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저도 신혼가구 질문인데요~ 침대 꼭 해야할까요?

저도신혼 조회수 : 1,091
작성일 : 2011-03-30 15:47:00
저도 이제 신혼가구 준비하는데요..
저는 지금 침대 안쓰고 생활하고, 남친은 침대생활해요..
근데 남친은 무거운거 들고 그런 일을 많이 해서 허리가 가끔 아프다네요..
결혼한 사람들이.. 가끔 침대 괜히했다..
좀있으면 아기 낳고 그럼 침대에서 거의 못자고 바닥에서 잔다... 그런 말을 몇번 들어서요
아예 침대를 안하면 어떨까 싶어요..

혹시 허리 안좋은데는 침대생활이 좋은가요? 아님 그냥 바닥에 요 깔고 자는게 좋은가요?
허리 안좋은데 침대가 좋다고 하면 침대 구입할거구요..
안그래도 생각 없는데 허리에 침대가 더 안좋다 하면 구입 안하는걸로 결정하고
안마의자나 사려구요..

침대 생활하시는 분들 어떠세요?,,
IP : 61.37.xxx.42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깍뚜기
    '11.3.30 3:50 PM (122.46.xxx.130)

    저희는 침대 안 쓰고 요깔고 자는데요. (방이 좁아서 ^^)
    허리가 안 좋으시다면, 좀 두툼한 요 쓰시는 게 더 좋을 거에요.

    그러다 정히 불편하시면 나중에 사셔도 되구요. 그런데 허리 안 좋은 분들은
    매트리스 고르는 것도 일이겠더라구요.

    으슬으슬한 날 요깔고 보일러 틀고 이불 폭~ 덮고 자는 거 좋아요 ㅋ

  • 2. 스트로베리푸딩
    '11.3.30 3:51 PM (124.197.xxx.89)

    침대 샀었는데 아기가 자꾸 떨어져서 프레임은 버려버렸구요..프레임도 40정도 줬는데 돈이 아깝네요.. 매트리스만 놓구 써요. 주변에서 저같은 집도 꽤 봤구요.. 매트리스는 좋은 거 샀었어요. 제일 두꺼운 거.. 한 60줬나.. 에이스나 대진이나 이런 데였을텐데.. 매트리스만 사심 어때요? 제가 쓰는 매트리스는 진짜 누워있음 넘 행복하거든요; 바닥 생활은 못할거 같아요

  • 3. ...
    '11.3.30 3:53 PM (115.86.xxx.17)

    저는 침대안쓰고 남편은 원래 침대 생활했어요.
    결혼하면서 3년 침대쓰다가
    아기낳고 저만 바닥생활 하니 허리가 아프더라구요.
    애기 돌지나니 이젠 다시 바닥생활에 다시 적응했어요.
    남편은 계속 침대에서 생활했구요.

    보통 혼수를 여자가 하는데
    남친이 허리아프다 이런 소리까지 하는데
    침대 안사면 오해의 소지가 있진 않을까요?

    남자친구와 상의하심이 제일 좋을것 같아요.

    안마의자도 제대로 살려면 침대보다 비싸고
    싼건 잘 안써지고 정말 처치곤란될수 있거든요. 집도 너저분해지고

  • 4. 저희 부부의
    '11.3.30 3:55 PM (220.86.xxx.233)

    고민이었어요. 신혼집이 전세라 이사도 다녀야하고 해서 라텍스토퍼사서 쓰고 있어요. 침대사용하게 되면 침대매트리스위에 올려도 되고 아이가 걸어다녀도 안심이고 라텍스토퍼알아보세요. 침대생활하신분이 만족하려면 요나 건면요솜위에 라텍스토퍼깔고 자면 침대매트리스느낌나요. 전 잘했다싶어요.

  • 5.
    '11.3.30 4:08 PM (222.117.xxx.34)

    침대 좋은거(에이스, 시몬스에서도 좋은거) 사시면 절대 허리 안아파요..

  • 6. 보통
    '11.3.30 4:16 PM (94.174.xxx.70)

    신혼때는 집이 좁기 마련이잖아요.. 뭐 평수 넓은 집 구하셨음 상관없지만...
    저는 당연하다 생각하고 침대 샀었는데 나중에 애물단지 되더라구요..
    아이가 침대에서 몇 번 떨어지고 나니 이걸 왜 샀나 싶고 집이 좁으니까 침대라도 치우면 좋겠다 싶은 생각도 많았고... 겨울에는 방바닥 난방 뜨뜻한데 요깔고 바닥에서 지지면서 자고 싶은 생각도 들고... 결혼전에는 이불 개기 귀찮아서 침대썼었는데 애기 생기고 나니 생각이 좀 바뀌더라구요..
    애가 좀 크고 나서 사도 괜찮을거 같애요..

  • 7. 저는
    '11.3.30 4:37 PM (210.121.xxx.149)

    저는 20평이었어도 침대산거 후회 안했어요..
    요깔고 살면 좀 정리가 안되는 느낌이고..
    바닥생활하면 매일 걸레질 해야해서 그것도 귀찮고해서요..

