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비정규직은 신한국당 날치기 작품입니다.

자수정 조회수 : 1,397
작성일 : 2012-05-29 23:41:54

정규직과 비정규직.........

똑같은일을 하여도 대우와 월급은 하늘과 땅......

노조도 정규직의 이익만 대변하여 귀족노조란 단어가 심심찮게 나돌고있으니

현정권 옹호하는분들이  비정규직 양산은 국민의 정부때문이라고 이야기할때

 저는 아무  이야기도 못했어요.  노동자에 대하여 아는것도 없고 국민의 정부시절이후로  

비정규직이란   단어를 들어왔으니.......  막연히 IMF 타개하기 위하여 인건비절감하여 

기업 살리려고  국민의 정부시절에   비정규직을 양산했는줄 알았어요,

조금전에 읽은 백화점 직원이야기  댓글중에   김대중전대통령 시절이라고 알고계신 분이

있기에    전에 읽은글을 찾아봤어요..

신학국당에서 날치기해놓고  국민의 정부에 죄를 덮어씌웠네요.   순수함만 가지고는 정치판에서

 살아남을수없고 적당한 권모술수와 왜곡해서라도 포장하여 어리석은 국민들  감정에 호소하여  우리가 남이가........

전술면에서는 새누리당이 월등한것을 인정합니다.   번번이 당하기만 하는 민주당 ... 멍청한건지..  젠틀한것인지..

좀더 현명하고 저돌적이지 않다면 희망은 없어요.  입으로하는 애국, 키보드로 하는애국,

  과연 어느것이 옳은것인지...... 회의가 오는 요즈음입니다.

****************************************************************************************************

국민의 정부가 욕먹고있는 비정규직은 어떻게 생겼는지 알려주는 글이있어 옮겨왔습니다.

 

내가 노동법을 공부하기 위하여 책을 고르던 전해 였으니까 

96년 12월 말경이 맞을것 같습니다.

그때 신한국당(지금의 한나라당)에서 노동법을 날치기 통과 시키는 바람에
노동법을 공부하던 내가, 97년도에 다시 새 책으로 공부를 해야 해서 투덜 투덜 거리던 기억....

당시에는 정치권에서 무슨일이 벌어지는가는 관심이 없었습니다.
단지, 그저, 노동법을 공부하고 있는데, 노동법이 개정되어서, 다시 공부를 해야 하는 것에 대한
부담감과 일종의 짜증도 좀 났었던것 같습니다. 

그리고, 97년 1월 이었을 것입니다. 개정된 노동법을 공부하면서
이런 법을 날치기로 통과시킨 신한국당(지금의 한나라당)을 국민들이 가만두지 않을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그런데, 내 생각과는 다르게 신한국당(지금의 한나라당)이 큰일이 나지는 않더군요.
당시, 지금의 내 나이가 되는 어떤 분께 물어보았습니다.

"노동법이 개정되었는데, 불안하지 않으세요?"

그러자, 그분의 대답은 아주 간단했습니다

"지들 끼리 싸우던 말던.. 먹고 살기 바쁜데 그런것에 신경쓸 여력이 어디있냐!"

그 말을 듣고 말문이 막혔습니다. 먹고 살기 바쁜 사람일 수록 관심을 가져야 할 내용인데... 

당시 월급쟁이들이 고생좀 하겠구나 하고 생각하게된 이유는 이렇습니다. 

그전에는 없었으나 96년 개정을 통하여 새롭게 등장한
변형근로제, 정리해고제, 파견근로제.... 이러한 용어들 때문입니다.


당시 개정된 노동법에 정리해고제 라는 용어가 보이시지요?
다시 말하면 그 전에는 정리해고라는것이 없었다는 말이 됩니다.

파견근로제라는 용어가 보이실 것입니다.

이놈의 파견근로제 때문에 비정규직이란 용어가 생겨나게 된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그전에는 비정규직이 없었습니다.

월급쟁이라면 당연히 눈이 뒤집힐 노동법개정이었는데
이상하게 일반 사람들은 관심이 없더라는 것입니다.

노동계에서는 난리를 치고, 방송에서도 보도를 함에도
일반인들은 자기와는 상관없는 그런일로 생각을 했습니다. 

비정규직, 정리해고와 같은 말이 과연 지금의 나와는 상관이 없는 말일까요?

김대중이 대통령으로 취임을 합니다. 그리고 김대중 정권때 정리해고와 비정규직 이란 용어가
비처럼 내리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조중동은 말할것도 없고, 사람들은 김대중을 욕합니다.
김대중이 비정규직을 양산했다고 하면서 말입니다.

나는 그러한 상황들이 이해가 되지 않았습니다. 욕을 하려면 한나라당과 김영삼 욕을 해야지
왜 김대중 욕을 하는 것이지??? 저사람들 바본가??


2011년, fta가 날치기 통과 됩니다.
내용을 보면, 96년의 노동법과는 상대가 되지 않는, 말그대로 재벌들을 제외한
나머지 사람들은 아무리 버티려고 노력을 해도 작살이 나버리는 내용이었습니다.


