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비싼 전기료…못내겠다” 첫 시민불복종 운동

참맛 조회수 : 2,662
작성일 : 2012-08-31 18:33:28
“비싼 전기료…못내겠다” 첫 시민불복종 운동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32&aid=000...


- 부천 ‘위브더스테이트’ 입주자 1400여 세대 주민들이 31일 한국전력에 전기사용계약 해지 통지서를 접수하고 ‘전기료 시민불복종 운동’을 벌이기로 했다.

........


강석 전기료대책위원회 위원장은 “현재 재벌 기업 등이 사용하는 산업용 전력은 1kwh에 80원대로 헐값에 ‘퍼주기’를 하면서 시민들에게는 1kwh당 최대 670.60원이라는 ‘바가지’ 요금을 부과하고 있다”면서 “공기업인 한국전력이 시민들을 상대로 공공연히 배임행위를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


강력지지합니다!

IP : 121.151.xxx.203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8.31 6:35 PM (39.121.xxx.65)

    나도 끼워주세요!!! 완전 강력지지합니다...
    왜 우리가 대기업 전력부담까지 해야하는지...
    저 달려가겠습니다!

  • 2. ss
    '12.8.31 6:39 PM (210.105.xxx.118)

    브라보~~~~

  • 3. ***
    '12.8.31 6:40 PM (203.152.xxx.139)

    옳소~!!

  • 4. ..
    '12.8.31 6:41 PM (39.121.xxx.65)

    이 운동 전국민적은 운동으로 만듭시다..........
    전기료 누진세가 말이 됩니까??
    우리나라 국민은 대기업 살리기위한 도구일뿐인지!!!!!!!
    82에서도 동참합시다!!!!!!!!

  • 5. ,,,,,
    '12.8.31 6:41 PM (1.246.xxx.47)

    동참합니다

  • 6. 저도
    '12.8.31 6:46 PM (1.240.xxx.165)

    동참합니다
    누진세까진 수용하겠는데
    최소한 500 까진 누진세 적용 안했으면 좋겠어요

  • 7. 솜사탕226
    '12.8.31 6:49 PM (121.129.xxx.50)

    전기 누진제 손 볼 필요는 확실히 있어요 언제적 단계를 아직도 적용하나요
    몇십년 사이 늘어난 가전제품 갯수가 얼만데
    수십년전 냉장고 티비 없던 시절하고 똑같은 단계라니 말이 안되죠
    컴퓨터 김치 냉장고 커피머신 정수기 에어컨 전기렌지 등등 늘어난 가전제품이 얼마나 많은데요
    소형가전까지 합치면 상당하죠
    누진제 손본다면 전기렌지 쓰고 싶어요 ㅠㅠ

  • 8. 저도
    '12.8.31 6:49 PM (121.188.xxx.122)

    동참합니다

  • 9. 솜사탕226
    '12.8.31 6:50 PM (121.129.xxx.50)

    그나저나 저 분들 대단하긴 한데 계약 해지를 하면 전기는 어디서 공급받는건지요?
    전기 없이 생활 하시는 건가요??

  • 10. 프린
    '12.8.31 6:55 PM (112.161.xxx.91)

    저도 동참 해요...
    저희 전기요금 많이 써서 많이 내면 그것도 이해하는데 많이 써서. 더더더더 많이 내는건 아니라고 봅니다,.
    세계 통계적으로 우리나라 개인 사용량이 다른나라보다 많이 쓰는게 아닐뿐더러
    한겨울이면 정말 추운데.... 전기난방기구 사용 하지말라던가
    한여름이면 폭염에 사람이 쓰러져 나가는데 줄이자 고 하는건 아니라봐요.
    올해처럼 산업용 전기 쓰는곳들. 냉난방 많이하는 곳들에서 줄여야 하는거라보구요.
    게시판에서들도 말하지만 개인들은 전기세 걱정하면서 에어컨도 켜요 더워 죽겠어서...
    아주 아주 부자 손에 꼽는 부자들은 전기요금이 누진세가 더 붙는다 해도 쓸거 쓸거구요.
    결국 일반 심민들만 쥐어 짜는 건데 날은 이상기온으로 너무 춥고 너무 더운데 당연히 소비량 늘어나는걸
    국민들만 쥐어 짠다고 해결될일은 아니라봅니다.

  • 11. 나무꾼
    '12.8.31 6:59 PM (211.223.xxx.90)

    저도 동참 합니다 영업용은 누진세가 없어요 오로지 힘없는 국민이 봉인것이지요 .
    이런정부 다음에 또 뽑나요 전국 신민여러분 우리는 잘몿된 법을 바로 잡아야 합니다

  • 12. 누진세 조정
    '12.8.31 7:30 PM (182.218.xxx.187)

    예전과 달리 각 가정에서 사용하는 필수 가전이 많아졌습니다.
    지금에 맞게 조정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13. 착각
    '12.8.31 7:35 PM (119.64.xxx.173)

    사람들이 많이 착각하는 게 산업용 전력값 올리면 대기업들이 그 요금 부담한다고 생각한다는 거죠.
    원유값 오르면 왜 난리치는데요.
    교통비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전방위적으로 물가가 오르잖아요.
    전기요금도 마찬가지예요.
    결국은 그 차액은 소비자에게 넘겨지는 걸 정말 몰라서 이러시는지...

