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전기 낭비 글 읽고 정말 궁금한게 있어요

찌리릿 조회수 : 4,016
작성일 : 2012-07-07 14:01:08

일단 전 전기 무지 아끼는 스탈입니다.

에너지 아까워서 에어컨, 티비도 없앤 사람이에요ㅎㅎㅎ.

목욕탕 가면 물 콸콸 틀어놓은 거 보고 아까워 죽는 그런 뇨자. 

 

그런데 암튼 요즘 전기 얘기가 워낙 많이 나오고

전기 낭비하는 가게는 신고까지 하는 세상이 됐다고 하니

정말 궁금해지네요.

 

전기를 아끼자~ 이거야 뭐 두말하면 잔소리구요.

근데 요즘 정부에서 너무 겁주는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서요.

지금이 1950년대도 아니고, 민방위 훈련처럼 무슨  절전 훈련을 다 하지 않나.

대기업 전기료는 다 깎아주고 (이미 정부에서 많이 깎아준거 맞죠?)

일반 가정 전기료는 무섭게 올리구 있는 분위기 같은데.

 

전기 부족 상황이 정말 그렇게 아찔한 상황인건가요?

아니면 대기업 깎아준 전기료, 일반 가정한테 올려먹으려고하는 꼼수인건가요?  

한전에 계시는 분 있으심 설명좀 해주세요.

제대로 알아야 민방위 훈련까지 해대는

정부의 에너지 절약 노력에 적극 박수를 보내든지 말든지 할 거 같아요.

IP : 180.70.xxx.162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한마디
    '12.7.7 2:05 PM (116.127.xxx.148)

    이정부 들어서 갑자기 물부족 국가에 전기가 부족하다 난리치는거 고면 이상해요.

  • 2. 벙커에서
    '12.7.7 2:07 PM (112.153.xxx.36)

    많이 연구했겠죠. 쥐느님은 무조건 돈으로 귀결되기 때문에 자꾸 그러면 이득을 보는게 있을겁니다.

  • 3. ....
    '12.7.7 2:10 PM (222.251.xxx.89)

    국민의 자발적인 절약은 칭찬받아야 합니다.
    하지만 정부의 정책 실패와 시설관리 부실로 인해 발생한 공급부족의 책임을 사용하는 국민에게 지우고, 그들을 마치 몰염치한 사람으로 몰아 부치는 것은 부끄러운 일입니다.
    정부 스스로가 전기공급정책의 실패를 스스로 인정하고 책입지는 모습을 보인후 국민들의 협조를 구하는것이 당연한 순서입니다.

  • 4. jk
    '12.7.7 2:10 PM (175.199.xxx.3)

    에휴.....정말....

    우선요...모든 건물이나 시설은 노후되어서 기능이 떨어지거나 못쓰게되잖슴...그렇기에 새로지어야하는데그게 쉽지않죠....

    원자력 더더욱 그러함...지금 고리 1호기인가 고장이잖슴.....

    새로 짓지 않는한 브족할수 밖에 없어욧

  • 5. 아...
    '12.7.7 2:13 PM (180.70.xxx.162)

    전기 시설의 노후화와 관리 실패로 인한 전기부족이라는 거군요?

    근데 대체 왜 대기업은 깎아준건지?
    에휴...
    알고나니 더 답답해지네요

  • 6. jk
    '12.7.7 2:17 PM (175.199.xxx.3)

    글고 전기 많이 쓰고 싸게 쓴다고 대기업을 뭐라고 하는 소리도 웃긴게

    대기업은 당연히 써야하는걸 생산과 수출을 위해서 쓰는거고. 결제발전을 위해서 정부에서 기업들에게 특혜를 준거죠...
    그덕에 너님들이 된잘질할 수 있을 정도로 한쿡경제가 발전을 했구요.....

    필요해서 쓰는걸 뭐라고 하면 안되죠....
    쓸데없는데 낭비이니까 문제가 되는것임....
    설마 그렇게 빡시게 에어컨을 트는게 필요해서 그러는거라고 생각하심????

  • 7. jk
    '12.7.7 2:21 PM (175.199.xxx.3)

    대기업이나 산업용이 저렴하니 가격을 올리는건 맞는 말인데....

    문열고 에어컨 트는 것과 비교하면 암됨....

    대기업은 필요하니까 전기를 많이쓰는거고
    에어컨 빡세게 트는건 누가봐도 낭비인것임.....