그런데, 그런 위험한 내용들에 대하여 정부나 언론은 괴담이 라는 말로 일축을 해버럽니다.
96년도의 상황과 어찌 이리도 패턴이 같은지..... 그때는 월급쟁이 들이 다치지 않을
안전장치를 마련하겠다느니 하는 말을 한나라당에서는 참 열심히 했었지요.

 

아는 동생에게 저런 것을 보면서도 투표할 마음이 안생기냐?라고 물었더니
그 동생왈....


"먹고 살기 바빠죽겠는데 그런데 신경쓸 겨를이 어디있어요. 난 원래 투표안해요."


........... 96년의 경험으로 보면
한나라당의 이번 날치기로 인하여,
다음 정권의 대통령은 김영삼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만큼 욕을 바가지로 먹게될것 같습니다.


그리고 사람들은 한나라당이 저질렀던 일 때문인 것은 절대로 생각하지 않고
지금 현재 힘든 상황이, 지금의 대통령 때문이라고 말하겠지요
그리고 그 선봉에는 조중동이 있을게 눈에 선합니다.

그리고 한나라당은 다시 다수당이 될것이고, 대통령도 만들것이고
그리고 그렇게 정권을 이어가게 될 것입니다.... 96년도의 상황을 대입해 보면 그렇습니다.

이번 한미fta 날치기가 이 글을 보는 당신과는 상관이 없을듯 하지요?
먹고 살기 바쁜데 그런것에 신경쓸 겨를이 없지요?

지금 무슨일이 벌어진 것인지, 96년의 그때와는 다르게
많은 분들이 인식을 해주셨으면 하는, 그런 마음을 갖는 제가 바보가 아니기를 바랍니다.

 

[출처] 그 당시의 일이 생각납니다.|작성자 여나

IP : 116.41.xxx.237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아봉
    '12.5.30 12:44 AM (221.140.xxx.247)

    저도 몰랐는데, 정보 감사합니다.

  • 2. --
    '12.5.30 1:22 AM (211.108.xxx.32)

    좋은 글 감사합니다

  • 3. 좋은정보
    '12.5.30 3:42 AM (121.178.xxx.196)

    를 알게 해 주셔서 감사해요.

  • 4. 돼지
    '12.5.30 4:40 AM (110.46.xxx.177)

    저도 저장할께요. 감사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31545 YS차남 김현철 "박근혜 사생활, 엄청난 충격 줄 것&.. 7 ... 2012/07/17 5,778
131544 이혼한 전남편의 편지 41 엄마란 이름.. 2012/07/17 21,006
131543 정다연 피규어로빅스 해보신분 계세요? 13 출렁이는내살.. 2012/07/17 9,218
131542 작년에 담근 마늘장아찌가 아직까지 매운데 구제방법 있을까요? 마늘장아찌 2012/07/17 1,695
131541 교통사고 4주진단 나왔는데 남편이... 2 직장복귀 2012/07/17 1,978
131540 출산 예정일 한달전 뭘해야할까요? 14 두려움 2012/07/17 3,240
131539 평화의 댐에 수천억 들여서 보수공사한다 5 발악을하는구.. 2012/07/17 1,776
131538 여성호르몬있는 과일은 어떤것이 있나요? 10 안미 2012/07/17 4,692
131537 초등아이..어떤거 해줄까요? 1 .. 2012/07/17 1,233
131536 임신 9개월인 친구와 놀러갈만한데 어디있을가요? 2 궁금이 2012/07/17 1,356
131535 日 자위대, 도쿄 시내서 방재 훈련.. 찬반 시위도 세우실 2012/07/17 1,065
131534 엄마 얼굴 해드리려고 하는데요 3 실리프팅어때.. 2012/07/17 1,838
131533 이태곤 예능감 충만하던데,,자꾸 입방아에 오를까요?? 15 why 2012/07/17 5,672
131532 제주도 관광지 빅3, 빅5, 둘중 어떤게 나을까요? 3 궁금 2012/07/17 3,385
131531 피부는 관리하기 나름인가봐요. 5 꾸러기맘 2012/07/17 5,019
131530 밖에 나가면 뭐 드세요? 9 어떤음식 2012/07/17 3,208
131529 방학대비 먹거리준비 댓글보니 엄청 대단한거 같네요 13 놀라운여자들.. 2012/07/17 7,693
131528 웨딩촬영 - Susan Stripling 배나온기마민.. 2012/07/17 1,733
131527 건강검진병원 추천! 꼭~ 1 건강검진 2012/07/17 1,841
131526 버블염색제로 새치염색하면 5 다잉 2012/07/17 2,413
131525 자다가 한번씩 오한을 느껴요 2 방울방울 2012/07/17 7,903
131524 베란다 농사가 이렇게 어려운줄 몰랐어요. 21 농사가 어려.. 2012/07/17 7,152
131523 자외선크림 50지수(?) 데일리로 발라도 될까요? 1 41세아줌마.. 2012/07/17 1,593
131522 [화장실?상담] 매일 큰볼일(-_-?) 세번은 기본이라면.. 4 꾸르륵 2012/07/17 1,917
131521 겨울패딩 검정과 카키색 브라운색 중 뭐가 나을까요? 2 인터넷쇼핑 2012/07/17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