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12월 청구 전기요금이...

ㅎㅎ 조회수 : 3,047
작성일 : 2011-12-20 15:16:00
6,650  나왔네요.

맞벌이고 아이없구요.
전자제품 거의 없어요.
평소 전기 아끼는 편이기도 하고요.

근데 작년이랑 비교했을때 
1,170원이 더 절약되었네요.

작년 이맘때보다
조금 덜 추웠나봐요.ㅎㅎ


IP : 112.168.xxx.63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ㅇㅇ
    '11.12.20 3:17 PM (115.139.xxx.16)

    작년이 진짜 엄청난 추위였죠.
    눈도 일찍부터 왔고, 많이 왔고.
    올해는 아직 그만한 큰 눈도 안오고.. 살만하죠.

  • 2. 밥퍼
    '11.12.20 3:17 PM (211.213.xxx.71)

    66,500 아니고 6,650 맞나요?

  • 3. 그쵸?
    '11.12.20 3:21 PM (112.168.xxx.63)

    제 기억에도 작년보단 좀 덜 추운거 같아요.
    1,2월이 있긴 하지만 12월도 꽤 추웠고 그랬거든요.
    그래도 1-2월이 추위 중심이긴 하겠지만요.ㅎㅎ

    밥퍼님 네 6,650원이에요.ㅋㅋㅋㅋㅋㅋ
    저희 TV없고요.
    사용기간은 11/9~12/8일까지 분이네요.

  • 4. ..
    '11.12.20 3:25 PM (112.164.xxx.31)

    저희집도 6040원 나왔어요. 사용량 85.. 제일 낮은 구간에서 멈췄더라구요. 4월에 아파트로 이사오고 100넘은건 단 한번이네요. 항상 5천후반대 6천원 초반대.. 오전에 나와서 11시 넘어야 들어가고 하니 들어가면 씻고 자고하니 전등도 안켜고 티비 컴이 없어 그런가봐요. 전기 밥솥에 다리미 세탁기 양문냉장고 전자렌지까지 다 써도 전기요금 진짜 안나와요.

  • 5. 저희집은
    '11.12.20 3:25 PM (121.135.xxx.55)

    15000원 나왔어요.
    티비,세탁기,냉장고,김냉,전기요,전자렌지.
    밥솥이랑,컴터고장나서 안썼더니 이렇게 나왔네요.
    직장인이라 자고만 나와요.전기요도 밤새도록 켰는데
    이렇게 나오네요.앞으로도 이렇게 써야겠어요.
    에어컨도 있는데 내년 여름에는 선풍기쓰려구요.

  • 6.
    '11.12.20 3:29 PM (112.168.xxx.63)

    ..님은 더하시네요.ㅋㅋㅋㅋㅋㅋㅋ
    저도 아낀다고 아끼는데..ㅎㅎ

    저흰 상가주택인데 집이 추워요. ㅠ.ㅠ 그래도 아껴서 어찌 지내니까 저 정도인데..
    따뜻한 아파트가면 진짜 더 절약될 거 같긴해요.ㅎㅎ

  • 7. 이해불가
    '11.12.20 3:32 PM (121.176.xxx.120)

    아파트면 공동전기료도 포함일텐데 어찌 저런 현실에서 나올수 없는 금액이 나온단 말이죠?^^
    그저 신기하고 놀랍네요.

    저희는 기본으로 나가는 공동 전기료 아파트 관리용으로 나가는 엘리베이터 사용료만 합쳐도
    돈만원이 넘는데..

  • 8. 윗님
    '11.12.20 3:36 PM (112.164.xxx.31)

    공동전기료는 관리비에 포함되서 나오구 각 가정별 전기요금만 따로 부과되요. 옛날 아파트라 공동전기료도 아주 부담없어요. 수도세 포함한 관리비가 6-7만원정도 나오네요. 24평형이예요.아파트 가로등은 시에서 보조해준다고 그건 공동전기료에 포함도 안되더라구요. 다 그렇겠죠?

  • 9. 진짜 궁금..
    '11.12.20 3:52 PM (218.234.xxx.2)

    2식구 사는데, 난방 안하고 전기요 써요. 약하게요.
    상시 꽂혀져 있는 전자제품은 냉장고, 노트북, tv 정도밖에 없어요.

    세탁기는 일주일에 한번 사용하고, 전기밥솥도 일주일에 한 3일 정도 쓰는 거 같아요.
    전기주전자를 좀 자주 사용하긴 해요. (커피 끓여먹는 게 취미라)
    청소기는 하루에 한번 정도.. 스팀청소기는 정말 가뭄에 콩나듯 한번..(한달에 한번이나 쓸까..)

    그런데도 전기요금이 거의 6만원 꽉 채워요. 전등도 많이 안켜거든요. 남향집이라 밝아서..

  • 10. ??
    '11.12.20 4:01 PM (112.168.xxx.63)

    진짜 궁금님.. 아파트세요?
    남향에 밝은 집이면 난방이 잘 될텐데..

    저희랑 비슷하세요.
    저희는 12월 들어와서 전기장판 (전선깔린거..) 저온에 두고 밤에 자거든요.
    1보다 낮은 온도에요. 저온..

    진짜 궁금님 같은 경우는
    우선 전기주전자...이게 전기소모가 꽤 커요. 편하고 빠르다고 쉽게 쓰시겠지만
    가스렌지에 물 끓여서 쓰시는게 훨씬 낫죠.
    전기요는 등급이 어떤지 모르겠구요.
    전기밥솥 밥 하시고 보온으로 오래 두시면 보온이 전력소모가 많이 되고요.