    전기요금 누진세는 각자 이해관계에 따라 다르지만 정말 서민이라면 그 혜택을 톡톡히 받고 있다고 생각해요.
    100k는 본전도 안 남구요, 300k까지는 세계 어느 곳과 비교해도 저렴한 요금이거든요.
    대다수의 서민가정들이 300 이쪽저쪽 수준에서 소비해요.
    그래서 전기요금 올릴 때도 기본구간은 거의 억제하고 있잖아요.
    누진세를 줄이면 그 차액은 누가 부담할까요?
    대기업? 앞서 말씀드렸듯이 오른 물가로 보답할테고, 그게 아니면 기본구간을 올리게 될 거예요.

    밑도 끝도 없이 누진세 없애자시는 분들은 가진 것 한 푼도 없으면서 종부세 없애자고 하는 사람이랑 비슷하다고 생각해요.
    원숭이도 아니고 아침에 세 개 주고 저녁에 네 개 받다가 아침에 네개 주고 저녁에 세 개 받았다고 좋아하는 거랑 진배 없죠.

    이왕 불복종하는 김에 저분들 알아서 발전기 돌리고 사셨으면 하는 바람이 있어요.
    영광원전에서 전기 만든다고 영광분들이 얼마나 쓰시겠어요.
    바닷물 수온만 높여서 장관을 이루던 조기파시는 사라지고 밖에서 조기 사다가 말리는 처지만 되었죠.
    그냥 대도시에서 쓰는 전기 대도시에서 만들어 쓴다면 그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하네요.

  • 14. 서민들
    '12.8.31 8:21 PM (211.194.xxx.124)

    쥐어짜서 재벌들 배불리는 자들이 서민타령을 하니...

  • 15. 저두
    '12.9.1 10:26 AM (59.7.xxx.55)

    누진세 반대. 단독주택의 경우 도시가스 안들어 오고 집에 부속설치물도 많구해서 전기요금 기본이 많을텐데 이런경운 억울할 거 같아요. 혹 대가족이라면 그만큼 많이 쓸텐데 그것도 그렇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58392 짐캐리가 회피맨에서 도전맨으로 바뀌는 영화, 예스맨 보신분 있으.. 5 ... 2012/09/22 1,686
158391 싸이 슈스4심사위원이에요? 1 ... 2012/09/22 1,857
158390 지난 총선때 연령별 투표율.. ㅇㅎㅇㅇ 2012/09/22 1,458
158389 남들눈에 옷잘입는다 소리.. 9 ... 2012/09/22 4,478
158388 생각지도 못한 돈이 들어오면 또 생각지도 못한 돈이 나가네요. 4 ㅠㅠㅠ 2012/09/22 2,772
158387 분양가 3억 내외하는 32평 아파트 전세가는 얼마가 적당할까요.. 5 분양가 3억.. 2012/09/22 2,787
158386 무한도전 멤버들이 미스터리하네요 10 무도 2012/09/22 4,824
158385 너구리가 놀러왔어요^^ 9 브레인 2012/09/22 2,466
158384 저도 갈비 때문에ㅠㅠ 2 ㅜㅜ 2012/09/22 1,867
158383 닥터브로너스 솝쓰시는분!!! 조언부탁요~ 15 ㅡㅡ;; 2012/09/22 11,371
158382 무지외반증이면 어떤거 신나요?? 1 발이아파요... 2012/09/22 2,927
158381 모공케어에 좋은거 추천해주세요^^ 5 vmflgk.. 2012/09/22 2,176
158380 갈비 맛있게 재우는 팁 좀 알려주세요. 3 며느리 2012/09/22 2,436
158379 물에 빠진 염소를 구한 것은? 3 ... 2012/09/22 1,636
158378 사주카페추천해주세요.. 6 ㄱㄴㄱㄱ 2012/09/22 2,973
158377 아기 고양이 30분정도 지나도 엄마가 안찾아온다면 엄마 없는 고.. 8 길냥이 2012/09/22 1,971
158376 스마트폰,인터넷 인생의 낭비같아요 21 낭비 2012/09/22 5,403
158375 잠수네 전화번호 없나요? 욕나오네 2012/09/22 1,904
158374 “여친 없어 성매매업소 찾아”…비뚤어진 성욕 12 상록수 2012/09/22 6,297
158373 안철수에게 헛발질하다 망신당한 조선일보 2 구르밍 2012/09/22 2,487
158372 불임에 복분자좋다는데 1 !!! 2012/09/22 1,806
158371 이상한 절약 29 가을뇨자 2012/09/22 14,413
158370 "보수·인종주의자는 머리가 나쁘다" 연구결과 .. 11 기사 2012/09/22 1,676
158369 등산 처음인 사람에게 알맞는 등산화및 등산복 좀 추천해주세요~ 7 애플마미 2012/09/22 2,363
158368 전세계약시 주의사항좀 알려주세요. 4 희망 2012/09/22 1,8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