    어짜피 상업용도 산업용 만큼이나 저렴하고 특혜인건 동일함

  • 8. 넹?
    '12.7.7 2:21 PM (180.70.xxx.162)

    참나..
    윗님.
    이미 기업용 전기는 싼건데 거기서 더 깎아준 걸 모라고 하는거죠~
    기업이 일반 가정보다 더 비싸게 내라는 소리로 들리시는 건가요?

    그리고 경제발전 위해서 대기업 몰아주는 거요?
    지금이 무슨 1970년댄가요? 무조건 성장만 중요한 그런 시대?
    그래서 대기업에 몰아줘서 경제가 얼마나 좋아졌는데요?

    난 된장질과는 거리가 머니 그럼 대기업 욕해도 되는거임?

  • 9. 근데
    '12.7.7 2:22 PM (112.153.xxx.36)

    그 jk가 맞아요?


    대기업은 당연히 써야하는걸 생산과 수출을 위해서 쓰는거고. 결제발전을 위해서 정부에서 기업들에게 특혜를 준거죠...
    그덕에 너님들이 된잘질할 수 있을 정도로 한쿡경제가 발전을 했구요.....


    이거 완전 삼성이 잘살아야 나라가 잘산다라는 논리인데 jk는 특혜도 싫어하고 대기업에 그리 호의적이지 않던데... 아닌가?

  • 10. jk
    '12.7.7 2:23 PM (175.199.xxx.3)

    지금 가정용 전기얘기하는거 아님......

  • 11. jk
    '12.7.7 2:24 PM (175.199.xxx.3)

    정말 댓글 단것만 봐도 내가 쓴 댓글이지만 내가봐도 천재성이 빛난다능

  • 12. ....
    '12.7.7 2:26 PM (222.251.xxx.89)

    보통의 국민들은 누진세 무서워서 절약을 합니다.

    그런데 대기업들은 전기 원가보다도 더 싸게 전기를 공급 받는다는거죠.

    지난해 산업용 전력 평균 판매단가는 Kwh(킬로와트)당 76.73원으로, 전력 생산원가인 96원보다 1

    9.27원 싸게 공급받았다고 합니다.

  • 13. jk
    '12.7.7 2:34 PM (175.199.xxx.3)

    글쳐... 그러니까 전기요금 올려야 하는데

    왜 대기업은 가만히 두고 자영업만 뭐라 하느냐????
    라고 말하면 안됨....

    대기업이 전기낭비를 하고 있는게 아니기땜시..... 비교가 잘못되었다는걸 지적한것임

  • 14. jk님
    '12.7.7 2:44 PM (14.52.xxx.59)

    말에 동감해요
    일단 산업용 전기 올리면 단가 올라가고 경쟁력이 떨어지죠
    문제는 기업이 이렇게 수지가 악화되면 결국 그 피해도 그 회사의 직원에게 돌아간다는거죠
    산업용은 그대로 두되,상업건물,큰 빌딩같은데는 일단 최저온도를 좀 빡세게 감시해야 합니다
    가정용도 조금씩이라도 아끼면 큰 도움은 되죠
    문제는 지금 있는 전력시설은 노후되었는데 무슨 일이 생겨서 발전이 중단되면 정말 큰 일이 생기거든요
    그리고 원자력을 대체할것도 아직은 여력이 안되고,지금 상황에서 제일 쉽게 할수있는게 자발적인 절약 맞아요

  • 15. 대기업이 쓰는
    '12.7.7 2:47 PM (112.153.xxx.36)

    전기는 무조건 낭비가 아니다라고 단정지을 수 있나요?
    기계돌리는데 드는 전기만 생각하나요?
    jk님 주장대로라면 대기업 사옥에 에너지 절약하자는 문구를 왜 붙여놓을까요?
    jk님 글은 원글님이 제시한 의문과는 핀트가 맞지 않아요.

  • 16.
    '12.7.7 2:50 PM (58.225.xxx.48)

    아껴 쓰는건 좋죠. 저도 집에 사용하는 가전은 컴퓨터와 냉장고 하곤 없어요
    주말에 남편 오면.. 밥솥 돌리고요
    전자렌지 없앴고. 티비도 없거든요..

    다들 왠만하면 전기 아껴쓰지 않나요?

    요즘들어 저러는거 보면. 뭐 다른 꼼수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한두번 당하고 산게 아닌지라..
    뭘하든지 제대로 한적 없고 그것도 본인들 이득 챙기려고 했던 짓이니..

