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자녀분 키우신 선배어머님.... 지혜좀 주세요ㅠ

사춘기 조회수 : 2,693
작성일 : 2011-09-28 10:48:24
어려서부터 '존중'하고 때리지않고 기르면 사춘기 없나요? 아이가 잘 자라나요?
IP : 14.47.xxx.2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공감
    '11.9.28 11:02 AM (183.102.xxx.63)

    사춘기는 미리 예방주사 맞추고 피해야 할 병이 아니라
    반드시 지나가야할 성장 과정이죠.

    그 과정을 힘들고 거칠게 지나가느냐
    아니면 부드럽게 지나가느냐 그 차이는 있겠지만요.
    겉으로 보기에 사춘기 없이 지나가는 것같은 아이들도
    사실은 내면에서 큰 변화를 느낄 거에요.
    그걸 스스로 얼만큼 조절하느냐에 따라.. 밖으로 드러나는 거에요.

  • 동감
    '11.9.28 11:06 AM (175.118.xxx.2)

    방황하고 비뚤어지기도 하고 반항도 하면서
    사춘기를 겪어도
    중심만 잃지 않도록 잘 잡아주면
    그냥저냥 사춘기를 보낸 아이들보다
    훨씬 좋은 어른으로 성장하는 것 같아요.

  • 1. ..
    '11.9.28 10:49 AM (1.225.xxx.55)

    부모가 해주는 '존중' 을 역이용하는 사악한 ㄴㄴ들도 많죠.

  • 2. ...
    '11.9.28 10:51 AM (110.14.xxx.164)

    사춘기가 없을순 없지요 좀 쉽게 지나가는거죠
    어릴때부터 부모랑 대화 많이 하고 부모가 어렵단거 알면 좀 덜해요

  • 3. .....
    '11.9.28 10:52 AM (72.213.xxx.138)

    사춘기를 나쁘게만 보지 마셨으면 해요.
    자녀가 청소년기를 거치며 어른이 되는 과정중의 하나인 거에요.
    그걸 건너뛰고 마냥 어린아이처럼 행동할 순 없고요.
    사춘기는 말 그대로 질풍노도의 시기이지만,
    아이들의 자아와 자기 목소리를 기르는 시간이에요.
    그리고 부모도 마냥 어린아이로 여기던 자식에 대한 통제, 간섭에서 벗어나 존중하고
    같은 사회인으로 대접해주는 시간을 배우는 시기라서요.
    무조건 적인 올인을 벗어나서 부모도 자녀와 적절한 거리두기를 기르는 시간이에요.
    그래야 아이가 어른이 되어 자립을 할때도 덜 서운해 집니다.
    새는 알을 까고 나오듯이 진통의 시간을 거치는 삶의 한 과정이라 여기시고 담담히 받아들이셨으면 해요.

  • 4. ㅇㅇ
    '11.9.28 11:05 AM (211.237.xxx.51)

    같은 부모밑에서 큰 형제 자매 남매도 다 다르게 크는것 보면 타고난 성향이 많은 영향을
    미치는것 같아요.
    사춘기 열병같이 앓는 아이가 있는가 하면 그냥 있는듯 없는듯 평상시와 비슷하게 지내는
    아이도 있으니까요..
    이왕이면 조용히 잘 지내는게 좋겠지만 어디 부모마음대로 되겠습니까..

  • 5. 어려서부터
    '11.9.28 12:42 PM (121.166.xxx.57)

    아이의견 존중해주고 대화도 많이 나누는 경우엔 아무래도 사춘기가
    수월하게 지나가는 것 같아요. 우리 아이인 경우도 사춘기를 겪었지만
    그다지 힘들지 않았거든요...자기자신에 대해서 생각해보고 죽음과 삶같은
    철학적인 문제도 고민해 보고 ..자기미래에 대해서도 계획세우고
    이런 것들도 사춘기증세의 한가지입니다.
    사춘기라고 해서 무조건 반항하고 막나가는 것만 의미하진 않거든요.
    부모와 기본적으로 신뢰를 쌓고 마음을 터놓고 지낸 경우라면
    오히려 사춘기가 긍정적인 인생방향에 터닝포인트가 될 수 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0062 정말 정말 편한 구두 추천 요망합니다.. 9 아 ! 물집.. 2011/09/29 4,804
20061 초강력 바퀴벌레 약 없을까요? 4 으악 2011/09/29 3,824
20060 이탈리아 날씨 문의 드려요. 2 떠나자 2011/09/29 3,532
20059 이천 맛집좀 알려주세요^^ 맘마 2011/09/29 2,945
20058 중학생 책상, 책장이 앞에 붙은 것과 옆에 붙은 것 중에서..... 5 어느게좋아요.. 2011/09/29 4,219
20057 82에는 수급자 없겠죠 ㅠㅠ 6 .. 2011/09/29 4,836
20056 아이들이랑 있을 때 고기 실컷 드시나요? 8 채소 2011/09/29 4,153
20055 영화 'The Brest Fortress'를 보고 나면... 2 감동영화 2011/09/29 2,693
20054 KBS 9시뉴스 '이승만 다큐'홍보까지!! 1 yjsdm 2011/09/29 2,752
20053 스마트폰 질문이요.. 3 바다 2011/09/29 2,968
20052 영화 도가니를 보고나서.... 18 흠... 2011/09/29 5,534
20051 말린 추어 구할 수 있을까요? wjddus.. 2011/09/29 2,715
20050 매사에 진지한 거 어떻게 하면 나아질까요? 2 성격 2011/09/29 2,970
20049 실업급여 땜에 속터져요. 16 .... 2011/09/29 13,474
20048 북한, 그곳에서 살았던 사람들의 이야기 4 safi 2011/09/29 3,267
20047 임산부처럼 안보이는거 정말 우울하네요.. 8 사과향기 2011/09/29 3,491
20046 전원책 서울시장 선거 출마 고심 7 보람찬하루 2011/09/29 3,189
20045 방통위 "무한도전" 경고 확정 1 추억만이 2011/09/29 3,228
20044 여성부나,,여성단체들은 뭘 하고 있는걸까요? 5 우리나라 2011/09/29 3,123
20043 네비게이션 선택좀 도와주세요 1 사랑 2011/09/29 2,731
20042 튀김 미리 튀겨놔도 되나요? 3 집들이 2011/09/29 3,352
20041 투명 엘리베이터가 일반화 됐으면 좋겠습니다. 6 공포 2011/09/29 3,853
20040 선물용으로 공룡 프린트 된 티셔츠(아이용) 구입하고 싶은데 혹시.. 1 플리즈 2011/09/29 2,697
20039 아래글 중에 외국에서 중학교 시절 보낸 아이들을 읽으면서 7 호주 2011/09/29 3,880
20038 남편이 갈수록 좋아지신다는 분들, 궁금해요~ 81 푸른 2011/09/29 18,065