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부자되는 재능교육의 첫걸음, 경제교육

hana 조회수 : 1,568
작성일 : 2012-01-09 10:55:29

 

 

부자되는 재능교육의 첫걸음, 경제교육

 

 

어렸을 때부터 아이에게 경제관념을 확실하게 심어주어야 훗날

아이가 커서 몰래 엄마카드를 긁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는답니다.

제 주변에는 그런 사람들이 많더라구요. 부모님 문자 와서 보면

아들 같은 경우는 게임머니를 사고, 딸 같은 경우는 옷을 부모님 카드로

샀다는 문자가 와있다구요. 한마디 상의도 없이 그러는 자녀들의 행동에

속 끓는 부모님들이 많으시데요.

그리고 경제관념이 없는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부자가 될 수 없다는것은

다들 아시죠? 그렇다면 지금부터 부자되는 재능교육의 시작!

우리 아이 경제교육 시켜주는 방법 간단하게 알려드릴게요~

 

 

01] 일을 해야 돈을 벌수 있다.

일을 해야 돈을 벌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자.

어느정도 돈에대한 인식이 생기고 말을알아듣는나이라면

그냥 내버려두기 보다는 오히려 돈에대해 숨김없이 이야기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답니다.

아빠가직장에 다니는건 돈을 벌기 위해서고, 그 돈으로 가족들이 옷과 장난감, 책을  사고

음식을 사 먹을 수 있다는것을 알려주세요.

아이가 어리다면 부모가 귀가한 뒤 돈을 벌어왔다고 하며 돈을 보여주세요.

지갑에서 몇만원을 꺼내 오늘 번 돈이란다. 이 돈으로 내일 먹을 반찬과 과자도 살수 있어라고 말해주세요.

부모가 밖에 나가일을해 돈을 벌어온다는 개념만 열려주면 되요.

 

 

02 ] 가장 필요한 물건은?

아이의 기준에서는 호화로운 장난감이나 그렇지 않은 장난감이나 별로 다르지 않아요.

필요없이 화려하기만 한 고가의 장난감들은 사기전에 아이에게 꼭 필요한 물건인지

다시한번 물어보고 생각해보게 하세요.

아이들은 물건의 중요성이나 필요성과는 상관없이 자기가 원하는 모든 물건을 갖고 싶어 한답니다.

그렇기 때문에 부모님들도 아이 앞에서 충동구매를 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는것이 가장 중요해요.

저의 부모님같은 경우는 굉장히 엄하셔서 장난감같은 것은 거의 사주지 않으셨어요.

쓰잘데기 없는(?)물건이라고 하시면서요.. ㅜㅜ 이 정도까지는 안하셔도 된답니다.

 

 

03 ] 미리 예산 정하기

소유의 대한 개념이 생기기 시작한 아이들은 마트는 천국과 다름 없어요.

떼쟁이 아이로 인해 사람들의 눈총을 받고 싶지 않다면 마트에서 가기 전에 쓸 수 있는

예산에 대해 미리 말해주세요. 예를들어

"오늘 똘복이는 5000원을 쓸 수 있어. 5000원이 넘어가는숫자는

사지 못하는거야" 라고 말하고, 예산 내에서 물건을구입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가격표를 보면서 "10000원이나 하네. 5000원이나 비싸구나.

똘복이가 좋아하는 과자를 10개나 더 살수 있는돈이야." 라고 말을 하면서 가격비교 차이를

알려주며 아이는 각 물건이 가격이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IP : 175.198.xxx.195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2563 네살 애가 꼭 자다가 코 막혀 못자겠다고 깨서 우는데 어쩌나요?.. 13 아이고답답해.. 2012/01/18 2,373
    62562 검찰, MB 한반도대운하특별위원장 집무실 압수수색 1 참맛 2012/01/18 1,059
    62561 “삼성-LG전자 수십억원대 소송 걸릴 수도” 꼬꼬댁꼬꼬 2012/01/18 878
    62560 안마의자 ‘효도선물’ 잘못하면 부모님 ‘골병’ 꼬꼬댁꼬꼬 2012/01/18 2,012
    62559 7살아이를 다루는게 왜 이리 힘든가요? 5 아비아 2012/01/18 1,976
    62558 학습지 선생님 상 당했을때 부조 4 궁금이 2012/01/18 4,233
    62557 제발 병원 광고보고 가지 마세요. 2 양악수술 2012/01/18 1,533
    62556 지금 82에 계신분중 전업이신분 38 그런데 2012/01/18 4,557
    62555 추위 엄청 타는데 시골 시댁 갈때 어떻게 입고 가면 될까요? 9 추워요, 2012/01/18 1,611
    62554 1월 18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서울신문 만평 세우실 2012/01/18 750
    62553 누전 차단기가 자꾸 내려갑니다... 12 2012/01/18 26,921
    62552 며느리 십계명? 2 싫은이유 2012/01/18 1,499
    62551 남편이 두렵다는,, 남편은 이혼 반대 두려움 2012/01/18 1,871
    62550 댓글 감사드려요. 내용은 지웠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15 마음이 아픔.. 2012/01/18 2,044
    62549 학교 건물 2년이면 다 올리나요? 4 궁금 2012/01/18 776
    62548 영국에서 한국식재료 인터넷으로 구하기? 3 밥 먹고파 2012/01/18 1,724
    62547 혹시 비데 사실분.. 이마트몰 40%할인 오늘까지네요.. 1 ... 2012/01/18 1,847
    62546 올 봄에 결혼 날짜 잡으려는데, 윤달엔 결혼 하면 안되나요? 4 궁금 2012/01/18 1,429
    62545 아이 전집 물려주기 7 나무 2012/01/18 1,514
    62544 치과공포증이 있는데 임플란트 할때 무섭지 않나요? 7 임플란트 2012/01/18 2,227
    62543 만사달관에 도움이 되는 책 없을까요? 2 아수라 2012/01/18 875
    62542 [속보] 상주보에서 또 누수, 이번엔 비탈면 누수 참맛 2012/01/18 971
    62541 ↓↓↓밑의 글(올바른 말을 해도...) IP : 152.149... 클릭금지 2012/01/18 937
    62540 연말정산시 부모님(82세)때문에 공제받는게 얼마인가요? 5 신랑을 못믿.. 2012/01/18 2,120
    62539 한명숙 전 총리님 목소리가 너무 이뻐요. 6 정봉주 2회.. 2012/01/18 1,9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