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늙은 아버지가 젊은 아들에게 고함

이땅의 조회수 : 1,709
작성일 : 2012-07-13 08:09:20

아들아, 대한민국이 드디어 ‘20-50 클럽’에 들어갔단다! 세계 역사상 일곱 번째로 인구 5000만명 이상, 국민 소득 2만달러가 넘는 나라,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과 동급의 나라가 됐단다. 아빠는 무한히 자랑스럽다. 왜냐하면 아빠가 네 나이 때 물려받은 이 나라는 너무나 초라한 나라였기 때문이다. 1970년의 우리나라는 인구 3000만명을 갓 넘기고 국민소득 은 300달러가 채 안 되는, 세계 120위권에 불과한 나라였다. 가난과 실업, 그리고 독재가 횡행하고 한탄과 저항이 범람하던 나라였다. 아빠는 그때 우리나라가 이렇게 세계 최고의 국가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나라, 부유할 뿐 아니라 온 국민이 자유를 만끽하는 나라가 될 가능성은 꿈도 꾸지 못했다. 그 아득한 꿈을 우리 민족이 한 세대 만에 이룬 것이다. 어찌 자랑스럽지 않겠는가?

2차대전 이후 인구 몇 천만 명의 대국들 중 국민소득 1만달러 언저리까지 간 나라는 아르헨티나 멕시코 등을 포함해 꽤 많았다. 그러나 그들 중 어느 하나도 2만달러 고비를 넘기지 못하고 꼬꾸라져 버렸다. 아들아! 그런데 우리만 유독 그 고비를 어떻게 넘길 수 있었을까? 나는 그것이 크게 보아 우리가 이룬 두 가지 대업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바로 민주화와 세계화라는 거대한 작업이었다. 역사적으로 진정한 민주화를 이루지 못한 나라가 선진 국의 반열에 오른 예는 없었다. 2차대전 이전 민주화를 이루기 전의 일본이나 독일 같은 나라가 일시적으로 어느 정도까지 클 수는 있었어도 영속적인 선진국의 반열에 스스로를 올리지는 못했다. 그것은 첫째 민주주의 만이 궁극적·장기적으로 나라의 궤도를 바로 잡아 줄 수 있기 때문이고 또 민주주의만이 국민 개개인이 가진 잠재력을 제대로 온전히 키워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4·19, 5·18, 6·29 등을 거치며 피와 눈물로 민주주의를 이뤄냄으로써 선진국의 토대를 닦을 수 있었던 것이다.

두 번째는 세계화다. 역사적으로 세계에 대해 개방하고 세계를 활동 무대로 삼지 않은 나라가 선진 대국으로 간 예는 없었다. 16세기 스페인 포르투갈, 17세기의 네덜란드, 18세기 이후의 영국, 그리고 20세기 현재 선진국의 반열에 올라 있는 모든 나라들이 다 세계로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세계에 대해 개방한 나라들이다. 우리나라는 1960년대 경제 개발을 시작하면서부터 세계를 겨냥했고 멕시코 아르헨티나 등과 달리 국민소득 1만달러가 넘으면서 더 적극적으로 용감하게 세계로 나아갔을 뿐 아니라 스스로를 더 활짝 개방했다. 전 세계로 무시무시하게 유학을 나갔고 겁내지 않고 자유 무역 협정(FTA)도 했다. 역설적으로 외환위기마저 한몫했다. 한국은 안방에서, 그리고 세계 땅 끝까지 가서 세계 최고의 기업들과 경쟁하고 있고 그 처절한 싸움은 우리를 세계에 우뚝 선 경쟁력을 가진 나라로 만들어 주었다.