  • 17. 이명박 정부의 정책이니까
    '12.7.7 3:04 PM (112.153.xxx.36)

    참고로 보세요.

    한국전력·가스공사 적자 보전 논란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DA14&newsid=02168086586536184&D...

  • 18. 허...
    '12.7.7 4:49 PM (180.70.xxx.162)

    112님 한국전력 적자보전 논란 기사 잘읽었습니다

    그리고 윗님.. 저도 그것땜에 이 글을 쓰게 된거에요
    정말 이 놈의 정부.
    정부는 국민들에게 전기 없다고 겁을 주고
    국민들은 겁먹고 서로 으르렁거리고...
    짜증나요.

  • 19. 도대체
    '12.7.7 9:22 PM (211.111.xxx.40)

    국민에게 겁을 주는 게 아니라... 지금의 수요를 맞추려면
    전력발전소를 하나 더 세워야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그게 천문학적인 돈이 들어간다는 거죠.

    전기수요 예측을 100% 정확히 할 수도 없는 노릇이고요.
    기상이변으로 날이 갈수록 여름이 길어지고 더 무더워지는 건 다 아실테죠.
    올해는 여름이 5월부터 시작됐습니다.

    가족이 사실 이쪽에 관련돼있습니다. 우리 집은 40평대 아파트에 에어컨 하나 없어요.

    모든 걸 정부의 음모론으로 몰아가는 건 불편해요. 거기에 일하는 사람들이라고 다 고소영 혹은 경상도 라인인 건 아니에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34169 조지 캐넌 과 김태효.. 이 두사람.. 1 나꼼수 16.. 2012/07/24 1,337
134168 브라이텍스 카시트, 트리플 엑서 쏘서 사치일까요? 26 임산부 2012/07/24 2,806
134167 박근혜 힐링캠프에서 왜 스피드 퀴즈를 다 맞췄을까요? 4 근혜와철수 2012/07/24 2,842
134166 장말 닉쿤도 한국사람 다 됐네요 12 zzz 2012/07/24 5,228
134165 해가 갈수록 더워지는거 같아요. 7 우히히히 2012/07/24 1,913
134164 순창 양심 가게. 블루베리 농장 아시는 분 계세요? holala.. 2012/07/24 1,977
134163 싱크대 문에 코팅된 필름지(?)가 벗져져요. 도와주세요. 굽신굽.. 1 싱크대 2012/07/24 1,616
134162 금도 사고팔거나 보유시 세금내나요?? 건강요리 2012/07/24 1,189
134161 요즘 일억으로 주부가 할수있는게 뭐 없을까요?? 12 창업 2012/07/24 4,715
134160 밥먹기 싫어서 미추어버리겠네요... 2 알약알약 2012/07/24 1,748
134159 사십대중반에 캐디할수 있을까요? 5 돈이 뭔지.. 2012/07/24 5,814
134158 전 고양이의~ 23 ㅎㅎ 2012/07/24 2,978
134157 가만있어도 사람이 붙는사람 6 ... 2012/07/24 5,721
134156 혹시 균형생식환이라는 것 들어보신분있으신가요 2 happy 2012/07/24 2,765
134155 지금 Ebs 에서ᆢ 2 궁금 2012/07/24 1,869
134154 유통기한 임박한 나또 얼려도 될까요? 7 나또 2012/07/24 5,066
134153 마 100% 셔츠는 어떻게 세탁하나요? 4 .. 2012/07/24 2,376
134152 청주에 설소대 수술하는 병원 추천 부탁드려요 2 초등4학년 2012/07/24 3,592
134151 니콘 쿨픽스 p310 사용하시는 분...? 3 궁금 2012/07/24 917
134150 아이 3명(유치원 친구들) 같이 모아 돌보미 아줌마 구할까 하는.. 12 아기돌보미 2012/07/24 3,340
134149 제 글이 베스트에;; 이번엔 발관리 어떻게 하시는지 공유 좀 해.. 3 dd 2012/07/24 2,166
134148 코스트코에 7세 여자아이 수영복 있을까요?? cass 2012/07/24 1,501
134147 박재동교수가 그랬죠. 아내가 없었으면 노숙자 신세였을거라고요 7 산다는것은 2012/07/24 3,420
134146 아파트 담보대출 고정금리 변동금리???? 2 .. 2012/07/24 2,088
134145 정말 에어컨 하루종일 켜는게 전기세 덜 나오나요? 13 궁금 2012/07/24 10,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