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노후 준비요, 일부에서 너무 과열시키는것 같아요

노후 조회수 : 5,696
작성일 : 2012-06-19 11:15:42

일부에서는 80세까지 살려면 부부가 10억은 있어야 한다.

100세까지 살려면 20억은 있어야 한다.

우리는 120세까지 살수도 있다.

 

이런 얘기가 흔히 나오잖아요.

우러면서 늙어서 숨만 쉬고 살면 어떻게 해야 하나?

노후를 생각하면 안락함 쉼, 그런것 보다는 두려움 같은게 있고요.

 

제가 요즘 저희 노후에 대해 고민하면서 알아본 바로는요

 

* 국민연금

(이건 홈피 가니깐 받게될 금액이 나오네요. 본인 인증서만 있으면 됩니다)

 

* 퇴직연금??

이건 저한테 해당이 없는데 퇴직금을 연금처럼 받을 수 있나봐요.

 

* 일반 사회사 연금??

이건 저도 해당이 안되는데 따로 삼성이나.. 어디에 연금보험 들어놓으신 분들은 해당이 되겠죠

 

* 갖고 있는 재산

1억 기준으로 한달에 40만원 잡으면 된다고 합니다.

 

예를들어

연금으로 65세 이후에 75만원 받을 수 있고.

재산이 5억이면

 

75만원 + 200만원 = 275만원을 매달 생활비로 쓸수 있는거죠.

나중에 이게 돈이나 되겠냐고 하시겠지만

연금은 물가 상승률에 따라 계속 오를테니깐요.

 

적어도 모은 재산이 10억, 20억이면 불안해 하지 않고 살수 있다는 거죠.

이렇게 사람들 불안함을 과열시키는 기사나 뉴스가 혹시

보험사들의 마케팅이 아닌가? 의심스럽습니다.

 

노후를 너무 암울하고. 잉여인간이 되는것 같이 우울하게 생각할 것만은 아닌것 같아요.

저도 노후에 관심가진지 얼마 안되어 제 정보가 정확한건지는 모르겠는데요.

혹시 자세하게 아는 분이 계실까요?

저도 배우고 싶어서요.

 

 

IP : 218.152.xxx.206
2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jk
    '12.6.19 11:20 AM (115.138.xxx.67)

    그래야 보험 회사들이 돈을 버니까요...

    멍청한 호구들이 보험회사에 많은 돈을 때려박죠....

    가장 병신같은 짓중 하나가 보험회사에 많은돈 때려박는거라고 생각함..
    보험은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 정말 최소한의 보장성 보험만 가지고 있으면 된다능... 물론 돈이 많다면 그마저도 필요없음...

  • 2. 저도 같은 생각이요~
    '12.6.19 11:23 AM (220.76.xxx.132)

    물론! 많은돈으로 호의호식하면 더 좋겠지만
    노후자금으로 그리 많은 돈이 필요치 않다고 생각해요
    자꾸 저런소리 들으면 노후위해 지금은 굶어야 할 것 같아요~

  • 3. ...
    '12.6.19 11:27 AM (110.14.xxx.164)

    맞아요 요즘은 젊을때부터 사회에서 보험사에서 그런분위기를 조성하죠
    불안해서 연금 ,보험 마구들게요

  • 4. 음..
    '12.6.19 11:30 AM (115.126.xxx.16)

    요근래 부모님이 아프셔서 병원비가 나가고 있는데요.
    병원가면 나이드신 분들 너무 많아요.
    병원비 정말 만만치가 않구요.
    그러니 노후자금이란게 밥먹고 사는 그 기준이 아니라
    병원비를 포함한다면 정말 노후자금과 보험은 꼭 필요합니다.
    갈수록 병원비는 높아져만 가고요.

    건강이 최고예요. 돈만 모은다고 되는게 아니라 건강관리도 우선되어야한다고 봐요.
    병원비.. 장난이 아니예요..

  • 5. 노후
    '12.6.19 11:30 AM (218.152.xxx.206)

    맞아요. 자식들한테 너무 공부로 돈 쓰지 말고 적당하게 시키고
    소박하게 본인 노후를 위해 저축하고 그렇게 즐겁게 살면 되는것 같아요.

    너무 지나치게 불안해 할 필요도 없고요.
    그러다 보면 요행을 바라게 되잖아요.

  • 6. 노후
    '12.6.19 11:32 AM (218.152.xxx.206)

    음..님 그런 보험이 아니라 연금보험

  • 7. 빙그레
    '12.6.19 11:33 AM (180.224.xxx.42)

    수명늘어나고 노인인구 많아지고 인구는 적어지고...

    뻔히 나오는 미래를
    걱정이 되어서 예방주사놓는것 같아요.
    보험회사 돈불리는것 같으면.
    굳이 연금들 필요는 없고 어떻게든 노후대책하면 되니까요.

  • 8. 노후
    '12.6.19 11:35 AM (218.152.xxx.206)

    예 저도 노후대책 관련해서 동영상을 찾아보았는데
    보통 그런 영상들은 보험사에서 개최하는 세미나가 많았고요.
    불안한 마음을 항상 초반에 깔고 하더라고요.

