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리물음표
요리하면서 생기는 여러가지 궁금증, 여기서 해결하세요
생크림이랑 유크림의 차이
암튼, 안전대비 잘 하시길......
다름이 아니라 오늘 비가 와서 빈대떡이나 부쳐 먹고 싶지마는,
것보다는 제가 뭔가 만들어 볼려고 요리책을 뒤졌더니 - 전 레시피 없으면 암것도 못해요 ㅠ.ㅠ -
치즈 케잌을 만들고 싶더라구요...
근데, 생크림이 필요한데, 제가 잘 모르다보니......
전엔 생크림이라고 씌여진 걸 샀었는데, 오늘 냉장고를 열어보니 있긴한데....토핑크림
이라고 씌여져 있더군요...재료를 살펴보니, 유크림....
뭐가 다르죠......? 그냥 써도 될까요????
* 82cook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5-09-06 15:32)
- [살림물음표] 소파커버 세탁법 2012-01-07
- [요리물음표] 냉이 3 2011-03-03
- [요리물음표] 봄동의 진딧물 1 2010-12-03
- [요리물음표] 와인식초 2 2009-11-23
1. 오렌지피코
'05.9.6 3:00 PM이거는 요리조리에 올리셨어야 하는데...
어쨌거나, 사용하셔도 됩니다. 생크림은 유크림 100%이고 휘핑크림은 식물성 유지가 포함된 것, 혹은 전체 식물성 유지로 된 것입니다.
토핑크림은 일종의 휘핑크림인데, 이것의 특징은 가당이 되어 있어요.
사용하셔도 되지만, 레시피의 설탕양을 조금 조절하셔야 할거예요. 아니면 많이 달아지지요.2. Connie
'05.9.7 1:10 PM생크림과 휘핑크림의 차이를 알려드릴께요.
이거는 제가 다른 사이트에 팁으로 올려놨던 글입니다.
국내는 생크림 휘핑크림 이름을 섞어서 사용하므로 원재료가 원유 100% 라면
파스타나 요리에 가능하고 식물성 유지가 섞인 다른 휘핑크림..원유 100% 가 아닌 것들은
제과 제빵용으로 가능합니다. 사실 초보에게는 100% 짜리 생크림으로 휘핑하기는
정말 힘들고 어렵거든요.
-----------------------------------------------------
우리가 말하는 생크림이 휘핑크림..휘핑크림이 아니라.
정확한 영어로 말한다면 휩트크림 (whipped cream) 이지요..
다른 말로 한다면 헤비크림, heavy cream 이라고도 합니다.
크림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Heavey Cream (우리가 흔히 말하는 생크림)
Half and Half Cream (원유 반에 팜유나 식물성 유지가 반이 섞인 크림)
Light Cream (이것에 대한 이야기는 정확히 못들어서... 아마도 원유가 작게 든듯.)
이렇게 나눕니다.
정확하게 크림파스타에 넣는 생크림, 즉 휩트크림은 헤비 크림이어야만 하고.
하프앤하프나 라이트 크림은 안됩니다. 보통 생크림을 사시면 뒤에 라벨이
붙어있는데 내용물이 원유 100% 여야 하고
유지방 함유량이 이십몇프로 (정확한 % 가 기억 안난다하셔서..)
이상이어야 크림파스타에 넣을 수 있는 원료가 됩니다.
덴마크우유에서 나온 생크림이 여기에 해당하고, 또한 매일유업에서 나온 휘핑크림
(휩트겠지만..그냥 일반 마켓에서 휘핑이라 하니 그렇게 부르겠습니다.) 이
여기에 해당하고, 다른 브랜드는 정확히 잘 모르겠네요.
지중해식 요리를 선보이는 그 레스토랑에서도 매일유업에서 나온 휘핑크림을 쓴다
하셨습니다. 생크림이라는 이야기하고 동일하지요.
제과제빵에 편리하게 나온 휘핑크림들도 있습니다. 휩토핑크림이라고 불리우는
이 크림들은 휘핑이 잘 되기 위해서 식물성 유지..말하자면 식용유 입니다.
그런 식용유로 이루어져서 설탕이 가미되어있기도 하고, 때로는 하프앤하프 크림처럼
반반 섞여서 휘핑이 잘되도록 해주는 크림도 있습니다. 이런 것들은
요리에는 쓰지 못하고 제과제빵용입니다. 특히 잘 굳고 형태 고정을 위해서 1% 의
젤라틴이 들어가 있는 휘핑크림도 있으니 이 점은 주의해서 보아야하며.
또한 휘핑을 돕기 위해서 설탕이 들어가 있는 99 프로가 원유이나 설탕이 가미되어 있는
크림도 요리에는 쓰지 않는다고 합니다.
즉 정리하자면, 휘핑크림=생크림. 단지 우리나라에서는 휘핑크림의 용어정의가
애매하게 되어 있을 따름이라는 것이지요. 정확히 말하려면 헤비, 하프앤하프, 라이트
이렇게 나누어야한다는 이야기지요. 원료가 원유 100% 인지. 그리고 다른 첨가물이
있는지, 그리고 지방함유량이 얼마인지 그것만 판단해서 재료로 쓰시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