  • 8. **
    '11.3.30 4:46 PM (110.35.xxx.32)

    좀 딱딱한 매트리스하면 괜찮으실거예요
    그리고 허리 아픈 사람들 맨바닥에서 자는 것도 그렇지만
    눕고 일어나고 할 때 허리에 무리 많이 가요

  • 9. g
    '11.3.30 4:53 PM (112.163.xxx.192)

    침대 사지 말고 매트만 좋은걸루 사세요
    아이가 있어도 걱정 크게 안하셔도 되구요
    이따 크면 그때 침대 사셔도 되쟎아요
    침대살 돈으로 매트 좋은 거 사는걸루 권장드림니다요~

  • 10. 19금
    '11.3.30 4:54 PM (152.99.xxx.7)

    러브러브 하려면 침대 가 더 재밌어요 ㅠㅠ 82랑은 너무 맞지 않나요 ㅠㅠ

  • 11.
    '11.3.30 4:56 PM (183.98.xxx.190)

    저는 어릴 때부터 침대 생활해서 당연히 침대도 구입했는데
    아기 생기니까 바닥에서 자느라고 침대가 이불장이 되고
    잠은 거실에 요 펴고 자게 되었어요.
    결국 처분했더니 속이 다 후련하네요.

  • 12. 허리 안좋으시면
    '11.3.30 5:11 PM (210.105.xxx.1)

    딱딱한 바닥..잠자기 불편할 수 있습니다
    매일 침대 생활 하셨다면..더욱 그렇습니다
    가끔 놀러가서 방바닥은 괜챦은데..매일 방바닥은 불편한 것 같아요
    그리고 신혼 부부인데 방에 뜨끈뜨끈하게 몸을 지질만큼 도시 가스 올려가면서 생활하기 어려워요..
    정말 도시 가스비 많이 나와요..상상 이상입니다
    허리 안좋으신데 전기 장판 사용도 조금 안좋을 것 같구요..
    방에 한기만 안들 정도에 목욕만 해도 음식하고하면 한달 도시 가스 최소 5만원 이상입니다(신혼부부 기준)
    보통은 7만원~10만원 정도입니다
    맞벌이라 주중에도 집에 늦게 가고 주말에 집에 거의 없어도 그렇습니다
    그리고 맞벌이시면 아침 출근하는것도 바쁘실텐데
    방에 이불 정리 잘 안됩니다
    그런데 그렇게 하고 퇴근하고 집에 오면..참 기분이 안좋더라구요
    흐트러진 침구 보는게..
    그리고 집이 엄청 지저분하게 보입니다
    전 그래서 아침에 아무리 바빠도..다른건 하나도 못치워도.. 침대 시트 /이불 정리는 꼭해요
    전 아주 좋은 매트리스에 낮은 침대 프레임 추천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33564 피자배달부 직업학생을 보고 여러분의 희망직업은 무엇 2 아래 2011/03/30 213
633563 아이현 남편 이인광 사진 22 심심해 2011/03/30 16,625
633562 와~~~ 식비 -.- 7 주부1단 2011/03/30 1,644
633561 추천해주세요 암웨이 vs 엘쥐 공기청정기 1 공기청정기 2011/03/30 371
633560 아들의 장래희망은 '피자배달부'(퍼온글) 7 귀댁 아드님.. 2011/03/30 910
633559 사는게 힘드니 시집에 전화하기가 싫네요. 11 . 2011/03/30 1,800
633558 미드보면서 궁금한것 2가지 23 2011/03/30 1,945
633557 박그네는 일만 터져다하면 침묵이네.. 8 레몬트리 2011/03/30 602
633556 토요일에 외출해야하는데 괜찮을까요? 5 2011/03/30 479
633555 인터넷 연결 없이, 집전화만 연결...저렴한데가 어디 있을런지요? 2 집전화 2011/03/30 232
633554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길거리 음식중 가장 맛있었던 종류? 17 길거리음식 2011/03/30 1,667
633553 속상하네요... 5 ... 2011/03/30 617
633552 깨끗함의 한계는 어디까지일까요 and 2011/03/30 241
633551 프로야구 개막경기 보러가야 하는데 방사능비가 1 아흑~ 2011/03/30 220
633550 저희집 밥이 너무 빨리 딱딱해지는데 왜그런걸까요?? 잡곡밥이라서?? 1 음.. 2011/03/30 273
633549 직사광선을 피하고 서늘한곳에 보관 궁금이 2011/03/30 366
633548 써머타임제 시작하고 얼마나 피곤한지 몰라요. 7 ... 2011/03/30 1,180
633547 겨울에 살이 너무 많이 쪘어요. ㅠ.ㅠ 아메이 다이어트 해보려고 하는데.. 7 틱택톡 2011/03/30 1,270
633546 여자아기 방인데 하얀가구+티파니블루 소품으로 하고 싶어요 3 2011/03/30 400
633545 동향집이 여름에 많이 더운가요? 11 동향집 2011/03/30 2,232
633544 월드비전 아동을 후원하고 있습니다..그런데요.. 13 후원자 2011/03/30 2,028
633543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 결정…부산 가덕도·밀양 모두 '탈락' 12 세우실 2011/03/30 906
633542 외국인 관광객으로 북적여야 할 한국이 썰렁한 이유 2 평생웬수 2011/03/30 938
633541 MB 화이팅.. 3 .. 2011/03/30 550
633540 아마존 독일에서 벤타 구매하기 7 추억만이 2011/03/30 817
633539 밥에 다시마 넣어 먹을때요~ 말린다시마를 불리나요? 아님 씻어서 바로 넣나요? 7 다시마밥 2011/03/30 949
633538 박완규 [나는가수다] 패러디 보셨어요? 5 ㅋㅋㅋ 2011/03/30 1,089
633537 저도 신혼가구 질문인데요~ 침대 꼭 해야할까요? 12 저도신혼 2011/03/30 1,091
633536 시터분이 힘들다고.. 그만두고 싶어하는 마음을 살짝 보이시네요. 41 고민 2011/03/30 8,678
633535 덴비 그릇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사이즈와 색깔 알려주세요. 3 코스 2011/03/30 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