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돈줄이 좀 말랐나봐요~

2금융권 조회수 : 1,324
작성일 : 2008-09-25 22:39:43
    대출받을게 있어 알아보다가 알았네요..

    대출브로커 몇몇분께 전화돌렸는데 8월하고 담보대출 규모도 확연하게 다르고 금리도 좀 올랐네요..

    신*하고, 새마*금고는 대출상품이 나와봐야 안다고 하네요..

    전 대출은 그냥 해주는 건줄 알았는데 그것도 규모와 범위, 이율이 정해진 기간안에 팔아야 하는 상품같은

    거더군요.. 그래도 농*은 좀 사정이 낫다는 후문입니다.

    그런데 저 신*에 적금 들어놓은거 있는데 그만 붓고 1금융권으로 옮겨야 할까요?

    우리 나라는 그냥 이러다 잠잠해지려는 건지.. 실물경제로 이어질지 참으로 고민되는 밤입니다.
IP : 122.44.xxx.166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책을 보다보니
    '08.9.25 10:43 PM (121.183.xxx.96)

    제2금융권에서도 안전한데가 있답니다.
    그거 무슨 비율로 안다고 하던데 8%(죄송..) 이런 비율이 있데요.
    모르면 제2금융권 직원에게 물어도 가르쳐 준다고 하던데..(또 공식적으로 이런 금융권 협회 같은데에 보면 나와 있다고 하더라구요)

    그리고 이자포함해서 5천만원 되게 들어놓으면 안전하다고 하고요(그러니까 4,700만원 정도 예금 해 놓으면 안전...)

  • 2. 전체적으로
    '08.9.25 10:54 PM (58.120.xxx.245)

    메이저은행금리도 드디어 7% 까지 왔어요
    펀드 팔려고난리인고...
    은행이돈이말라가는건 사실인것 같아요
    경제상황의 가장큰 지표는 금리라던데
    점점 더 안좋지기만 하네요
    바닥을 친게 아니라 바닥을 향해 내려가는 형국이지요

  • 3. 윗댓글
    '08.9.25 11:07 PM (222.112.xxx.112)

    책을 보다보니님, BIS비율 말씀하시는 거죠? ^^
    자기자본비율이라고 하는 거죠. 그런데 이것도 별료 유용하진 않아요.
    은행 등의 자산은 대출인데, 대출이 100이라면 자기자본은 8 밖에 안되는거죠.
    그나마도 못한 은행들보다는 낫겠지만, 절대 안전하다고 할 수 없는거고..
    그나마 8%도 과학적으로 분석해서 나온 수치가 아니라 '그냥' 정한 거예요-_-;
    저 기준만 믿고 안전하다 하심 안되겠죠..

  • 4. 솔이아빠
    '08.9.26 2:05 PM (121.162.xxx.94)

    권고기준인데 1등급기준은 10%이상입니다.
    최근 국내은행 6월말 11.36%로 발표된 자료 있네요.


    BIS(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국제결제은행)가 정한 은행의 위험자산(부실채권) 대비 자기자본비율로 1988년 7월 각국 은행의 건전성과 안정성 확보를 위해 최소 자기자본비율에 대한 국제적 기준을 마련하였다. 이 기준에 따라 적용대상은행은 위험자산에 대하여 최소 8% 이상의 자기자본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즉, 은행이 거래기업의 도산으로 부실채권이 갑자기 늘어나 경영위험에 빠져들게 될 경우 최소 8% 정도의 자기자본을 가지고 있어야 위기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자기자본비율은 8% 이상이어야 하며 산출공식은 다음과 같다.
    자기자본비율=(자기자본/위험가중자산)×100 > 8%

    BIS 비율을 높이려면 위험자산을 줄이거나 자기자본을 늘려야 하는데 위험자산을 갑자기 줄이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자기자본을 늘려 BIS 비율을 맞추는 것이 보통이다. BIS 비율이 떨어지면 은행의 신인도 하락으로 고객 이탈이 우려될 뿐만 아니라 은행간 합병에서 불리한 입장에 처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은행들은 BIS 비율 유지에 사활을 걸고 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35440 침대위에 예쁘게 놓는 그 많은 쿠션들 22 무플민망 2008/09/25 4,192
235439 체험학습 선생님 도시락.과일 어떤걸로? 10 도시락 2008/09/25 1,046
235438 갑자기 궁금한데요.. 싼옷의 염색은..? 3 인천한라봉 2008/09/25 324
235437 중고논술지 <아하!한겨레> 합본호 무료 신청했어요. 3 한겨레신문 2008/09/25 419
235436 해태 제과 과자 미사랑말구? 또 뭐죠? 2 인천한라봉 2008/09/25 764
235435 28살에 다시 시작해도 늦지 않을까요..?? 24 28살.. 2008/09/25 2,529
235434 어린이집에서 치아를 다친경우 어찌 해야 하나요? 10 속상한 엄마.. 2008/09/25 554
235433 [ ▶◀謹弔 ].....기륭전자 고 권명희님 16 일각 2008/09/25 841
235432 어제 베토벤 바이러스에 출연한 분 중에서요.. 궁금 2008/09/25 497
235431 도대체 대전시장 누굽니까?? 13 울먹 2008/09/25 1,097
235430 영어번역좀 부탁드립니다. 2 부얌~ 2008/09/25 264
235429 디올 스노우 프레스트 파우더 쓰시는 분~ 1 궁금이 2008/09/25 467
235428 펀드대신 ㅠㅠ 2 차라리 2008/09/25 842
235427 대학생 딸이 자취하는데요.. 전자렌지 필요할까요 21 렌지 2008/09/25 1,888
235426 정맥류 수술 4 .. 2008/09/25 413
235425 컴에서 열어본 목록 6 컴맹 2008/09/25 577
235424 갈비뼈도 붙일수 있는 오공본드 급구해요!! T_T;; 16 ⓧPiani.. 2008/09/25 1,037
235423 청소기 무슨 기준으로 고르시나요?? 3 고민중..... 2008/09/25 369
235422 친정집에 온수를 틀었더니 녹물이 줄줄... 연수기 사용하는거 어떨까요? 4 궁금이~ 2008/09/25 627
235421 개미가 싫어요 7 개미박멸 2008/09/25 518
235420 지금이 어느시대인데... 서브마린 2008/09/25 290
235419 상체살 빼는데 훌라후프 효과 있을까요 4 이지연씨 개.. 2008/09/25 1,091
235418 김장철이 다가오는데..질문?!! 10 김장 2008/09/25 698
235417 반모임을 하겠다는데.. 5 학부모 2008/09/25 1,029
235416 침대에서 사용하는 이불은 어떤걸 쓰시나요? 5 궁금해요 2008/09/25 3,570
235415 크리스마스때 호텔 페키지 가보셨던분~? 1 메리크리스마.. 2008/09/25 588
235414 서른 살의 이 남자, 이게 보통인가요? 갑갑합니다. 26 .. 2008/09/25 4,411
235413 큰아이한테요....초등생 5 꿈이있어요 2008/09/25 531
235412 베바 베바 2008/09/25 217
235411 두달된 푸들 강아지를 잘 돌보는 비법 가르쳐주세요.. 7 그림자 2008/09/25 6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