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대장내시경꼭해야하나요

재순맘 조회수 : 2,771
작성일 : 2012-03-05 14:18:44

남편이 오늘 대장내시경검사 했는데 혹을 띠어냈다고 하는데  조직검사도 한다고 합니다

용인인데 분당에 잘하는 병원좀 알려주세요

IP : 121.168.xxx.35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2.3.5 4:47 PM (61.247.xxx.205)

    걱정 마세요.
    별 일 없을 거예요.
    대장 용종은 아주 흔해서 내시경 검사 받는 사람 절반 이상에게서 나타나는 것 같아요.

    용종이 나오면 그걸 (전기 소작술인가 하는 방법으로) 내시경 하면서 즉석에서 제거하고
    떼어낸 용종을 조직검사 해요.

    용종엔 두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가만 놔 두어도 암으로 발전하지 않는 종류와
    시간이 지나면 암으로 발전하는 종류-선종성 용종-로요.

    전자인 경우 아무 문제 없고,
    후자인 경우에도 이미 용종을 떼어 냈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별 문제 없을 거라고 봅니다.

    조직검사는 용종이 있거나 용종은 아니라도 장내(장벽)에 조그마한 이상이라도 보이면 하게 됩니다.
    떼어낸 용종이 어떤 성질의 것인지 알기 위해서죠. 그리고 나중에 안 좋게 발전할 수 있는 장내의 이상을 알고 치료할 필요가 있으면 치료하려는 거죠.

    100% 맞는 건 아니지만 경험 많은 베테랑 의사는 내시경 하면서 암 같은 경우는 육안으로 판별 가능한 모양이더라구요.

    문제가 되는 경우는, 내시경 할 때 육안으로는 진행되고 있는 암 같은 게 없는 것으로 보였는데, 떼어낸 용종을 조직검사해보니 그게 용종의 단계를 넘어서 (초기) 암으로 의심되는 경우지요. 그런데 이미 떼어낼 당시 용종의 크기가 나와요. 암이 되려면 용종이 1cm 이상으로 자라야 하는 것 같더라구요. 용종이 크면 즉석에서 떼어내지 못하고 입원했다가 어떤 수술로 떼어내는 것 같더라구요. 아마 크기가 크지 않으니 즉석에서 용종을 떼어냈을 것이므로, 조직 검사상 암으로 나올 가능성도 적다고 봅니다.

    내시경 하면서 용종 떼어냈고 조직검사 한다고 몇 일 후에 오라 하면 별로 걱정할 필요는 없어요.

    내시경 하면서 제법 진행된 암 같은 것은 없었으니 내시경 직후 그런 말은 안 했을 것이고,
    조직검사해서 별 문제 없는 용종이면 그것도 안심이고, 문제 있는 용종일 경우에도 이미 제거했으니 문제 없고,
    설령 최악의 경우 암으로 나와도 초기나 중기일 경우일 텐데, 대장암 2기나 3기에 발견되면 5년 생존율이 80%, 75% 정도 될 정도로 비교적 잘 치료된다고 하는 것 같습니다.

    대장 용종이 많이 발견되면 다음 해(1년후)에 다시 내시경 하자고 할 것입니다.
    혹시라도 발견하지 못한 용종이 있을까 해서지요.
    그러면 이번에 검사 받았던 병원에서 다시 검사하거나 다른 병원에서 하면 됩니다.

    대장암은 초기 선종성 용종이 암으로 발전하는 기간이 길어 정기적으로 내시경 받으면 충분히 예방 가능해요.
    대장암에 비해 위암은 훨씬 빠르게 진행되기 때문에 보다 자주 받아야 한다고 하더라구요.
    대장암은 5년마다 검사하고, 위암은 2년마다 검사하라잖아요.

    대장내시경 검사해서 용종이 하나도 없고 아무 이상이 없으면 3년후에 다시 검사 받으면 되는데,
    위 내시경은 가급적 매년 검사하라고 하더라구요.

  • 2. ---
    '12.3.5 5:00 PM (61.247.xxx.205)

    한 마디만 더 할께요.
    용인이든 분당이든 일반 내과에 가서 대장 내시경 검사하시는 것 보다 대장(항문) 전문병원에 가셔서 내시경 하는 게 낫지 않을까 생각해요 (가격 차이도 얼마 나지 않아요).
    대장을 전문으로 하는 곳이라 대장 내시경도 보다 잘 보지 않을까 생각되니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85005 체인 금목걸이를 어떻게 팔까요? 3 .. 2012/03/15 1,205
85004 내일 나꼼수 공연가시는 분들? 4 반지 2012/03/15 1,102
85003 포테이토 피자; 미스터 vs 도미노. 추천해주세용 7 고민 2012/03/15 1,717
85002 스카우트 제의....연봉 일억. 23 와이프 2012/03/15 5,172
85001 광고 링크 올리는 사람은 ..알바에요???????? 1 ??? 2012/03/15 778
85000 A+ 과학나라 어떤지요? 2 11살 2012/03/15 1,037
84999 서울에 빌라 구입에 관해서요.. 궁금맘 2012/03/15 770
84998 친구의 동생 결혼식도 축의금하죠? 7 오늘 2012/03/15 3,854
84997 이집트여행 가고싶은데요 6 Ki 2012/03/15 1,429
84996 총선뉴스, 이건 기계적 중립도 아닌 그냥 '받아쓰기' yjsdm 2012/03/15 612
84995 고리원전 간부들, 사고직후 은폐 모의 드러나 1 세우실 2012/03/15 658
84994 요리배울곳... 요리공부 2012/03/15 759
84993 책 읽기가 먼저인 아이. 5 숙제보다 2012/03/15 1,281
84992 오늘 사기전화에 완전 넋이 나갔었어요.무서워요 7 너무놀래서 2012/03/15 3,262
84991 영작 부탁합니다 2 영어울렁증 2012/03/15 684
84990 페인트 부분만 바르면 티날까요? ,, 2012/03/15 625
84989 시댁 조카를 어떻게 해야할런지?? 6 joohee.. 2012/03/15 3,383
84988 에잇 빠리바게뜨! .,... 2012/03/15 1,112
84987 돈 들이면 효과 내는 우리 아이들.. 1 아까비! 2012/03/15 1,252
84986 혼자 사시는 엄마, 15평 오피스텔에서 사시는거 어떨까요? 17 노후대책이라.. 2012/03/15 5,836
84985 같이노는 아기가 때리네요 4 두돌아기 2012/03/15 891
84984 시어버터 녹이기가 힘들어요 5 손이 찬가... 2012/03/15 2,542
84983 개인사정땜에 그만둔 회사에 다시 가는것. 12 bb 2012/03/15 2,415
84982 떼인돈 받아내려고 하는데, 어찌해야할까요? 7 이럴땐 2012/03/15 1,947
84981 수내동에 미술학원 추천해주세요(재미있는) 2 초등4학년 2012/03/15 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