그렇다면 유독 한국만이 이런 과업을 이룰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여러 가지 시각이 있을 수 있겠지만, 나는 한국의 ‘가치중심적’ 민족성에서 그 근본 원인을 찾는다. 한국인은 가치를 중시한다. 전 세계 어느 나라를 봐도 부모가 돌아가셨다고 생업과 가족을 버리고 무덤 옆에 움막을 짓고 3년간 그 무덤을 보살피면서 효(孝)라는 가치를 추구한 민족은 없다. 민주주의라는 가치를 위해 젊은이들이 1960~1980년대 그렇게 총탄 앞에 몸을 던지고 그렇게 많이 분신자살을 한 나라는 없었다. 한국인은 열사의 사막에서 그 어느 민족도 하지 못한 대공사들을 해냈고 두려움 없이 세계로 나가 경쟁했다. 모두 가족, 충(忠), 애국 등의 가치가 아니면 설명할 수 없는 일들이다. 한마디로 한국 민족은 가치에 관한 한 독한 민족이다. 유대인이 그렇듯이!

아들아! 나는 네가 한국의 아들로 태어난 것이 자랑스럽다. 물질이 아니라 가치를 중시하는 민족의 한 사람으로 태어난 것이 자랑스럽다. 그 덕분에 이런 나라를 너희에게 물려주게 돼 더욱 자랑스럽다. 너는 더욱 위대한 나라를 만들어 너의 아들들에게 물려주게 되기를 바란다.

< 어느  한국인 아빠가 7월  아들에게 부탁하며 주는 글 >

IP : 152.149.xxx.115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47095 대학로에서 볼만한 재미있는 연극좀 알려주세요 .. 3 연극.. 2012/08/27 2,012
    147094 태풍 대비 신문지 뒷베란다 창문에도 붙이나요? 1 신문지 2012/08/27 2,095
    147093 꼭 신문이어야 하나요?.ㅠㅠ 4 근데요.. 2012/08/27 1,882
    147092 경찰의 '안철수 불법사찰' 진위 논란 1 0Ariel.. 2012/08/27 1,090
    147091 시골집 친정엄마 다른 집으로 대피하라고 할까요? 1 걱정 2012/08/27 2,047
    147090 신문 붙일 때 빗자루로 하니까 좋네요. 1 나거티브 2012/08/27 1,618
    147089 근검절약 문구좀 알려주세요~ 지름신 퇴치용~~^^ 5 절약 2012/08/27 1,901
    147088 남편이 왜 이럴까요? 누구 아시는 분 7 ??? 2012/08/27 2,636
    147087 지금 생생정보통에 나오는 주먹두부집 맘에 드네요. 6 위생 2012/08/27 3,279
    147086 십몇년전 제주도 월드컵경기장 지붕이 날라가도 조용했는데 2 진정진정 2012/08/27 1,442
    147085 남편 오늘 저녁에 회사 다시 출근해요.. (태풍 때문에 ) 1 .. 2012/08/27 1,909
    147084 평촌 아파트와 사당 5동 빌라 어느 것이 나을까요? 4 집고민 2012/08/27 3,416
    147083 신문자 붙인 거 30분 만에 다 떨어졌어요. 5 2012/08/27 3,533
    147082 갤노트 사서 전화 요금만 신청할 수 있나요? 7 폰맹 2012/08/27 1,503
    147081 하늘의 저녁놀이 왜 저런 색깔일까요? 5 하늘빛 2012/08/27 2,584
    147080 Tv없는 시골인데 .. 2012/08/27 1,230
    147079 떡복이 양념 어떻게 하세요..? 23 ㅇㅇㅇ 2012/08/27 5,277
    147078 낼 고속도로도 일부통제, 기차도 지연 중단 예정 태풍무서~ 2012/08/27 1,718
    147077 태풍이 낼새벽 중형급으로 떨어진다는 뉴스 나왔나요? 6 진짜 2012/08/27 4,600
    147076 100일 아가 뒤통수 7 모스키노 2012/08/27 1,523
    147075 애호박 사러갔는데 가격이 후덜덜하네요. 12 2012/08/27 3,513
    147074 부추 없으면 오이김치 (오이 소박이?) 못 담그나요? 5 --- 2012/08/27 1,782
    147073 저희 아파트는 지상 주차장만 있어요 1 .. 2012/08/27 1,535
    147072 우리가 사는 세상이 얼마나 작은지 이 동영상 한번 보세요.. 2 놀라실거에요.. 2012/08/27 1,647
    147071 오늘 울집 강아지가 너무 짖네요 5 에궁 2012/08/27 2,4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