    몇세까지 살꺼라 생각하냐. 얼마나 필요할것 같냐.
    결국 10억, 20억씩 만들수 없으면 연금 보험을 들어라

    그런 애기가 많았어요.
    그럼 의심이 되잖아요. 정말 그렇게 많은 돈이 필요한건지..
    그렇게 암울한건지.. 근데 계산해 보니 제가 지나치게 걱정하고 있었던 것 같아요.

    또래에 비해서 모은돈이 적지가 않은데도 항상 불안한게 있었거든요.

  • 9. ..
    '12.6.19 11:35 AM (110.14.xxx.164)

    근데.. 10억 20억 모으기가 너무 힘들죠 ㅜㅜ

  • 10. .........
    '12.6.19 11:37 AM (112.154.xxx.59)

    10억이상없는사람들이 거의80퍼센트 아닌가요?

    그러니 걱정하는거겟지요...

  • 11. 노후
    '12.6.19 11:48 AM (211.60.xxx.72)

    노후 비용을 월 200집으면 국민연금 제외하고 나머지 금액을 준비하면 되는거죠

    너무 불안감을 요즘 조성하는것 같아서요

  • 12. ..
    '12.6.19 11:50 AM (118.222.xxx.164)

    나이들면 경조사비가 큰 부담이예요

  • 13. jk
    '12.6.19 11:56 AM (115.138.xxx.67)

    여기에 댓글이나 글로 광고하는 사람들만 광고가 아니라능.........

    신문기사만 해도 사실 특정기업으로부터 돈받고 쓰는 기사들 엄청 많음.
    게다가 기자들의 전문지식이 그런 기업의 설명을 전부 다 이해하고 그 모순점과 문제점을 파악할 정도의 수준이 되지 못하기 때문에.....

    더불어서 정말 접대받고는 그런 기사를 내는 경우도 있고 대놓고 광고라고 말하면서 내놓는 기사도 있고....
    멍청하니까 그런거에 낚이는거죠.

  • 14. ..
    '12.6.19 11:57 AM (219.241.xxx.63)

    마케팅이죠 뭐.제윤경씨 칼럼 읽어보세요.마음이 좀 편해지더라구요.

  • 15. 쓸개코
    '12.6.19 12:23 PM (122.36.xxx.111)

    나꼽살에서도 원글님 말씀하신 노후얘기 하더라구요.

  • 16. ...
    '12.6.19 12:39 PM (163.152.xxx.40)

    마케팅 맞는 거 같아요
    3년 전 재무컨설팅 받았는데
    일단 국민 연금은 제외하고 시작하더라구요.. 국민연금은 고갈 될 수 있다면서요
    사기업 부도 확률 얘기했더니.. 연금보험은 예금자 보호법에 해당된다는 얘기만 하더라구요
    가끔..
    지금 하고 있는 경제 활동이 늙었을 때 생활비 준비하려고 하는 건가 싶어요

  • 17.
    '12.6.19 12:49 PM (14.52.xxx.59)

    나중에 어찌될지는 아무도 몰라요
    저희 할아버지가 92세ㄹ로 자리보전하셨는데 진짜 1년에 딱 1억들었어요
    환자분들도 삶의 질이란게 있어서
    예전처럼 그냥 대소변 받아낸다,이게 아니라 집에서 전동침대 구입하고 사회복지사 오고
    남자간병인 부르고,음식에다 마사지에다,,그렇게 들더라구요

    근데 시아버님이 암으로 입원하셨을땐 수술도 안했는데 5일에 800나왔어요

    만성질환있는 분들은 약값 검사비도 무시 못하구요
    경조사비 아이들 손자들 치닥거리 아예 안 할수도 없는거죠
    당장 82글만 봐도 부모님이 치아나 뭐 하실때 자식들 부담시키면 뭐라고들 하잖아요
    그러면서 자기네 경조사에 안 도와주면 또 뭐라고 하구요
    집 안 사주면 자주 찾아갈 필요도 없다는 댓글이야 뭐 이젠 새삼스럽지도 않구요

    젊어도 그렇지만 늙으면 돈이 권력입니다
    안그러면 독거노인 되는거죠
    부부가 같이 오래 살면 그나마 낫지만 혼자 되보시면 자식의존도가 높아질수밖에 없어요
    그때 돈이 미끼상품이 되는겁니다
    늙는다는건 그런거에요

  • 18. 돈,돈돈
    '12.6.19 1:09 PM (175.112.xxx.137)

    돈 이 없으면 아프지 말아야 하는데 그게 안되니까 서로 힘든거죠.
    마케팅에 지나치게 현혹되지 말아야 하지만,
    준비는 철저히 해야하는게 맞습니다.
    친정엄마.. 고관절 수술후 두달동안 입원했었는데 병원비 600에 간병비 400 이었어요.
    내색은 안했지만, 엄마도 많이 불안해했고 집으로 요양사 부르는것도 미안해하다가
    갑자기 떠나셨네요.
    그 핵심에는 돈이란게 있었구요.