    진짜 궁금님이랑 저희랑 가전제품은 비슷한데 요금은 좀 다르네요.^^;
    저흰 아파트도 아니라서 집이 추운데도..

    전 항상 켜있는건 김치냉장고, 냉장고에요.
    냉장고는 오래된거라 제 생각엔 전력소모가 가장 많이 되는 것 중 하나 일거에요.

    쓸때마다 켜는 건
    청소기 (수요일, 일요일)
    전기밥솥 (매일..밥할때만 취사, 취사후는 끔. 저녁 먹을 양만 밥하고 밥을 조금 남겨서
    아침에 먹는데 볶음밥을 하거나 국을 뜨겁게 데워서 국에 간단하게 말아먹음.ㅎ)
    드라이기 (매일 아침. 머리 말리는 용도)
    세탁기 (일주일에 한번.)
    다리미 (일주일에 한번)

    이 정도거든요.

  • 11. 집도 남향..
    '11.12.20 4:06 PM (218.234.xxx.2)

    제가 이해 안되는 것이 집이 남향이라 따뜻해서 보일러를 안틀거든요.
    제가 워낙 추운 데서 (구옥) 자라서 추운데서 생활(옛날 대학 기숙사, 바닥 난방 안되고 중앙에서 찔끔 틀어주는 오피스텔) 하는 데 이력이 나 있다보니 18도 밑으로 떨어지지 않으면 보일러 안틀어요.

    전기담요도 잠잘 때만 틀고..
    재택근무라 집에서 일하는데 노트북이라 솔직히 전력이 많이 들어간다고 하긴 어렵고..

    가전제품이 오래 되어서 전기요금이 많이 나올거라고는 생각하는데 저는 다들 이만큼 전기료를 내는 줄 알았어요..

    중요한 건 냉장고가 13년짜리라는 거.. (저도 이번에 이사하면서 알았네요. 쩝)
    TV도 8년 됐고,

    아무리 그래도 냉장고, TV 외에는 사용하는 전자제품이 거의 없는데..
    다리미는 거의 안쓰고, 드라이기도 안써요,

  • 12.
    '11.12.20 4:15 PM (112.168.xxx.63)

    저도 냉장고가 진짜 오래됐어요.ㅋㅋ
    제가 자취때 쓰던거라..저도 13년 정도 되었어요.

    소비등급이 어떤지도 살펴봐야 할 거 같고.
    전기주전자도 한 몫 할거 같은데요.

    저는 매일 전력량체크를 해요.
    요즘 같은 때엔 보통 하루에 4정도써요.

    진짜 궁금님도 며칠간 전력량체크를 좀 해보세요.
    매일 소비되는 양이 비슷하다면
    아마 집안에서 그만큼 소비가 되는 거 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8904 도서관 컴퓨터 사건..전 반대 경우네요. 3 문화 충돌?.. 2012/01/08 2,043
58903 혹시 우결에 나왔던 패딩, 혹은 방한복 잘 아시는분 3 잠바 2012/01/08 1,608
58902 혹시 아이 이름이 "지안"인 분들 계신가요? .. 17 이름짓기 2012/01/08 17,144
58901 밤에 벚꽃이 흐드러지게 꾼 꿈 2 벚꽃나무 2012/01/08 3,737
58900 가스요금 아끼는방법좀가르쳐주세요..안쓸때는 외출로해놓는게나은지 .. 2 스프링 2012/01/08 2,293
58899 서울 동묘로 출근시 동네(아파트) 좀 추천해주세요.. 4 아파트 2012/01/08 1,980
58898 브래드피트가 한국연예인으로 치면 누구정도되나요? 54 피트 2012/01/08 9,594
58897 후회하지 않아, 란 영화 보셨나요 ? 6 ... 2012/01/08 1,985
58896 아줌마 혼자 1박2일 10 놀란토끼 2012/01/08 2,996
58895 호텔서 사용하는 베개 추천 해 주세요. 2 holala.. 2012/01/08 2,130
58894 예비공대생, 물리를 전혀 모릅니다. 10 재수생맘 2012/01/08 2,666
58893 생식 먹는 방법 좀 알려주세요~~~~~~~~~~~~~~~~ 2 생식생식 2012/01/08 2,145
58892 르네휘테르 처음 사보려고 하는데 봐주세요 18 르네휘테르 2012/01/08 7,756
58891 결혼혼수 통통이 tv서 드뎌 led tv 지르게 됐는데...홈시.. 3 led 2012/01/08 1,431
58890 MB “아이 낳는게 외교업무보다 중요” 6 듣보잡 2012/01/08 1,504
58889 명품 휘감은 뻔뻔한 된장 모녀(사진) 24 .. 2012/01/08 15,401
58888 뉴욕으로 신혼여행을 가는건 이상할까요? 23 아몬드 2012/01/08 7,106
58887 오앙... 딴지일보 들어갔더니 왤케 바꿨어요;;;; 2 ... 2012/01/08 1,806
58886 사는게 뭔지 7 참... 2012/01/08 2,661
58885 끼어들기 사고 과실비율이 어떻게 되는지 아세요? 29 혹시 2012/01/08 15,927
58884 엄태웅나온 특수본 영화 어떤가요? 3 영화추천 2012/01/08 1,414
58883 보고나면 울화가 치미는 영화 있으세요? 12 ........ 2012/01/08 2,523
58882 진중권...백설공주의 거울 마녀 같아요 21 dd 2012/01/08 2,514
58881 장농 새로 사야하는데 브랜드 어느게 좋은가요? 5 가구 2012/01/08 3,371
58880 혹시 장터 귤요.. 1 2012/01/08 1,0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