 있다. 六君子湯은 위의 5-HT2b/2c 수용체에 길항하여 그렐린 분비저해를 억제하고, 식욕부진을 개선하여 식욕을 유지시킨다고 생각된다. 본 검토를 통해 六君子湯은 항암치료 환자의 혈중 그렐린 농도 저하를 억제시켜 식욕부진을 개선, 오심·구토를 억제하며, 암 화학요법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게 하여 환자분의 양호한 임상적 결과, 치료성공기간 (TTF)의 연장에 기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록 적은 수의 대상자를 가진 연구였지만, 이런 데이터의 축적을 통해 항암치료시 한약 투여에 대한 신뢰감이 올라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추가적인 연구 뿐 아니라 임상 현장에서의 항암제 부작용 한의 치료에 대한 관심을 통해 치료 영역을 확장해간다면 내과영역에서의 한의치료 진료 비중도 보다 더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IP : 210.179.xxx.62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3.5.10 11:45 AM (1.232.xxx.203)

    이거 뭐에요? 뜬금없이 한 말 또 하고 또 하고 또 하고...

  • 2. ................
    '13.5.10 12:01 PM (58.237.xxx.12)

    항암하면 신장수치, 간수치가 중요한데 한약이라뉘......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58144 오이지 담근 물에 곰팡이가 폈어요~~~버려야 하나요? ㅠㅠ 5 ... 2013/05/27 6,156
258143 사람 관계 속의 질투. 으 싫어요.... 4 크레파스 2013/05/27 2,767
258142 향기 좋은 천연샴푸 있을까요...? 샴푸 2013/05/27 1,096
258141 아파트 장기상환 담보대출은 무소득자도 가능한가요?? 1 .. 2013/05/27 1,091
258140 아이스티 만들려는데 깨끗이 씻는법 아세요? 4 레몬 2013/05/27 1,176
258139 첫째 학습지 모아놨다가 둘째때 쓰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6 학습지 2013/05/27 1,282
258138 지금 한강에 운동 갈려고 하는데. 3 ㅠㅠ 2013/05/27 1,061
258137 10만원 벌었네요..씁쓸^^ 7 커피향 2013/05/27 3,610
258136 에어컨 실외기 거치대 다는거 전세집주인에게 양해구해야하나요? 7 ... 2013/05/27 3,422
258135 유재석은 정말 현명하고 똘똘한 것 같아요.♥유느님찬양글:)♥ 1 ㅎㅎ 2013/05/27 2,054
258134 변호사님의 블로그입니다 2 그것이 알고.. 2013/05/27 1,917
258133 다이어트 중 하루쯤은 5 다이엇 2013/05/27 1,262
258132 너그러운 올케가 너무 고마워요. 6 자랑질녀 2013/05/27 2,804
258131 빵중독 4 고쳐 2013/05/27 2,156
258130 겨울 과잠바 몸통은 천이고 팔은 레자인거 어떻게 세탁해야 하는지.. 3 세탁 2013/05/27 3,658
258129 1년 넘은 고추가루가 많은데,,지금 냉동고에 ,,,ㅜ 어떻게 .. 5 고추가루 2013/05/27 1,498
258128 치아바타 얘기가 나와서 5 2013/05/27 1,600
258127 통밀가루로 수제비 만들었어요 2 ㅎㅎ 2013/05/27 1,220
258126 우리나라 살기 더럽게 힘든 나라 맞긴 맞네요. 7 ㅇㅇ 2013/05/27 2,440
258125 김미려 남편 김재원과 사촌이네요. 6 결혼축하 2013/05/27 4,854
258124 6학년 거의 3년 농구하는데 전혀 늘지가 않네요 3 분당에일대일.. 2013/05/27 810
258123 돌잔치,,, 맘에 걸려요. 12 모르겠어요... 2013/05/27 2,534
258122 경찰, ‘국정원 댓글’ 축소에 ‘증거인멸’까지 했나 4 샬랄라 2013/05/27 615
258121 어린이 수영복 4 어린이 수영.. 2013/05/27 739
258120 마담뚜들 성격이 장난 아닌가봐요 .. 46 ..... 2013/05/27 15,7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