  • 19.
    '12.6.19 1:41 PM (115.136.xxx.24)

    재산이 5억이면 한달에 200만원을 쓸 수 있다는 건 무슨 말씀이에요?
    은행에 넣어놓고 이자를 받는다는 말씀인가요?
    만약 그렇다면 말이 안되는 거 같은데요

    일단 살 집은 기본으로 있고나서 은행에 5억을 넣어두고 이자를 받는다고 해도
    65세에 받는 이자 200만원과, 85세, 90세가 되어 받는 200만원은 엄청난 차이죠..

    물가에 연동되는 건 연금일 뿐 이자는 아니잖아요

  • 20. 얄미운 공포마케팅이죠
    '12.6.19 5:42 PM (211.207.xxx.157)

    두렵고 공포스러운 분위기 조성에,
    사람들은 동물수준으로 자기 핏줄이나 사교육외에는 돈 안 쓰려고 하고,
    그러다 보니, 인적 네트워크는 더 부실해지는 거죠.
    악순환인거 같아요.

  • 21. 과연 공포마케팅..?
    '12.6.19 6:45 PM (1.229.xxx.115)

    요즘 노인들 평균 수명이 기본 80대잖아요.
    저희 할머니도 올해 연세가 85세예요.
    일제 시대 태어나서, 못 먹고 못 입고 자랐고, 그 어렵고 더럽고 부족하던 시절에 자식은 7,8명이나 낳았고,
    변변찮았던 남편은 50대에 돌아가시고, 여러 자식들한테 돌아가면서 신세지면서도 사셨는데도, 아직도 연세에 비해서 정정하십니다.

    그럼 도대체 잘 먹고, 교육 받았고, 의료기술 발전한 이 시대에 사는 우리 세대는 과연 몇 살까지 살게 되는 걸까요?
    돌아가면서 신세질 여러 자식도 없는 우리들은 노후를 어떻게 살아야 할까요?

    재무강의에서는 "빨리 죽을 위험" 과 "오래 살 위험" 을 모두 준비하라고 하던데요.....
    돈 없는 노후를 생각하면 정말로 지옥이 따로 없을 것 같은데..... 과연 그게 공포마케팅이라고 할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38545 협력업체에서 일을 합니다. 1 협력업체 2012/08/05 1,251
138544 서울 강서쪽에 커트 잘하는 미용실 있을까요~~ 긴머리 2012/08/05 1,397
138543 이사하는 사람에게 전해줄 좋은 말(문구) ?? 1 좋은 문구 2012/08/05 2,258
138542 이 정도면 우기기 대왕이죠? 4 ;;; 2012/08/05 1,563
138541 급질-to부정사과 동명사의 차이점을 알고 싶어요. 7 아이숙제 2012/08/05 1,912
138540 런던올림픽 한창 때 새누리당 공천헌금이 터진 이유가 뭘까요? ... 2012/08/05 1,339
138539 집에 30도에요 3 여름 타는 .. 2012/08/05 1,960
138538 잘려고누우면맨날허벅지가뜨끈해져요ㅠㅠ 열나요 2012/08/05 1,637
138537 도덕관념... 17 점두개 2012/08/05 4,337
138536 여름에 2시간씩 자전거 탄 적이 있어요.. ... 2012/08/05 1,405
138535 길가다가 길 물어보는 여자들 조심하세요 38 ... 2012/08/05 23,620
138534 급질-스타일을 한국말로 뭐라 하나요? 10 숙제 2012/08/05 2,579
138533 옛날에 고아원아이들 다큐봤는데 슬프더라구요 1 .. 2012/08/05 2,838
138532 뭐야..ㅠ.ㅠ 지금 33.2도 13 ... 2012/08/05 3,682
138531 찜질방은 좀 시원할까요? 6 찜통 2012/08/05 2,246
138530 운동으로 땀 빼고 나면 좀 덜 더워요.. 10 ... 2012/08/05 2,763
138529 30대 후반이 입을수 있는 백화점 브랜드 소개 좀 해주세요 3 원피스 2012/08/05 2,580
138528 유난히 예민한 성격이 뭐죠? 11 예민이 2012/08/05 6,854
138527 군입대한아들 편지 지금곧 할수 있나요? 6 .. 2012/08/05 1,597
138526 가평쪽 휴가정보 4 클릭USA 2012/08/05 2,076
138525 다니던 산부인과(시신유기) 바꿔야할까요? 8 고민 2012/08/05 4,714
138524 해외에서 와이파이가 되는지역이면..인터넷이 무료인거 맞죠? 2 일본 2012/08/05 2,348
138523 더위로 어지럽고 숨막히는데 어떻게해야하나요??ㅠㅠ 12 건강요리 2012/08/05 3,397
138522 이혜영 좋아하시는분 계셔요? 5 젤 좋아하는.. 2012/08/05 3,976
138521 김연경선수도 김연아처럼 대한민국에 떨어졌네요 3 파사현정 2012/08/05 3,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